-
-
대출인기
유교 명상론 = Confucian meditation : 불교와의 비교철학 = (The)philosophy to be compared with Buddhism
발행연도 - 2014 / 정은해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도서관
청라호수도서관
-
자료실
[청라호수]일반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L0000003232
-
ISBN
9791155500576
-
형태
649p. 23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중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책소개
내적인 안정을 위한 유교의 방안을 소개한다. 특히 저자는 유교 명상론을 불교 수행론과 비교하며 소개하고 있는데 저자가 의도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불교 명상과 대비될 수 있는 유교 명상의 방법을 이해하고 스스로 실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1부 주자의 명상론
1장 유교 수양론과 불교 수행론
1절 유교 수양론의 특성
2절 중국 선불교의 전개: 십대 선사의 어록
1. 제1조 달마의 심여장벽
2. 제2조 혜가의 요요상지
3. 제3조 승찬의 유오간택
4. 제조 도신의 수일불이
5. 제5조 홍인의 수본진심
6. 북종 초조 신수의 관심일법
7. 남종 초조 혜능의 식심견성
8. 임제의 무위진인
9. 굉지의 묵조선
10. 대혜의 간화선
3절 5종선법과 주자와 양명의 수양론
2장 주자 수양론의 현상학적 해석
1절 주자 수양론의 현상학적 해석 가능성
2절 주자 수양론의 5단계
1. 미발 함양의 의의
2. 감정의 성찰
3. 의욕의 성찰
4. 언동의 성찰
5. 격물 궁리
3절 불교 수행론과의 차이
3장 주자 수양론의 불교적 해석
1절 주자 수양론의 변천 동기
2절 만물일체의 기상과 본체로서의 인
1. 미발의 기상: 만물동체
2. 미발에서 인(仁)의 체인 가능성 여부
3절 주자 수양론의 탈불교화 과정
1. 미발 체인론과 그 의미의 축소
2. 이발 찰식론과 그 의미의 축소
3. 선함양 후찰식론과 그 의미의 축소
4. 정좌의 의미 변화와 거경궁리론
4절 불교 수행론과의 구조적 유사성
1. 주자 수양론의 현상학적 해석 가능성
2. 불교 수행론과의 유사성
4장 주자의 생사론: 삶의 의미
1절 탄생의 기원
1. 불교: 심신의 결합
2. 유교: 리기의 결합
2절 삶의 과정
1. 불교: 인연생기로서의 생멸
2. 유교: 음양굴신으로서의 변화
3절 삶의 주체: 6식론 대 혼백론
1. 불교: 6식론
2. 유교: 혼백론
4절 삶의 의의
1. 불교의 견성론
2. 주자의 도심론
5장 주자의 생사론: 죽음의 의미
1절 죽음의 과정
1. 불교: 심신의 분리
2. 유교: 리기의 분리
2절 사후의 존속 방식
1. 천도재 대 조상 제사
2. 주자의 윤회설 비판
3. 불교의 업 상속설
4. 유교의 기 연속설
3절 업 상속설과 기 연속설의 재해석: 의미 연속설
1. 업 상속설과 재해석
2. 기 연속설의 재해석
4절 유교의 생사관: 사이불망
1. 공자의 살신성인
2. 맹자의 사생취의
3. 숙손표의 사이불후
4. 주자의 사천이종신
6장 주자의 명상론: 명상의 의미 범위
1절 마음의 수습
2절 미발의 함양
3절 이발의 성찰
4절 도리의 숙고
7장 주자의 명상론: 명상의 심적 경지
1절 명상의 방법과 경지
2절 마음 반성과 상제 대면
3절 명상의 작위와 무위
4절 마음의 유능과 무능
8장 주자의 명상론: 명상적 삶의 경지
1절 인식론적 경지: 활연관통
1. 아집과 법집의 해소
2. 일이관지와 활연관통
2절 존재론적 경지: 즉물이재
1. 생물지심으로서의 천지지심
2. 생물지심을 구비한 사물
3절 실천론적 경지: 작용즉성
1. 작용시성의 문제
2. 심여리일과 작용즉성
9장 주자학과 하이데거 현상학
1절 인간의 마음 대 현존재
2절 이치 대 존재
3절 경건 대 초연성
4절 활연관통 대 자화사건
5절 4단지심 대 배려
2부 양명의 명상론
10장 양명의 수양론
1절 심학으로서의 유교
1. 심학의 특징: 천리의 보존
2. 사구교: 심학의 정점과 과정
3. 대학의 3강령과 8조목: 양명의 새로운 해석
2절 수양의 방법과 영역
1. 수양의 방법: 성의
2. 수양의 근거: 심즉리
3. 수양의 세 영역: 학문, 정좌, 치양지
11장 치양지의 구체적 의미
1절 치지격물
2절 지행합일
3절 발본색원
4절 사상마련
12장 양명의 명상론
1절 양명의 수양론과 명상론
2절 정좌의 의미 범위
3절 명상: 유능을 위한 반성의식의 작동
1. 마음의 네 단계
2. 반성적 유능의 마음
3. 무반성적 유능의 마음
4. 명상의 정점
5. 무반성적 유능의 두 의미
4절 사구교 논쟁의 명상적 의미
1. 전덕홍과 왕여중의 견해 차이
2. 신수와 혜능의 견해 차이
13장 양명학과 후설 현상학
1절 수동적 지각과 능동적 해석
2절 양명학의 현상학적 해석 가능성
1. 후실의 ‘의식’대 양명의 ‘양지’
2. 후설의 ‘지향성’ 대 양명의 ‘의념’
3. 노에마 대 이치
4. 물리와 성리의 출처
5. 성리와 양지의 실현의 근거: 습득성
3절 양명학의 현상학적 해석의 한계성
1. 태극무대론의 인정 여부
2. 심리학주의적 경향 여부
3. 물리의 구체적 제시 여부
4. 체용론의 현상학적 의미
결론 유교 명상론의 의의
참고문헌
부록 1: 숙고적 명상을 위한 경문들
1. 중용 제1장
2. 대학 제1장
3. 의상의 법성게
4. 반야심경
5. 산상수훈
부록 2: 유교 명상의 실례
1. 호흡 명상
2. 감각 명상
3. 미소 명상
4. 탈색 명상
5. 충서 명상
6. 자겸 명상
7. 미발 명상
8. 숙고 명상
9. 오륜 명상
10. 오상 명상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2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1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