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구 국철이나 JR에서의 유지관리 실무, 철도총합기술연구소에서의 기술개발, 그리고 ㈜BMC에서의 비즈니스 제1선의 현장에서 40년간에 걸쳐 몰두하여 온 경험을 통하여 얻은 ‘지혜’나 ‘마음’을 6개의 장으로 나누어 종합 정리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감사의 말
저자 서문

I편 유지관리 기술의 지혜
Chapter 01 유지관리의 마음가짐과 대처방법
1.1 유지관리의 기본은 ‘자신의 것’
1.2 유지관리는 육아이다
1.3 유지관리의 원칙은 예방보전
1.4 사용하는 입장에서 전체 시스템을 보면, 우려할 부분이 나타난다
1.5 성능 진단으로 헛된 손상 대책을 없애라
1.6 변화를 알아차리는 검사원
1.7 교량은 무언가를 호소하고 있다
1.8 고목을 보면 수풀도 보라
1.9 위화감이 들면 놓치지 마라
1.10 변통할 수 있는 정보 수집
1.11 교량의 수명은 ‘사람이 결정한다’
1.12 ‘상정 밖想定外’은 유지관리의 책임
1.13 확신은 오진의 싹
Chapter 02 검사·점검(검사기술)
2.1 가득 찬 곳은 부식한다
2.2 비가 그친 뒤가 검사에 도움이 된다
2.3 녹이 보이면 접근하라. 건강상태 ‘녹의 색 판단’
2.4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도 녹슨다
2.5 무도장교의 함정
2.6 사교斜橋는 무리하고 있다
2.7 지점 침하는 손상을 일으킨다
2.8 작을수록 피로한다
2.9 두꺼운 토막(boundingage) 구조는 피로의 조짐
2.10 균열의 끝은 더 앞에 있다
2.11 부식이 진행하면 피로도 진행된다
2.12 볼트의 이완은 건드리지 말고 보라(1개가 빠지면 같은 종류의 이완을 부른다)
2.13 지연 파괴에 주의하라
2.14 화재 피해 상황을 파악할 때는 현상을 유지하면서
Chapter 03 진단
3.1 교량에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 ‘요구 성능’에 대해 알고 있는가
3.2 100년 이상은 당연하다
3.3 오랜 사용에는 ‘튼튼함(내구성)’진단
3.4 의식해야 할 것은 부분과 전체(강도와 기능)
3.5 교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성능 진단을 해야 한다
3.6 내하성과 내진성
3.7 부식 진단요건은 도막, 단면, 기능의 확보
3.8 피로 진단 요건은 ‘시간’에 따른 ‘응력’, ‘반복’
3.9 피로 균열의 긴급성은 ‘한계 균열 길이’와 ‘진전 속도’로서 판단
3.10 손상 진단 3요소 ‘시작-방치-시기’
3.11 ‘부분’은 고치고 ‘전체’를 진찰하라
Chapter 04 대책
4.1 ‘꾸미다’ 정신을 잊지 마라
4.2 손상 대책 후는 전체 성능으로의 영향을 재확인
4.3 강화하기보다 밸런스 유지
4.4 조금 양이 부족한 듯한 조정을
4.5 지속 도장은 바탕면을 따라
4.6 돈 버는 일도 안전도, 어떠한 경우도 ‘절차’가 상책
4.7 돈을 벌지 못하는 일은 부실로 이어진다
4.8 기능은 없어도 안심이 최고
4.9 신중한 것보다 나은 것은 없다(품질은 장인이 결정한다)
4.10 용장성冗長性을 잊지 마라
4.11 폐기하기보다 재이용(부수기 전에 교량으로부터 배운다)
4.12 미끄러진 볼트는 교체 대상, 볼트 교환 순서가 핵심
4.13 안심할 수 있는 체제 만들기
Chapter 05 관리(management)
5.1 교량보다 먼저 사람을 배려해야 한다
5.2 최우선은 고객(이용자와 교량)
5.3 예방보전을 잊지 마라
5.4 오퍼레이션 관리를 제외한 운영사업은 있을 수 없다
5.5 어떤 순간에도 우선순위(탄력성)를
5.6 약자는 LCC 최대를 목표로 한다
5.7 목표는 취약성의 해소
5.8 원래의 자산관리(asset management)를
5.9 변통의 관리의 추천
5.10 유지관리는 ‘검증’과 ‘개선’의 반복
5.11 장기 수명화를 살린 비즈니스 모델
5.12 공공사업의 새로운 재원
Chapter 06 인재 육성과 정보의 축적
6.1 효율적 관리의 결정적인 수단은 인재 육성(목표는 프로의 스마트화)
6.2 교량지킴이의 눈을 육성해보자
6.3 꾸밈, 변통, 나눔
6.4 매뉴얼은 매뉴얼로서 읽는다
6.5 성실하게 실행한 사람에게만 반론의 장이 있다
6.6 거절하는 노력보다 실천하는 노력
6.7 일을 한 후에 자기 채점
6.8 인폼드 콘셉트, 세컨드 오피니언, 어카운터빌리티
6.9 해결의 실마리는 ‘예스맨’
6.10 분하다면 3배의 성과를 올려라
6.11 전하고 싶은 정보와 알고 싶은 정보
6.12 공유 정보의 관리는 ‘사람 본위의 관리’와 ‘일원 관리’
6.13 애정을 가지고 보면 교량의 수명은 2배가 된다

II 편 유지관리의 키워드
Keyword |01| 유지관리의 역할
Keyword |02| 교량지킴이
Keyword |03| 교량지킴이 기록 카드
Keyword |04| 교량의 수명
Keyword |05| 장기 수명화
Keyword |06| 검사와 점검
Keyword |07| 정량적 검사·진단
Keyword |08| 성능 진단
Keyword |09| 용장성冗長性과 진행성進行性
Keyword |10| 예방보전과 사후보전
Keyword |11| FCM(중요 파괴 부재)
Keyword |12| 재해에 대한 취약성
Keyword |13| BCP(사업 계속 계획)
Keyword |14| 메인터넌스 프리
Keyword |15| 관리
Keyword |16| 관리선도管理線圖와 열화곡선
Keyword |17| 변통의 관리
Keyword |18| 검증과 개선(커미셔닝)
Keyword |19| 인하우스 엔지니어
Keyword |20| 모니터링
Keyword |21| 기존 부적격
Keyword |22| 상정 밖
Keyword |23| 이해 당사자
Keyword |24| 자격자
Keyword |25| 꾸밈, 변통, 나눔(배려)
Keyword |26| 프루프 로드 시험
Keyword |27| 재원의 창출(사회 투자 펀드, 지역 통화)
Keyword |28| 인재 육성
Keyword |29| 휴먼 에러
Keyword |30| 원래의 예보전
Keyword |31| 스톡 효과와 플로 효과
Keyword |32| 컨세션 방식
Keyword |33| 장기 수명화의 솔루션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자연과 문명의 조화) 토목공학  = Harmony of nature and civilization civil engineering (자연과 문명의 조화) 토목공학 = Harmony of nature and civilization civil engineering 2018 / 지음: 대한토목학회 '자연과 문명의 조화 토목공학' 출판위원회 / KSCE PRESS(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ress)
토목, 인생, 무엇이 궁금해?: [청소년] 토목, 인생, 무엇이 궁금해?: [청소년] 2023 / 지음: 대한토목학회 여성기술위원회 / KSCE프레스
토목환경 설계제도 토목환경 설계제도 2001 / 민선홍 저 / 기전연구사
선진공사관리의 이론과 원칙 선진공사관리의 이론과 원칙 2003 / 박준기 저 / 東和技術
사면안정 : 설계이론 및 실무해석 사면안정 : 설계이론 및 실무해석 2023 / 지음: 김병일 ; 김영근 ; 윤찬영 ; 봉태호 / 에이퍼브:
토목공학의 역사 : 고대부터 근대까지 토목공학의 역사 : 고대부터 근대까지 2016 / 지음: 한스 스트라우브 ; 옮김: 김문겸 / 씨아이알
정의로운 건설을 말하다  : 한국 건설산업의 현실과 과제 정의로운 건설을 말하다 : 한국 건설산업의 현실과 과제 2017 / 신영철 지음 / 한스컨텐츠
(전문가의 지혜로부터 배우는) 토목 구조물의 유지관리 (전문가의 지혜로부터 배우는) 토목 구조물의 유지관리 2015 / 아베 마코토 저 ; 닛케이 컨스트럭션 편 ; 이성혁, 정우영, 여인호, 이진욱, 최찬용 [공]역 / 씨아이알
엑셀을 이용한 토목공학 입문 엑셀을 이용한 토목공학 입문 2012 / IT환경기술연구회 저 ; 황승현 역 / 씨·아이·알
건설환경공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건설환경공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2019 / 저: 우종태 / 구미서관
(한국건설의) 가치를 말하다 (한국건설의) 가치를 말하다 2015 / 이복남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차 산업혁명) 건설산업의 새로운 미래  = The fu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4차 산업혁명) 건설산업의 새로운 미래 = The fu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2018 / 지음: 이상호 / RHK(알에이치코리아)
(4차 산업혁명) 건설산업의 새로운 미래  = The fu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4차 산업혁명) 건설산업의 새로운 미래 = The fu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2018 / 지음: 이상호 / RHK(알에이치코리아)
土木事業管理槪論 土木事業管理槪論 2017 / 지은이: 이순복, 임소영 / 지식과감성#
(4차 산업 혁명) 건설 산업의 변화와 미래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and future of construction industry (4차 산업 혁명) 건설 산업의 변화와 미래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and future of construction industry 2019 / 지음: 김선근 / 한솔아카데미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교량공학실무 교량공학실무 2013 / 이승원, 백옥윤 공저 / 구미서관
엑셀을 이용한 토목공학 입문 엑셀을 이용한 토목공학 입문 2012 / IT환경기술연구회 저 ; 황승현 역 / 씨·아이·알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건설의)가치를 말하다 (한국건설의)가치를 말하다 2015 / 이복남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건설문화를 말하다 건설문화를 말하다 2013 / 노관섭 외 저 / 씨아이알
(자연과 문명의 조화)토목공학 (자연과 문명의 조화)토목공학 2018 / 대한토목학회'자연과 문명의 조화 토목공학' 출판위원회 지음 / 씨아이알
(발주자가 변하지 않고는)건설산업의 미래는 없다 (발주자가 변하지 않고는)건설산업의 미래는 없다 2006 / 김한수 ; 한미파슨스 공저 / 普文堂
(길 따라 기록 따라)한국 건설 기네스. 1 : 길 (길 따라 기록 따라)한국 건설 기네스. 1 : 길 2010 / 이덕수 지음 / 보성각
강철혁명  : 런던 하수도에서 파나마 운하까지, 세계 7대 구조물 탄생의 위대한 드라마 강철혁명 : 런던 하수도에서 파나마 운하까지, 세계 7대 구조물 탄생의 위대한 드라마 2011 / 데보라 캐드버리 지음 ; 박신현 옮김 / 생각의나무
4차 산업 혁명 건설 산업의 변화와 미래  = (The)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and future of construction industry 4차 산업 혁명 건설 산업의 변화와 미래 = (The)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and future of construction industry 2019 / 지음: 김선근 / 한솔아카데미
선진공사관리의 이론과 원칙 선진공사관리의 이론과 원칙 2003 / 박준기 저 / 東和技術
사회기반시설공학 사회기반시설공학 2006 / 김진우 저 / 구미서관
한국 토목 걸작선 한국 토목 걸작선 2004 / 대한토목학회 [편] / 대한토목학회
(2011年) 建設標準품셈 (2011年) 建設標準품셈 2011 / 全仁植 編著 / 建設硏究社
종합 건설 대법전 종합 건설 대법전 2018 / 편저: 대한건축건설법령연구회 / 법문북스
(현장실무자를 위한) 건설공사의 품질시험 검사 실무편람 (현장실무자를 위한) 건설공사의 품질시험 검사 실무편람 2010 / 조규붕 ; 박남주 ; 김갑수 ; 이순남 ; 고영선 ; 박경우 ; 이정학 ; 노세곤 ; 양은열 ; 박춘식 ; 김남균 ; 황호연 ; 문점환 편저 / 구미서관
(2013 적용) 건설공사 표준품셈  : 토목·건축·기계설비 전량수록 (2013 적용) 건설공사 표준품셈 : 토목·건축·기계설비 전량수록 2013 / 건설연구원 [편] / 건설연구원
(2010年)) 건설기술법령집 (2010年)) 건설기술법령집 2010 / 경익수 편저 / 이엔지·북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