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 중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등 저성장의 늪에 빠져 있다. 또한 한국민들은 저성장 . 저금리 . 저변동성의 시대에 어디에, 어떻게 투자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이런 상황을 떨치고 도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목차
추천사 머리말─왜 대체투자인가?
1장 1990년 일본 자산시장의 붕괴─디플레이션의 무서움을 절감하다 01 플라자 합의로 촉발된 엔화 강세(=엔고) 02 블랙 먼데이가 일본은행의 발목을 잡다 03 자산시장은 어떨 때 붕괴되는가? 04 일본 장기불황의 원인은? 05 일본은행만 책임이 있는가? 06 일본 경제가 주는 교훈
2장 그린스펀 풋과 정보통신 버블 01 1990년대 호황의 경제적 배경 02 LTCM 위기와 그린스펀 풋 03 이상과열의 출현 04 장단기 금리의 역전 현상 발생 05 민스키 모멘트와 버블 붕괴
3장 효율적 시장 가설과 2008년 부동산시장의 붕괴 01 장기간 이어진 저금리 국면 02 중국이 미국 부동산 버블을 유발했다고? 03 미국은 왜 부동산 규제를 완화했나? 04 규제완화에 대한 경제학자들의 태도는? 05 미국 부동산시장의 붕괴 원인은? 06 미국 부동산시장의 붕괴가 긴 불황으로 이어진 이유는? 07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의 교훈
5장 대체투자의 ‘꽃’ 사모펀드 01 사모펀드의 특징 02 세계의 주요 사모펀드는 어떤 전략을 구사하는가? 03 사모펀드는 어떨 때 실패하는가?
6장 다양한 대체투자 자산들 01 위기 때 빛나는 부실자산 투자 02 메자닌 펀드? 메자닌 펀드! 03 기관투자자는 부동산을 좋아한다 04 시장규모가 가장 큰 인프라 투자시장 05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자원ㆍ상품시장 06 상관계수가 낮은 자산을 편입해야 하는 이유는? 07 두 얼굴의 헤지펀드 08 헤지펀드 투자의 기본 특징
7장 국민소득 5만 달러 달성, 자산운용기관이 주도해야 01 다음 번 금융위기를 어떻게 넘길 것인가? 02 저금리 시대,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03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수익률, 낮아도 너무 낮다 04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에 적응하자 05 중위험ㆍ중수익 자산은‘최악의 포트폴리오’를 막는 안전판 06 금융산업이‘국민소득’증가를 주도할 수는 없는가? 07 우물 안 개구리 꼴이 되지는 말자 08 다음 번 금융위기에 우리도 되갚아 주자
8장 개인투자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01 횡재의 시대는 끝났다 02 대체투자, 상장지수펀드로 하자 03 무엇보다 손실을 보지 않아야 한다
감사의 글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원자재를 알면 글로벌 경제가 보인다 : 원자재 슈퍼사이클의 진실과 해법을 만난다2018 / 저: 이석진 / 한국금융연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