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한국근대사 총론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개혁]
1. 근대의 초기적 특징
2. 개항의 역사성과 사상계의 동향
3. 개혁과 열강의 각축
4.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기의 사회문화
5. 대한제국의 성립과 시민운동의 대두
6. 영·미 지원을 받은 일본 제국주의
7. 반제국주의 독립운동의 전개
8. 자주개혁의 좌절과 대한제국의 멸망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강점과 한국인의 독립운동]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2. 조선의 독립운동 전개와 의의
3. 일제강점기의 생활
2장. 조선의 자주개혁과 왕조의 동요
1. 1860년대의 변동과 개혁
2. 서양 제국주의의 아시아 침략과 조선에서 전개된 양요
3. 강화도조약과 열국과의 통상
4. 갑신정변과 갑오경장, 광무개혁
3장. 대한제국의 민중봉기
1. 동학농민전쟁과 폐정개혁안
2. 지계사업에 대한 정산농민의 항요
3. 광무농민운동의 전개와 중기의병의 궐기
4장.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과 대한제국의 종말
1. 영·미의 책략과 일본 제국주의
2. 근대화개혁의 차질과 대한제국의 쇠퇴
3. 일제의 대한제국 국토 잠식
5장 일제의 강제병합과 강점기의 사회
1. 일제 강제조약의 불법성과 무효론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3. 일제강점기의 식민지 생활
6장. 독립운동의 전개와 특징
1. 한국독립운동의 특징
2. 한국독립운동의 반성
7장. 한국현대사 총론
1. 민족의 해방, 분단과 혼돈의 현대 초기
2. 분단정부의 수립과 농지개혁
3. 6·25전쟁과 정전 60년
4. 남북한의 문화적 업적과 문화재 정비
8장. 4∙19혁명과 민족주의의 고양
1. 4·19혁명의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2. 5·16쿠데타와 민주주의의 파탄
3. 군부독재와 민주화운동
4. 세계적 네오 내셔널리즘과 남북한 대응
5. 유신체제와 새마을운동
6. 1970년대 남북화해구도와 7·4남북공동성명
9장. 10∙26 사태와 신군부의 등장
1. 부마민중항쟁과 10·26사태
2. 12·12쿠데타와 신군부의 등장
3. 1980년의 광주민주화운동
10장. 민주주의 개혁과 통일시대의 개막
1. 민간 정치인의 집권과 민주주의 개혁
2. IMF 신탁의 경제위기
3. 우주개발과 남북한의 인공위성
4. 지리와 환경변화에 따른 생활개혁
5. 한국 과학과 예술의 국제적 기여
6.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
[부록] 한국근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