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시전
제1장 중도
1. 사견의 이해
1.1 역사적 배경
1.2 브라만교
1.3 육사외도
1.4 62견
2. 사견의 비판
2.1 브라만교에 대한 비판
2.2 육사외도에 대한 비판
2.3 사견의 폐해
3. 중도의 발견
4. 결론
제2장 일체법
1. 십이입처
1.1 전오근과 전오경
1.2 내입처와 외입처
1.3 의와 법
2. 십팔계
2.1 식
2.2 촉
3. 육계 .
3.1 사대설
3.2 육계와 육대
4. 결론
제3장 연기법
1. 오온
2. 오취온과 사식
3. 연기
3.1 육촉연기
3.2 십이연기
3.3 역관과 순관
3.4 연기의 이해
3.5 인연법과 인과법
4. 결론
제4장 우주론
1. 우주의 이해
2. 삼계
2.1 욕계
2.2 색계
2.3 무색계
3. 칠식주이처
4. 결론
제2부 권전
제5장 37도품
1. 여덟 가지 바른 길-팔정도
2. 네 가지 바른 노력-사정근
3. 네 가지 성취수단-사여의족
4. 네 가지 대상에 대한 사띠의 확립-사념처
4.1 사띠
4.2 몸에 대한 사띠의 확립-신념처
4.3 느낌에 대한 사띠의 확립-수념처
4.4 마음에 대한 사띠의 확립-심념처
4.5 법에 대한 사띠의 확립-법념처
5. 아홉 단계의 사마디-구차제정
6. 다섯 가지 기능과 힘-오근과 오력
7. 깨달음에 이르는 일곱 가지-칠각지
제6장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제7장 결론
제3부 증전
제8장 지켜야 할 것들
1. 범행의 조건
1.1 범행의 바른 차제
1.2 바른 스승
1.3 바른 학습
2. 범행처의 조건
2.1 정법의 수호
2.2 해탈의 장소
2.3 좋은 비구(니)
2.4 범행처의 환경조건
3. 계의 구족
3.1 짧은 길이의 계
3.2 중간 길이의 계
3.3 긴 길이의 계
4. 감각의 대문
5. 결론
제9장 버려야 할 것들
1. 다섯 가지 덮개-오개
2. 열 가지 묶임-십결
2.1 다섯 가지 낮은 묶임
2.2 다섯 가지 높은 묶임
3. 결론
제10장 드러나는 것들
1. 육신통
2. 사향사과
3. 열반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