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자이자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인 송기원 저자가 들려주는 생명에 관한 이야기. 간결한 제목 그대로, 이 책은 ‘생명’에 관한 모든 것을 아우른다. 지금 우리의 삶, 그리고 우리의 미래를 관장하는 것은 ‘생명’ 그 자체임을 설명한다.
목차
서문- 왜 이 책을 쓰는가?
생명의 본질과 기원 1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에 대한 질문 인간이란 무엇인가 2 생명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생명은 어디서 왔는가? 생명의 다양성 3 생명의 기능 단위는 무엇인가? 4 생명체는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물 생체는 고분자 화합물의 집합체 탄수화물 단백질 핵산 지질 5 생명의 정보는 어디에 담겨 있는가? DNA, 생명의 정보 DNA의 구조 유전자 유전자의 발현: 센트럴 도그마 유전자의 이상과 유전병 유전자 발현 스위치 세포 내에서 유전정보 DNA의 구조 유전자만이 아니다: 후생유전학 6 유전정보 해독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염기 서열 해독 방법 인간 유전체 해독 프로젝트 인간 유전체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유전체 해독의 결과 개인 유전체 해독 단 하루 100만 원 시대 남겨진 질문: 우리는 정말 우리의 유전정보를 알고 싶은가 거대과학으로서의 생명과학
생명의 발생, 재생산 그리고 노화 7 인간에 의한 생명의 변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생물체의 변형과 바이오테크놀로지 생명체를 디자인하는 합성생물학의 시대로 8 어떻게 생명이 다시 생명을 만드는가? DNA 복제 세포주기 체세포분열과 무성생식 감수분열과 유성생식 9 어떻게 하나의 세포에서 생명체가 만들어지는가? 수정과 인간의 초기 발생 분화와 그 기전 세포사멸 성체줄기세포와 일신우일신 줄기세포 기술의 명암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 10 인간에 의한 생명 재생산 조절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시험관아기 대리모와 구글 베이비 착상 전 유전자 검사: 「쌍둥이별」의 경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체세포 복제 태어나는 방법이 존재를 규정하지 못한다 11 생명체는 왜 늙어갈까? 노화와 활성산소 노화와 세포 시계 노화 유전자 노화의 다른 원인들 노화와 암 정말 노화는 나쁜 것인가
생명의 현상 그리고 윤리 12 미생물과 바이러스는 공포의 대상인가? 미생물은 OK, 세균은 No? 인류의 희망, 미생물 바이러스 바이러스의 두 가지 다른 생존 방식 바이러스와 숙주 항생제와 항바이러스제 광우병과 프리온 13 생명은 어떻게 자극을 인지하고 전달하는가? 오감과 신경계 뉴런과 신호전달 신경전달물질과 감정 신경 전달과 보톡스 복합적인 신경전달물질의 작용, 사랑 기억과 감정의 지속 알츠하이머 뇌 지도 작성 프로젝트 뇌-컴퓨터 접속 장치 인간 행동도 뇌 화학반응의 합인가 14 생명은 어떻게 나와 타자를 정의하는가? 생명체와 면역계 선천적 면역 체계 후천적 면역 체계 면역계 이상과 질병 혈액형과 면역 태아와 신생아의 면역 면역억제제와 장기이식 15 생명은 어떻게 환경 변화에 대해 최적 상태를 유지하는가? 항상성 조절 내분비계와 호르몬 자율신경계 항상성 조절 방법 환경호르몬 16 생명과학은 우리에게 어떤 윤리적 질문을 던지는가? 치료와 강화의 경계 결핍과 노화는 나쁜 것인가 대리 선택의 위험성 지구환경과 인간이라는 종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하늘을 나는 배) 위그선 : 위그선의 탄생과 현재 그리고 미래2008 / 이상룡 ; 이석 지음 / 지성사
신해양시대의 미래 전략 = New age of ocean future strategy2016 / 지음: 주성호 ; 지음: 강범구 ; 지음: 우예종 ; 지음: 류영하 / 바다위의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