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중소기업문제의 인식과 그 논쟁사
제1절 중소기업문제의 성격과 그 인식
1. 중소기업문제의 성격
2. 중소기업문제의 인식
제2절 중소기업문제 인식의 역사적 전개: 일본의 경우
1. 재래산업문제(자본의 본원적 축적기)
2. 소공업문제(독점자본주의 형성 단계)
3. 중소공업문제(산업자본주의 형성 단계)
제3절 수정자본주의 논쟁과 소기업 잔존
1. 베른슈타인의 비판과 소기업 잔존
2. 카우츠키의 반박과 소기업 잔존
제4절 물산장려운동과 소공업문제
1. 물산장려운동의 발족과 논쟁
2. ‘생산 증식’과 대공업설립론
3. ‘토산장려’와 소공업육성론
4. 생산증식론과 토산장려론의 성격
제5절 중산층 논쟁과 중소기업문제
1. 중산층의 소멸론과 육성론
2. 근대화와 민족산업자본론
3. 중소기업의 역할·계열화·매판자본
4. 중산층의 진보성에 관한 논의
제6절 민족자본론과 중소기업문제
1. 부르주아 민족혁명의 계급적 기초: 민족자본
2. 민족자본론과 중소자본
3. 중소기업의 민족자본가적 성향
제2장 이중구조론과 중소기업문제의 이해
제1절 경제 발전과 이중구조론
1. 경제 발전과 이중구조의 성격
2. 경제 발전과 이중구조론의 유형
제2절 식민지 경제의 이중구조론
1. 이중구조론 및 식민지공업비지론의 전개
2. 식민지공업비지론 및 이중구조론의 특징과 평가
제3절 관료독점자본의 형성과 이중구조론
1. 1950년대 관료독점자본의 형성과 그 성격
2. 종속적 자본주의의 위기와 이중구조문제
제4절 중소기업문제의 경제발전론적 이해: 이중구조론
1. 일본에서 이중구조론 형성의 배경
2. 이중구조론의 발단: 《경제백서》의 내용
3. 이중구조의 성격에 관한 논의
4. 이중구조의 해소와 중소기업의 근대화
5. 이중구조의 역할과 정책 인식
제5절 한국 이중구조의 특수성과 중소기업 문제
제3장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하청ㆍ계열제도
제1절 산업현상ㆍ산업조직ㆍ산업구조
1. 산업의 형성과 그 특징
2. 산업조직과 산업구조
제2절 산업구조 고도화에 관한 경험 법칙
1. 클라크의 법칙과 공업화
2. 호프만의 법칙과 중화학공업화
제3절 산업구조의 변화 요인
1. 소득탄력성과 생산성상승률
2. 생산의 우회화 및 성장탄력성과 새로운 산업의 전개
제4절 중화학공업화와 하청계열화
1. 사회적 분업의 심화와 하청·계열관계
2. 고미야마와 후지다의 하청 논쟁
3. 기업계열화 논쟁
4. 하청제도의 형태와 그 성격
제4장 산업의 지식집약화와 중소기업
제1절 산업구조의 고가공도화와 중화학공업화의 성숙
1. 공업구조의 고도화와 고가공도화
2. 중화학공업화의 성숙과 탈공업화
제2절 지식산업화와 산업구조의 전환
1. 지식의 역할과 지식산업
2. 지식집약화의 의의와 산업구조의 전환
제3절 지식집약화와 중소기업
1. 지식집약화와 지식집약형산업
2. 지식집약형산업을 담당할 기업
3. 지식집약형산업과 기업 규모: 중소기업의 적합성
제4절 벤처 비즈니스와 중소기업
1. 벤처 비즈니스의 개념과 어원
2. 벤처 비즈니스의 등장과 그 경영자 및 경영의 특징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