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경기도의 토속민요
  • 경기도의 토속민요

    발행연도 - 2013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편 / 민속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30234
    • ISBN 9788956388014
    • 형태 645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음악 > 한국음악 및 동양전통음악
    • 카테고리분류 예술/대중문화 > 음악 > 국악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편 경기도의 토속민요 악보
I. 농업노동요
1. 논농사소리
1) 논가는소리
2) 논고르는소리
3) 논삶는소리
4) 모찌는소리
5) 모심는소리
6) 논매는소리
7) 벼베는소리
8) 벼묶는소리
9) 볏단나르는소리
10) 볏단내리는소리
1) 볏섬에담는소리
12) 용두레질소리
2. 밭농사소리
1) 밭가는소리
2) 밭고르는소리
3) 밭매는소리
II. 어업노동요
1. 어로소리
1) 뱃고사소리
2) 닻올리는소리
3) 노젓는소리
4) 그물질소리
5) 고기푸는소리
6) 만선풍장소리
7) 어로-기타
2. 어촌노동
1) 어로줄꼬는소리
2) 어촌노동-기타
III. 장례의식요
1. 장례밤샘소리
2. 발인축원소리
3. 상여소리
1) 긴소리
2) 자진소리
4. 무덤가래질소리
5. 무덤다지는소리(달구소리)
1) 긴소리
2) 자진소리

제2편 경기도의 토속민요 개관
I. 경기도 민요의 종류와 분포 / 손인애·신은주
II. 농업노동요 / 손인애
1. 논농사소리
2. 밭농사소리
III. 어업노동요 / 신은주
1. 어로소리
2. 어촌노동
IV. 장례의식요 / 손인애
1. 장례밤샘소리
2. 발인축원소리
3. 상여소리
4. 무덤가래질소리
5. 무덤다지는소리(달구소리)
V. 맺음말:경기민요의 음악적 특징 / 손인애·신은주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주민요 :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 제주민요 : 국가무형문화재 제95호 2020 / [편]: 국립무형유산원 / 역락
한국의 아리랑문화 한국의 아리랑문화 2011 / 편저자: 국제문화재단 ; 김태준 ; 김연갑 ; 김한순 / 박이정
한국의 아리랑문화 한국의 아리랑문화 2011 / 편저자: 국제문화재단 ; 김태준 ; 김연갑 ; 김한순 / 박이정
겨레의 노래 아리랑 겨레의 노래 아리랑 2023 / 지음: 김삼웅 / 두레
겨레의 노래 아리랑 겨레의 노래 아리랑 2023 / 지음: 김삼웅 / 두레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김형관 피디의) 중국 조선족 아리랑 2017 / 지은이: 김형관 / 솔과학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 Literature and creating culture based on Arirang : ecology and cultural geography of local folk songs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 Literature and creating culture based on Arirang : ecology and cultural geography of local folk songs 2021 / 지은이: 박경수 / 민속원
경기도의 토속민요 경기도의 토속민요 2013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편 / 민속원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2012 / 윤수동 지음 / 국학자료원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2012 / 윤수동 지음 / 국학자료원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2012 / 지은이: 이윤선 / 민속원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남도민속음악의 세계 : 서남해에서 영산강까지 2012 / 지은이: 이윤선 / 민속원
여성민요의 틈과 경계 여성민요의 틈과 경계 2021 / 지음: 이정아 / 한국학술정보
아리랑은 왜 명곡인가? 아리랑은 왜 명곡인가? 2020 / 지음: 정동화 / 이지출판
한국 민요의 미학  = Aesthetics of Korean folksong 한국 민요의 미학 = Aesthetics of Korean folksong 2015 / 지음: 정한기 / 박이정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명창들의 시대 : 조선을 울리고 웃긴 소리광대들, 삼백 년 판소리사의 풍경 명창들의 시대 : 조선을 울리고 웃긴 소리광대들, 삼백 년 판소리사의 풍경 2006 / 윤석달 지음 / 작가정신
소리꾼  : 득음에 바치는 일생 소리꾼 : 득음에 바치는 일생 2011 / 최동현 지음 / 문학동네
경기 12 잡가  : 근대 서민 예술가들의 노래 경기 12 잡가 : 근대 서민 예술가들의 노래 2013 / 지은이: 이춘희 ; 배연형 ; 고상미 / 예솔
일제강점기의 판소리 문화 연구 일제강점기의 판소리 문화 연구 2013 / 이태화 지음 / 박이정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국악과 세시풍속, 춘하추동 국악과 세시풍속, 춘하추동 2012 / 박혜정 지음 / 민속원
(국악으로의 초대) 우리가 몰랐던 우리음악 이야기 (국악으로의 초대) 우리가 몰랐던 우리음악 이야기 2018 / 박소영 지음 / 구름서재
한국음악형성론  = (The) formation of Korean music 한국음악형성론 = (The) formation of Korean music 2012 / 오용록 지음 / 민속원
판소리 득음 연구 판소리 득음 연구 2013 / 김정태 지음 / 민속원
(주해)동편제 박봉술 춘향가 (주해)동편제 박봉술 춘향가 2015 / 송재익 엮음 / 민속원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조선민요 아리랑 : 민족의 가락, 애환의 선율 2012 / 윤수동 지음 / 국학자료원
판소리 길라잡이 판소리 길라잡이 2009 / 최동현 지음 / 민속원
경기 12 잡가  : 근대 서민 예술가들의 노래 경기 12 잡가 : 근대 서민 예술가들의 노래 2013 / 지은이: 이춘희 ; 배연형 ; 고상미 / 예솔
한국 음악의 거장들  : 그 천년의 소리를 듣다 한국 음악의 거장들 : 그 천년의 소리를 듣다 2012 / 송지원 지음 / 태학사
황윤석의 학문과 음악 황윤석의 학문과 음악 2016 / 지음: 성영애 / 學古房
일제강점기의 판소리 문화 연구 일제강점기의 판소리 문화 연구 2013 / 이태화 지음 / 박이정
한민족의 소리를 만나다 한민족의 소리를 만나다 2011 / 윤행석 글.사진 / 심미안
우리 시대의 가무악 : 전통을 이어가는 예인들 우리 시대의 가무악 : 전통을 이어가는 예인들 2012 / 정범태 ; 정운아 공저 ; 정범태 사진 / 눈빛
황병기 연구 :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히다 황병기 연구 : 한국 전통음악의 지평을 넓히다 2014 / 지음: 앤드류 킬릭, 옮김: 김희선 / 풀빛
(사람이 있는 곳에)흘러라 우리 음악 : 국악 길잡이 따라 우리 음악 대장정 (사람이 있는 곳에)흘러라 우리 음악 : 국악 길잡이 따라 우리 음악 대장정 2011 / 남화정 글 ; 홍선주 그림 / 낮은산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1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1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