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헤테로토피아
1부 서사ㆍ신화ㆍ정신분석
천상의 빛 대지의 노래 -이청준의 『서편제』가 감추고 있는 것
1, 서편제, 소설과 영화 사이
2. 빛과 소리, 태양과 지모신
3. 신화의 종말과 회복
4. 귀향으로서의 문학
이야기의 시원, 시원의 이야기-이청준의 『인문주의자 무소작 끼의 종생기』 읽기
1. 이야기를 탐구하는 이야기
2. 유소년, 내면의 수호자
3. 성년, 세상 편력
4. 노년, 이야기꾼의 탄생
5. 식물 은유와 이야기의 존재 방식
6. 이야기꾼의 성공과 실패
육체ㆍ시선ㆍ죽음 -박범신ㆍ김영하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1. 비평적 경험의 의미
2. 삶과 죽음의 길항과 합치
3. 박범신, 응시와 전시
4. 김영하, 공포와 욕망
5. 모성의 강과 부성의 빛
원초적 장면의 변용으로서의 소설 -김애란 소설의 밑그림
1. 도시의 음악을 들어라
2. 사라진 아버지/달리는 아버지/돌아온 아버지
3. 중심으로부터 방사돼 퍼져나가는 불꽃
4. 글쓰기, 현존과 부재의 놀이
5. 무수히 작은 주체들의 개인적 서사
2부 유토피아, 그 흔적을 찾아서
나목에서 금단의 숲까지-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식물적 상상력
1. 황금나무/고목/나목
2. 말뚝: 집/오빠/무덤
3. 꽃피는 나무
4. 선경(仙境)/금단의 숲
현대의 신화-최인호 문학의 기원
1. 동시대 감수성의 풍향계
2. 현실과 환상의 이중주
3. 유년의 상실과 사라진 여인
4. 사물들의 반란
5. 모럴리스트와 트릭스터
6. 맺음말
돌의 정원: 황석영 소설과 알레고리적 상상력-「입석부근」에서 『오래된 정원』까지
1. 돌, 수평과 수직, 연대와 고립의 상상력
2. 알레고리를 창출하려는 충동
3. 입석의 제의, 비원(悲願)의 서사
4. 유토피아, 추구와 추억 사이
3부 국가ㆍ권력ㆍ근대성
권력과 언어-이청준의 『예언자』
1. 저주받은 주술사
2. 사실과 진실의 변증법
3. 권력과 저항의 이중구조
4. 고립된 자아와 연대의 원리
5. 진실에 이르는 길
네메시스의 귀환-박범신의 『겨울강 하늬바람』 읽기
1. 탈향의 서사와 귀향의 서사
2. 정주민과 틈입자
3. 욕망의 삼각형
4. 권력의 우화
유예된 송사(送死), 지연된 애도 -임철우 소설의 상상세계
1. 광주를 넘어서
2. 생존자의 비망록
3. 존재의 변형과 재생
4. 증상으로서의 문학
무(無)를 향한 여정 -김영하의 『검은 꽃』 읽기
1. 소문자로 씌어진 역사
2. 근대로 가는 배
3. 녹색의 금
4. 국가의 탄생
5. 아비 찾기
6. 묵시록적 비전과 아이러니적 비전
4부 헤테로토피아를 향하여
늑대의 후예 -천운영, 새로운 육체의 지형학
1. 가족 극장
2, 부재하는 아버지
3. 더럽혀진 어머니
4. 허구, 내적 환상의 특권화
5. 문신으로서의 글쓰기
세계의 일식 -편혜영 소설의 세계
1. 잔혹동화
2. 폐기물의 성애화
3. 유령도, 좀비도 아니고 원귀도 아닌
4. 심연, 숭고하면서도 비천한 구멍
5. 밝은 방
네 속의 어린 소녀를 구하라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환상의 의미
1. 근대소설/포스트모던 테일
2. 환상의 기원 환상의 상연
3. 피도 눈물도 없는
부유하는 서사 증식하는 세계 -최제훈, 미로소설/무한소설을 향하여
1. 태초에 미로가 있었다
2. 성/괴물/탐정
3. 끝없이 갈라지는, 끊임없이 순환하는 이야기
4. 미로를 건축하는 몇 가지 기술
5. 그토록 잔인한 인식
6. 라이브러리 키드의 글쓰기
5부 저 너머의 문학
만리장성 무너뜨리기 -쑤퉁, 포스트천안문세대의 상상력
1. 메타포로서의 만리장성
2. 만리장성을 향하여
3. 신화적 지평
4. 정치적 지평
5. 만리장성을 넘어서
죽음과 소녀 -마커스 주삭의 『책도둑』 읽기
1. 죽음의 신이 들려주는 이야기
2. 굽어보는 사람
3. 이야기되기를 기다리는 이야기
저 너머에 있는 사랑 -조지 오웰의 『1984』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로
1. 무라카미 하루키 원더랜드
2. 조지 오웰, 백남준, 하루키
3. 아직 오지 않은 과거
4. 기억의 단락
5. Q의 의미
6. 하루키적 서사의 기본 구조
7. 비밀통로
8. 성적 억압과 방종 사이
9. 대타자가 죽은 사회
10. 산양, 토템, 입사식
11. 리틀 피플에 대하여
12. 원초적 장면의 환상
13. 아오마메와 덴고, 지상과 천상, 물질성과 정신성
14. 아버지의 폐위
15. 태초의 폭력적인 아버지
16. 황금가지 왕의 죽음
17. 근친살해와 근친상간
18. 선/악의 피안
19. 달이 보고 있다
20. 소년, 소녀를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