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서론_ 서북(西北) 지역과 서북문인
보론 서북문학 연구의 동향
제1부_ 서북의 로컬리티와 서북인의 삶
제1장 변방의 시간과 새로운 기원의 형성
1. 변방의식의 반전과 ‘서우(西友)’
2. 유예된 미래와 사도로서의 지식인
제2장 현세적 유토피아라는 (불)가능성
1. 평양(平壤), 소년시대의 원형과 회상의 시작
2. 대동강(大同江), ‘청춘의 무덤’앞에서의 생명 의지
3. 정주(定州), 반역자의 긍지와 낙원 추방의 신경증
제2부_ 서북청년의 계보와 소명의식으로서의 문학
제1장 ‘서북청년’의 전형, 도산 안창호와 춘원 이광수
1. ‘무실(務實)’이라는 자기구원의 이념과 도산의 청년수양론
2. 춘원 문학의 종교적 경사와 순교자적 형상의 내면화
제2장 『창조』 세대의 문학론과 소명의식의 세 가지 유형
1. 기독교 문학론과 ‘사랑’이라는 이데아_ 전영택의 경우
2. 정치적 수사학과 ‘언어의 장인’으로서의 작가_ 주요한의 경우
3. 보편적 선(善)의지 너머 ‘전능한 힘’으로서의 예술_ 김동인의 경우
제3부_ 서북청년의 탈영토적 모험과 자기귀환의 구조
제1장 『조선문단』, 월경(越境)의 감각과 보편자적 매개들
1. 변방의식의 역동성과 ‘조선’이라는 이상촌(理想村)
2. 찬미가·창가 세대의 예술론과 노래의 직접성
3. 음성적 자질의 회복과 진리언어 정립의 문제
제2장 『동광』, 서북발(發) 민족주의운동의 이상과 환멸
1. 상해·평양·미주의 네트워크와 민족주의운동론
2. 코스모폴리탄의 명랑성과 망명객의 내면
3. 잃어버린 소년시대와 미완의 보편주의
결론을 대신하여- 민족/문학의 틈새와 서북문학이라는 시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