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안동 동부지역
제1장 내앞마을, 독립운동으로 스러진 겨레의 성지
1. 찬바람만 드나드는 전통 명문마을
2. 의병항쟁에 나서다
3. 안동문화권 혁명의 발상지
4. 150명 넘는 사람이 만주로 가다
5. 만주에 개척한 1910년대 독립운동기지
1) 독립운동기지의 첫 삽을 뜬 경학사
2) 신흥강습소에서 신흥무관학교로
3) 공리회와 부민단
4) 백두산 서쪽에 건설한 비밀병영 백서농장
6. 3·1독립선언과 한족회, 서로군정서 설립
7. 1920년대 초반, 고통 속에 떨친 김동삼의 명성
8. 독립을 위해 이념의 장벽을 넘어선 통일운동
9. 김동삼의 최후와 동북항일연군의 한호
1) 큰 별 김동삼 붙잡히다
2) 동북항일연군 제1사장, 한호 장군
10. 북만주 기지 취원창 개척과 여인들의 고난
11. 국내에 남은 사람들의 항일투쟁
1) 3·1독립선언과 파리장서
2) 1920년대 청년운동과 임하청년회
3) 흠치교에 참가하여 펼친 민족종교투쟁
4) 신간회 안동지회에 참가하다
5) 안동코뮤니스트그룹
6) 최후의 독립운동, 안동농림학교의 조선회복연구단
12. 겨레 위해 산화한 독립운동의 성지 되살리기
제2장 물 밑에 잠겨 버린 무실 사람들의 독립운동 이야기
1. 물속에 사라진 물 마을
2. 의병항쟁에 앞장선 물골 사람들
3. 협동학교를 옮겨 오고, 일제 통치를 거부하다
4. 격렬하게 펼친 챗거리 장터 3·1운동
5. 군자금 모집과 만주지역 독립운동
6. 사회운동에 나서다
7. 남은 이야기
제2부 안동 북부지역
제1장 하계마을, 선비정신과 민족운동의 만남
1. 어디에서 선비정신을 찾나
2. 을미의병의 선봉에 서다
3. 목숨을 끊어 항거한 자정순국
4. 만주로 간 사람들
5. 대한광복회와 하계마을
6. 예안 3·1운동
7. 파리장서
8. 제2차 유림단의거
9. 신간회 안동지회
10. 역사적 책무를 다한 하계마을 선비들
제2장 이육사와 원촌마을의 독립운동가들
1. 규범이 살아 있는 마을
2. 독립운동가 이육사
1) 이원록에서 이육사가 되기까지
2) 육사의 집안과 형제들
3) 자라면서 받은 교육
4) 중국을 드나들며 키워 나간 민족의식
5) 연이은 옥고
6) 초급장교가 되어 국내로 침투하다
7) 체포된 뒤 문학활동으로 방향을 수정하다
8) 친일의 물결 헤치고 투쟁의 길로
9) 백마 타고 온 초인, 이육사
3. 원촌마을 출신 독립운동가들
1) 교육구국운동과 3·1독립선언
2) 의열투쟁과 사회운동
4. 마무리
제3장 물 위로 되살려 낸 부포마을 사람들의 항일투쟁
1. 물속에서 건져 올리는 항일투쟁 이야기
2. 지킬 가치가 있는 보수의 길
1) 의병의 길을 열고 충의사에 참가하며 은둔한 유림들
2) 광무황제 고종 탈상에 맞춘 이명우 부부의 자정순국
3) 보수의 마지막 선택 제2차 유림단의거와 이원태
3. 나라를 찾기 위해 혁신의 길을 열다
1) 본격적인 항일투쟁의 깃발을 든 이동하
2) 보수와 혁신이 손잡은 예안 장터 독립만세시위
3) 1920년대 후반의 항일활동
4. 혁신을 넘어 혁명으로 민족문제를 해결하자
1) 6·10독립만세운동의 선두에 선 이선호
2) 광주학생항일투쟁을 확산시킨 이원혁
3) 안동코뮤니스트그룹에 참가한 부포 청년
4) 서울에서 노동운동을 열어 간 이병기
5) 서울 노동운동계의 불꽃 같은 두 처녀 이효정·이병희
5. 전시수탈체제에 맞선 사람들
6. 부포마을 항일투쟁의 두 그룹
7. 마을은 없어져도 자랑스러운 그 정신은 이어지길
제3부 안동 서부지역
제1장 독립운동을 앞서 열어 나간 금계마을
1. 한국독립운동사와 안동
2. 금계마을 출신 독립운동가와 국내 활동
1) 의병항쟁
2) 계몽운동
3) 3·1운동과 파리장서
4) 의용단의 만주지역 독립운동 지원활동
3. 중국 망명과 국내 침투활동
1) 왜 만주로 망명하였나
2) 만주 망명가들의 투쟁
3) 금계가 배출한 독립운동가의 백미 소창 김원식
4. 금계마을 독립운동가들의 특징
제2장 안동의 모스크바, 가일마을
1. 가일마을을 찾아
2. 광복회 활동과 해외 독립운동 지원
3. 권오설의 등장
4. 권오설과 노동·농민·청년운동
5. 권오설과 6·10만세운동
6. 사회운동에 뛰어든 가일마을 청년들
7. 언어민족주의와 민족운동
8. 새롭게 분주해지는 가일마을
제3장 의열과 진보의 상징, 오미마을 사람들의 독립운동
1. 시작하는 말
2. 풍산김씨와 오미마을
3. 기우는 나라를 붙든 사람들
1) 의병 기록을 남긴 김정섭
2) 자정순국의 선두에 선 김순흠
3) 계몽운동과 오릉학술강습회
4) 군자금 모집과 3·1운동 참가자
4. 민족운동의 큰 걸음을 앞장서 간 김응섭
5. 일왕에게 침략 책임을 물은 첫 인물 김지섭
6. 제1차 조선공산당 초대 책임비서 김재봉
7. 하얼빈을 울린 의사, 김만수
8. 나라 안팎에서 펼친 활동
1) 일본에서 펼친 노동·청년운동
2) 1920·1930년대 사회운동
9. 맺는 말
제4부 안동 주변지역
제1장 영양 주실마을, 민족의 양심 위에 변혁을 일구다
1. 독립운동기지 건설을 위해 만주로
2. 학교를 세워 인재를 기르고
3. 청년운동·노동운동·농민운동
4. 신간회운동
5. 해방의 그날을 위해
6. 해방과 새로운 활기
7. 혁신과 저항을 함께 추구한 마을
제2장 십승지지의 대표 마을, 예천 금당실의 민족운동
1. 시작하면서
2. 의병항쟁
3. 3·1운동
4. 1920년대 이후의 민족운동
1) 군자금 모집활동
2) 사회운동과 신간회
3) 무명당과 조공재건운동
5. 외지에서 독립운동에 참가한 금당실 사람
6. 마무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