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역주편┃
권 1
제1편 경법 │更法│ 법을 상황에 따라 바꾸다
제2편 간령 │墾令│ 황무지 개간을 명령하다
제3편 농전 │農戰│ 경작하며 싸우도록 하다
제4편 거강 │去彊│ 억센 자를 일거에 없애다
권 2
제5편 설민 │說民│ 백성의 본성을 활용하다
제6편 산지 │算地│ 땅의 이익을 따져 응하다
제7편 개색 │開塞│ 때에 맞춰 막힌 것을 열다
권 3
제8편 일언 │壹言│ 부국강병을 부귀와 잇다
제9편 조법 │錯法│ 법을 바로 세워 승리하다
제10편 전법 │戰法│ 전쟁 이치를 알고 싸우다
제11편 입본 │立本│ 치국의 근본을 정립하다
제12편 병수 │兵守│ 방어능력을 적극 키우다
제13편 근령 │劤令│ 패망의 뿌리를 들어내다
제14편 수권 │修權│ 권력을 제대로 사용하다
권 4
제15편 내민 │徠民│ 이웃 백성을 불러들이다
제16편 형약 │刑約│ (원문 망실)
제17편 상형 │賞刑│ 상벌을 공평히 집행하다
제18편 획책 │畵策│ 부국강병 책략을 꾀하다
권 5
제19편 경내 │境內│ 나라 안을 튼튼히 하다
제20편 약민 │弱民│ 법령을 준수토록 만들다
제21편 어도 │御盜│ (원문 망실)
제22편 외내 │外內│ 안팎으로 잘 다스리다
제23편 군신 │君臣│ 군신의 의리를 정하다
제24편 금사 │禁使│ 영을 발하고 동원하다
제25편 신법 │愼法│ 법을 신중하게 지키다
제26편 정분 │定分│ 명의와 한계를 정하다
┃부록편┃
ㆍ부록 1 상앙론 : 상앙학파의 형성과 전개과정
제1부 상앙은 누구인가?
제1편 상앙은 어떻게 살았을까?
제2편 상앙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제1장 상앙 법치사상의 특징
제2장 상앙 법치사상의 구성
제3장 상앙사상의 전개
제2부 『상군서』는 무엇인가?
제1편 『상군서』는 어떻게 나왔을까?
제2편 『상군서』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ㆍ부록 2 『염철론鹽鐵論』 「비앙非秧」
ㆍ부록 3 상앙 연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