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 머리에
제1장 고조선 관모 전통과 고구려 금관
1. 고조선 관모양식의 지속성
2. 금제관식의 전통과 상징성
제2장 ‘傳동명왕릉’ 출토 금제관식과 ‘다물’
1. 동명왕릉 위치와 ‘전동명왕릉’ 축조시기
2. ‘전동명왕릉’ 금관 제작시기와 정치기능
제3장 동천왕 평양성시기 금관과 요서수복
1. 요령성 출토 금제관식의 국적 재검토
2. 동천왕시기 평양성 위치와 최리낙랑국
3. 고구려 금관이 선비족에 미친 영향
제4장 칠성산 211호 무덤 금동제관식과 서천왕
1. 칠성산 211호 무덤의 정체와 금동제관식
2. 서천왕시기 왕관의 정치기능
제5장 서대 무덤 금동제관식과 미천왕
1. 서대 무덤의 정체와 금동제관식
2. 미천왕시기 왕관의 정치기능
제6장 우산 992호 무덤 금제관식과 미천왕
1. 우산 992호 무덤 금제관식과 정체
2. 우산 992호 무덤과 서대 무덤의 연관성
제7장 안악 3호 무덤과 고국원왕
1. 안악 3호 무덤벽화 복식의 국적
2. 금테 두른 백라관과 고국원왕
제8장 마선 2100호 무덤 금제관식과 소수림왕
1. 마선 2100호 무덤 금제관식과 정체
2. 소수림왕시기 금관의 정치기능
제9장 천추 무덤 금제관식
1. 천추 무덤 금제관식과 정체
2. 고국양왕시기 금관의 정치기능
제10장 태왕릉 금관과 광개토대왕
1. 태왕릉 금관과 관식의 정체
2. 광개토대왕 왕관양식과 천하질서
제11장 장군총과 장수왕의 ‘傳강서군금관’
1. 무덤양식과 유물로 본 장군총의 정체
2. ‘전강서군금관’의 불꽃문양과 주체
3. ‘전강서군금관’과 장수왕의 정치이념
4. 불꽃문양 금관의 주체와 장수왕 이념
제12장 고구려 금관의 국제적 위상과 천하질서
1. 고구려 금관의 국제적 위상
2. 금관으로 본 고구려의 천하질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