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미시경제학 입문
제1장 미시경제학의 성격
1.1 경제학과 미시경제이론
1.2 경제학의 방법론
1.3 최적화와 균형
제2장 시장과 수요 · 공급
2.1 시장
2.2 시장수요
2.3 시장공급
제3장 시장의 균형
3.1 시장균형의 분석
3.2 균형의 안정성
3.3 균형분석의 응용
제2편 소비자이론
제4장 소비자의 선호체계
4.1 선호체계의 성격
4.2 효용함수
4.3 무차별곡선
제5장 소비자의 최적선택
5.1 예산제약
5.2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5.3 소득과 가격의 변화와 최적선택
5.4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제6장 소비자이론의 응용과 확장
6.1 소비자이론의 응용
6.2 현시선호이론
6.3 지수의 문제
6.4 소비자잉여
제7장 불확실성하에서의 선택
7.1 불확실성과 조건부상품
7.2 기대효용의 이론
7.3 위험한 자산의 선택에 관한 이론
제3편 생산자이론
제8장 기업과 생산기술
8.1 기업의 성격
8.2 생산기술 : 기초적 논의
8.3 생산기술 : 두 가변투입요소의 경우
8.4 규모에 대한 수익
8.5 기술진보
제9장 생산비용
9.1 비용의 개념
9.2 비용극소화를 위한 선택
9.3 단기에서의 생산비용
9.4 장기에서의 생산비용
9.5 규모수익과 장기생산비용
9.6 범위의 경제
9.7 비용곡선의 이동
제10장 기업의 이윤극대화
10.1 이윤극대화를 위한 산출량의 선택
10.2 결합생산물의 이윤극대화 선택
10.3 이윤극대화가설의 재음미
제4편 시장조직의 이론
제11장 완전경쟁시장
11.1 완전경쟁시장의 특성
11.2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11.3 완전경재하의 장기균형
11.4 산업의 장기공급곡선
11.5 완전경쟁의 후생경제학적 의의
제12장 독점시장
12.1 독점시장의 성격
12.2 순수독점하의 장 · 단기균형
12.3 가격차별
12.4 그 밖의 판매전략
12.5 독점의 후생경제학적 의미
12.6 독점의 규제
제13장 과점시장
13.1 과점시장의 성격
13.2 추측된 변화에 입각한 모형 : 독자적 행동
13.3 가격선도모형 : 불완전한 담합
13.4 카르텔모형 : 완전한 담합
13.5 광고의 이론
13.6 그 밖의 과점시장이론
제14장 게임이론
14.1 게임이론의 기본모형
14.2 최소극대화전략과 안장점
14.3 용의자의 딜레마와 카르텔
14.4 순차게임
14.5 진화게임
14.6 불완전하거나 불비된 정보하의 게임
14.7 경매의 이론
제5편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제15장 생산요소의 고용량과 가격
15.1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15.2 생산요소의 고용량과 가격의 결정
15.3 불완전경쟁과 생산요소시장
15.4 생산요소의 가격과 소득의 분배
제16장 노동시장과 자본시장
16.1 노동의 공급
16.2 자본서비스에 대한 수요
16.3 투자이론
16.4 시점간 자원배분의 모형
제6편 시장과 효율성
제17장 일반균형이론
17.1 일반균형의 의미
17.2 순수교환경제에서의 일반균형
17.3 일반경쟁균형의 존재
17.4 일반경쟁균형과 효율성
제18장 후생경제학
18.1 사회후생 평가의 기준
18.2 경제적 자원의 효율적 활용
18.3 완전경쟁과 자원배분의 효율성
18.4 사회후생함수
18.5 차선의 이론
제19장 시장의 실패
19.1 시장의 실패와 자원배분
19.2 공공재의 문제
19.3 외부성과 환경오염의 문제
제7편 미시경제이론의 새로운 지평
제20장 정보경제이론
20.1 문제의 제기
20.2 역선택
20.3 신호 발송과 선별
20.4 본인-대리인의 문제
20.5 도덕적 해이
20.6 유인설계의 문제
제21장 법경제이론
21.1 이론의 성격
21.2 재산권법의 문제
21.3 계약법의 문제
21.4 불법행위법의 경제적 분석
21.5 범죄와 형벌의 경제이론
제22장 금융시장의 이론
22.1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22.2 선물
22.3 옵션
제23장 형태경제이론
23.1 배경 설명
23.2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23.3 전망이론
23.4 행태게임이론
23.5 행태경제이론의 평가와 전망
사항색인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