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한민국은 1948년에 건국되었고, 한국인은 해방 이후에야 민주주의를 알았고, 한국 민주주의는 미국식 민주주의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일까? 이 책은 역사적 사료와 인물들의 행적, 실천을 바탕으로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이러한 통념을 뒤집는다.
목차
머리말·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프롤로그 대한민국사 여행을 시작하며
1. 고종이 홍영식과 대통령제에 대해 토론하다 - 민주주의란 말을 언제 처음 알았을까?
미국에는 대통령이 있다
세상에는 여러 나라가 있다
최한기, 민주정치를 발견하다
임금과 백성의 권리가 같다니!
구미입헌정체
2. 최초의 민주주의자를 찾아서 - 민주주의 실천의 기원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실패한 쿠데타
입헌 정체를 탐색하다
최초의 민주주의자는……
민중적 지식인 전봉준
인민 자치를 실험하다
왕은 있으나 왕권은 없다
민주를 적대한 자유, 갑오개혁이 비극적 종결
3. 의회와 헌법을 상상하다 - 민주 정치의 제도화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1896년 조선, 공론의 장이 열리다
왕권과 민권, 주권은 누구에게 있나?
중추원을 의회처럼 고쳐 운영하자
“나를 체포하라”
황제의 대반격, 그리고 대한국 국제
그런데, 왜……
4. 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제로 - 민주공화제를 우리 것으로 삼은 때는 언제였을까?
“구한국이 사라짐을 슬퍼하고, 신한국 건설을 축원한다”
새로운 대한을 상상하다
고종에게 망국의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
공화 만세! 민국을 상상하다
대동단결하여 임시정부를 수립하자
5. 3·1운동, 마침내 대한민국이 탄생하다 - 대한민국은 언제, 어떻게 탄생하였을까?
주권민유를 선언한 3ㆍ1운동
대한독립만세, 공화만세!
대한민국을 수립하다
헌법의 아버지 조소앙, 민주공화국의 시대를 열다
6. 혁명의 시대, 자유와 평등을 양 날개로 삼아 - 우리가 이해한 민주주의는 무엇이었을까?
‘혁명의 시대’
민주주의를 상상하다
《동아일보》……,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민주주의의 두 날개 : 정치적 자유와 사회적 평등
치안유지법, 민주주의의 왼쪽 날개를 자르다
7. 민주공화국, 식민지 너머의 꿈 - 독립운동가들은 어떤 국가를 상상하였을까?
나라가 없다는 것
문제는 식민지 자본주의, 대안은 민주주의
독립을 꿈꾼다는 것은?
균등 사회를 꿈꾸다
건국 강령 - 대한민국의 설계도를 만들다
8. 선거를 통해 민주공화국을 세우자 - 해방, 국가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암흑의 세월?
그날이 오면……
“결정적 시기 무장봉기”로 독립을 쟁취하자!
미국과 소련, 그리고 대한민국
1945년 8월 15일
선거를 통해 민주공화국을 세우자
9. 남과 북, 분단으로 치닫다 - 분단의 원인은 무엇이며 정녕 피할 수는 없었을까?
돌아온 이승만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조선인민공화국
모스크바 3상 회의……
신탁통치 반대냐 임시정부 수립이냐
합작인가 단독정부인가 - 38선 이북의 선택
민주의원과 민전, 그리고 미군정
미소공동위원회, 통일임시정부 수립을 가늠하다
분단을 피할 수는 없었을까?
10.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 대한민국 헌법에는 어떤 이야기가 아로새겨져 있을까?
분단으로 치닫다
두 개의 헌법 초안
두 개의 선거법, 그리고 첫 선거
헌법을 만들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필로그 1948년,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부록ㆍ대한민국 헌법(1948. 7. 17.)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