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숙종이 태조의 사적을 낱낱이 정비하면서 창업주 태조가 신권의 도전에 대한 왕권을 다지는 데 있어서 어떤 의미이고 어떤 정치사적 배경에서 정책이 실행되었는지 당시의 사료를 기반으로 밝혀낸 대중서이다.
목차
이 책을 펴내며
[1부] 태조를 다시 살리기까지 1. 잊혀진 창업주, 태조 2. 북벌이 떠난 자리, 예송이 남긴 유산
[2부] 창업주 태조를 되살린 숙종 1장 태조의 시호를 새로이 추가하다 1. 송시열, 태조의 시호 추상을 건의하다 2. 위화도회군을 새롭게 평가하다 3. 태조의 시호 추상이 확정되다 4. 시호 추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 2장 태조의 영정을 다시 그리고 옛집에 비를 세우다 1. 태조 영정을 다시 만들기까지 2. 다시 그린 태조 영정 3. 영정 모사를 바라보는 시각과 그 파장 4. 태조의 옛집에 비를 세우다 3장 신덕왕후를 본궁에 제사하다 1. 잊혀진 왕비, 신덕왕후 2. 신덕왕후를 종묘에 추부하다 3. 본궁에도 신덕왕후를 추부하라 4. 마침내 본궁 추부도 실현되다 4장 북도 사적을 정비하기 시작하다 1. 북도 사적 재인식 2. 《팔준도첩》 제작과 《용비어천가》 3. 숙종의 북도 사적 정비 5장 태조를 따라 기로소에 들어가다 1. 숙종의 기로소 입소 2. 세자 대리청정과 정유독대 3. 기로소 입소 의례와 의미
[3부] 숙종의 사업을 계승한 영조와 정조 1장 영조, 경복궁 빈터에서 중흥을 꿈꾸다 1. 영조와 경복궁 빈터 2. 창업 회상과 중흥 3. 과거를 베풀고 의례를 행하다 4. 교서 반포와 문소전 터에 세운 비 2장 정조, 스스로 창업주가 되고자 하다 1. 정조의 창업 사적 정비 2. 본궁 의례 정비와 환조의 영흥본궁 봉안 3. 환조가 된 사도제사, 태조가 된 정조
글을 마치며│숙종은 왜 태조의 후광이 필요했을까
이 책 내용의 기반이 된 필자의 연구 논문 및 사진 자료 출처
서가브라우징
(역사자료로 보는)난중일기2020 / 이순신 지음; 윤헌식 주해 / 북랩
다시 쓰는 징비록 : 조명일 삼국전쟁 : 임진왜란 2019 / 필자: 이승화 / 좋은땅
이순신의 끝없는 죽음 : 취도 포탄탑의 한시, 명량해전의 벽파 대첩2013 / 이종락 저 / 선인
이순신의 바다: 그 바다는 무엇을 삼켰나2022 / 황현필 지음 / 역바연
(역사평설) 병자호란. 12013 / 글쓴이: 한명기 / 푸른역사
(역사평설) 병자호란. 22013 / 글쓴이: 한명기 / 푸른역사
(다시 읽는)하멜표류기: 코레아, 유럽을 처음 만나다2020 / 강준식 지음 / 그림씨,
국왕 숙종, 잊혀진 창업주 태조를 되살리다 : 조선 후기 왕실사적정비 연구2013 / 윤정 지음 / 여유당출판사
숙종, 강화를 품다2014 / 이경수 지음 / 역사공간
금기어가 된 조선 유학자, 윤휴: 왕과 사대부들 그리고 사관마저 지우려 했던 조선 최초의 자유로운 사상가 2021 /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 :
(역주) 요승처경추안 : 살아생전에 생불로 추앙받다 죽어서 무당의 제사를 받은 불승 처경의 삶2013 / 최종성 역주 / 지식과교양
제물포해전과《바략》 = Sea Battle at Chemulpo and 《Varyag》2013 / V. I. 카타예프 저 ; 신세라 ; 정재호 역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기획 / 글로벌콘텐츠
하멜 표류기: 조선과 유럽의 운명적 만남, 난선제주도난파기2020 / 헨드릭 하멜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한양의 도시인: 선비는 연애하고 노비는 시를 짓네2022 / 지음: 안대회 / 문학동네
민이 법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조선 후기 한성부의 범죄 보고서2014 / 유승희 지음 / 이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