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글
1부 악역을 자처한 임금들 - 태종과 세조
1. 태종
하늘이 시킨 일 오명을 마다하리 - 정몽주 제거
집안에 갇힌 아버지, 칼로 맞선 아들 - 골육상쟁
왕에게 동지는 없다, 신하만 있을 뿐 - 외척과 공신 숙청
호랑이가 새끼 키우듯 후계자는 엄하게 키워라 - 세자 교체와 양위
태평성대를 위하여, 수고는 모두 내게 맡겨라 - 마지막 유산
2. 세조
시대를 잘못 읽어 잉태된 국가의 비극 - 군주의 오판
역사의 시계 거꾸로 돌린 명분 없는 쿠데타 - 헌정질서 파괴
정권의 패륜을 본 인재들, 목숨은 줘도 마음은 안 줘 - 사육신과 생육신
특권층 1만 명의 천국, 백성들에게는 지옥이 되다 - 공신들의 나라
잘못된 쿠데타의 유산, 예종 목숨마저 앗아갔다 - 불행한 종말
2부 신하들에게 쫓겨난 임금들 - 연산군과 광해군
3. 연산군
말 갈아탄 신하들, 참을 수 없는 옛 군주의 흔적 - 폐위 이후
인재들을 죽음으로 내몬 리더의 지적 능력 부족 - 준비 안 된 군왕
자신들의 적을 백성의 적으로 기록한 붓의 권력 사대부 - 부풀려진 폭정
조선 최고 음란한 임금은 반정 사대부들의 날조 - 황음무도 논란
문풍에 갇힌 사대부, 무인 군주의 꿈을 꺾다 -`숭무정책의 좌절
뜻이 옳아도, 고립된 권력은 실패한다 - 우군 없는 군주
4. 광해군
후계가 불투명할수록 정쟁이 깊어진다 - 험난한 즉위의 길
서른 세 살의 준비된 임금, 세 살짜리 적자와 후계를 겨루다 - 적자 옹립세력
시대를 앞서갔지만 신하를 설득하지 못한 군주의 비극 - 동북아 정세 급변
민생 위해 손잡은 연립정권, 스승의 명예 위해 갈라서다 - 문묘종사 논란
소통과 통합에 실패한 군주, 외롭게 몰락하다 - 소수파의 임금
3부 전란을 겪은 임금들 -선조와 인조
5. 선조
불투명한 후계자 계승, 정통성 콤플렉스를 낳다 - 방계승통
당쟁 줄타기하던 임금, 서인의 손에 도끼를 쥐어 주다 - 정여립 사건
수많은 전란 징후, 무능한 정권은 눈을 감았다 - 임진왜란 전야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사라진 나라, 백성들도 버렸다 - 요동 파천 논란
신분제도와 조세제도 개혁, 민초들이 전쟁에 나서다 - 면천법과 작미법
전쟁 끝나자 다시 양반 천국 - 지배층의 변심
6. 인조
국익 위에 당론, 임금 갈아치우는 쿠데타 명분으로 - 서인의 왕
피의 보복이 부른 정치 실종, 전란을 부르다 - 정치 보복과 자체 분열
명분 때문에 현실을 외면한 정권, 끝내 삼전도 굴욕 - 외환 부른 쿠데타
새 세상을 봤지만 권력에서 소외된 후계자의 좌절 - 날개 꺾인 소현세자
어린 손자들까지 죽음으로 내몬 어진 임금 인조 - 세자 일가의 비극
4부 절반만 성공한 임금들 - 성종과 영조
7. 성종
기다렸다는 듯, 예종 승하한 날에 성종 즉위식 - 밀실 담합
권력은 공신들 손에, 어린 임금은 때를 기다렸다 - 귀성군 제거 사건
대비 윤씨, 벽서 나붙자 권력이양 결심 - 승정원 벽서 사건
신진 사림에 탄핵·언론권 주며 시대의 금기와 맞서다 - 홍문관 설치
조용히 힘 키운 성종, 왕명 거스른 한명회 축출 - 압구정 사건
애정 다툼을 투기로 몬 임금, 참극의 씨를 뿌리다 - 낮과 밤의 두 얼굴
남의 힘으로 왕이 된 성종, 현실과의 타협은 숙명 - 무예 장려
8. 영조
난 경종의 충신, 김일경은 뻣뻣했다 - 소론 강경파 숙청
결국 봉기한 준소, 하지만 영조 곁엔 완소가 있었다 - 이인좌의 난
과거사를 지우고 싶은 영조, 탕평을 제안하다 - 신유대훈
검소한 군주의 눈물도 양반을 누르지 못했다 - 애민군주의 한계
화난 영조, 양반의 나라니 경들이 다스리시오 - 숙빈 최씨 추숭
소론은 희망을 잃고, 임금은 이성을 잃었다 - 나주 벽서 사건
영조의 왕위이양 쇼, 네 살 세자는 석고대죄했다 - 사도세자 ①
대리청정 덫에 걸린 세자의 뜨거운 가슴 - 사도세자 ②
열다섯 살 계비가 불행의 씨앗이 될 줄이야 - 두 외척의 대립
옥새를 세손에게, 새 군주의 시대 열리다 - 마지막 유조
조선 왕조 계보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