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여성주의 및 여성정책 전반에 대해 관심을 둔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대학사회와 성평등 및 여성 이슈, 대학사회와 젠더정치에 관심 있는 연구자나 일반인들, 대학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들이나 대학교수, 특히 여교수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성평등 공간으로서의 대학사회
제1장 평등의 실행 공간으로서의 대학 / 오정진
Ⅰ. 누구에게나 있는(?) 학번
Ⅱ. 제 몫을 다하지 못하는 대학
Ⅲ. 너무 자연스러운 위계와 불평등
Ⅳ. 참거나 괴물이 되거나
Ⅴ. 性 동일성, 그리고 젠더 차별의 상처들
Ⅵ. 위계와 성 불평등이 겹쳐질 때
Ⅶ. 불평등과 부조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Ⅷ. 대학에서 평등을 실행하기
제2장 대학에서의 숨은 그림 찾기, ‘공간-여성-권리-정치’ / 임애정
Ⅰ. ‘사라진 그녀들’에 대하여
Ⅱ. 대학에서의 사회적/관계적 ‘공간’ 찾기
Ⅲ. 대학공간에서의 ‘여성’ 찾기
Ⅳ. 여성의 대학공간에 대한 ‘권리’ 찾기
Ⅴ. 여성의 대학공간에 대한 ‘정치’ 찾기
Ⅵ. 대학에서의 ‘공간주권 구현’에 대하여
제3장 남녀교수들의 성평등 의식, 현주소를 보다 / 최정혜
Ⅰ. 대학사회 성평등 문제제기가 필요한 이유
Ⅱ. 대학 내의 성차별적 구조는 어떠한가?
Ⅲ. 남녀교수들의 성평등 의식 조사방법
Ⅳ. 경상대학교 남녀교수들의 성평등 의식
Ⅴ. 남녀교수들의 성평등 의식 전환을 위한 과제
제4장 고학력 대졸여성의 진로 현황 / 김상대
Ⅰ. 여성 취업자 천만 명 시대
Ⅱ. 대졸 취업자 전체 현황
Ⅲ. 대졸자 계열별 취업 현황 및 업무만족도
Ⅳ. 결론 및 제언
제2부 대학사회와 성주류화의 방향
제5장 대학사회 양성평등, 어디까지 왔나? / 송인자
Ⅰ. 대학사회 양성평등의 필요성
Ⅱ. 대학교육과 양성평등 현황
Ⅲ. 대학 내 양성평등 증진을 위한 정책
Ⅳ. 대학사회 양성평등을 위한 성주류화 도구
Ⅴ. 대학사회 양성평등 실현 방안
제6장|대학사회 성주류화,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 이혜숙
Ⅰ. 대학 및 교수사회의 성평등 이슈의 중요성
Ⅱ. 성주류화의 전략과 구성요소
Ⅲ. 사례: 국립 경상대학교
Ⅳ. 대학사회 성주류화: 방향과 과제
제7장 독일 대학의 성주류화: 여성신진학자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 하이케 헤르만스, 강보길
Ⅰ. 들어가며
Ⅱ. 독일 대학에서 여성의 위상
Ⅲ. 여성의 교수직 진출에 나타나는 문제점
Ⅳ. 여성신진학자 지원 정책
Ⅴ. 앞으로의 과제
제3부 여교수 역량강화 방안과 젠더정치
제8장 여성교수의 지위 현황으로 본 대학사회의 젠더정치 / 구자순
Ⅰ. 대학사회와 여성교수
Ⅱ. 여성과 정치
Ⅲ. 여성교수의 지위 현황
Ⅳ. 여성교수의 지위와 젠더정치화 사례
Ⅴ. 국공립대학 여성교수 임용목표제의 정치적 의미와 문제점
Ⅵ. 여성교수 확대 방안 및 연구의 한계
제9장 여교수회의 활동과 의미: 경북대 여교수회 결성과 활동의 경험 / 김영화
Ⅰ. 들어가기
Ⅱ. 1987년 당시 교수들의 모습
Ⅲ. 개인적 경험: 담배 피우는 여교수
Ⅳ. 1987년 3월 1일에서 2004년 5월 14일 (경북대 여교수회 창립일)까지
Ⅴ. 2004년 여교수회를 창립하기까지
Ⅵ. 여교수회 창립총회
Ⅶ. 여교수회의 활동과 의미
Ⅷ. 여교수회 창립 그 이후: 2011년 타인의 눈에 비친 경북대학교 여교수회의 모습
Ⅸ. 글을 마무리하며: 전망과 과제
제10장 대학사회의 몰성성(沒性性) 극복을 위한 성인지적 여교수 역량강화 방안 / 권희경
Ⅰ. 대학사회의 몰성성(沒性性)
Ⅱ. 여교수 역량강화 요구도 조사
Ⅲ. 여교수 역량강화 방안
Ⅳ. 여교수 역량강화를 위한 3요소 제안
제11장 전국여교수연합회의 활동과 과제 / 조성남
Ⅰ. 전국여교수연합회의 창립과 초기 활동
Ⅱ. 초창기 전국여교수연합회의 활동과 당시 여교수의 지위와 역할
Ⅲ. 전국여교수연합회의 성장기 활동
Ⅳ. 고급여성인력개발과 전국여교수연합회 활동의 지평 확대
Ⅴ. 전국여교수연합회 10년과 제2의 도약
Ⅵ. 전국여교수연합회의 향후 과제와 여교수의 사회적 책임
참고문헌
색인
필자 소개(원고게재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