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정치외교사 총서 6권. 한 민족 국가의 존립, 통일, 번영을 위해 국제정세, 동북아국제정세, 그리고 중국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응이 절실하다. 이런 필요에 부응하여, 편자는 이 책이 해당분야의 전문가들에게는 학문적 연구와 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일반 독자들에게는 민족의 통일과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중국변수를 제대로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동방 삼국을 바라보는 당태종(唐太宗)의 시선 -동북공정의 원류를 찾아서 / 신복룡
Ⅰ. 서론
Ⅱ. 삼국 전쟁 이전의 국제 관계
Ⅲ. 당태종의 통치술: 정관지치(貞觀之治)
Ⅳ. 당태종의 동방 인식과 원정의 전개
Ⅴ. 삼국전쟁의 의미
Ⅵ. 결론
壬辰倭亂과 明의 역할 / 한명기
Ⅰ. 머리말
Ⅱ. 명군의 임진왜란 참전 배경
Ⅲ. 명군의 진입과 평양전투 승리의 의미
Ⅳ. 벽제전투 패전과 명군 지휘부의 講和 집착
Ⅴ. 명군 지휘부의 講和 배경과 조선 압박
Ⅵ. 정유재란 시기 명의 위기의식과 水軍 파병
Ⅶ. 명군 참전이 조선에 남긴 것
Ⅷ. 맺음말
청일전쟁 당시 청군의 조선출병 과정 및 그 목표의 변화 / 권혁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청군의 제1차 조선출병 및 작전경위
Ⅲ. 청군의 제2차 조선출병 및 작전경위
Ⅳ. 조선출병 청군의 목표 및 그 변화과정
Ⅴ. 나가는 말
중국의 한국전 참전과 국내정치 -참전의 대내적 요인과 영향을 중심으로 / 김옥준
Ⅰ. 머리말
Ⅱ. 신생 중국의 국내상황
Ⅲ. 한국전 진전에 따른 중국의 태도와 참전의 결정
Ⅳ. 한국전 참전의 대내외적 요인
Ⅴ. 한국전 참전의 대내적 영향
Ⅵ. 맺음말
한국전쟁 이후 ‘중국군 위협’에 대한 한·미의 대응 / 조성훈
Ⅰ. 문제제기
Ⅱ. 한ㆍ미의 중국군 인식
Ⅲ. 국군증강론과 중국군 철수론
Ⅳ. 중국변수와 대량보복전략론
Ⅴ. 맺음말
중국인민지원군의 철군과 북중관계 / 박종철
Ⅰ. 문제제기
Ⅱ. 중국인민지원군의 잔류와 감축
Ⅲ. 종파사건을 둘러싼 중소의 공동개입과 북중갈등의 표출
Ⅳ. 사회주의권의 혼란, 그리고 철군의 결정
Ⅴ. 이 글을 맺으며
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 박창희
Ⅰ. 서론
Ⅱ. 중국의 대한반도 전략
Ⅲ. 북한급변사태와 중국의 이익
Ⅳ. 중국의 군사개입 목적과 유형
Ⅴ. 중국의 군사개입 시나리오
Ⅵ. 결론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대응 -한국에 대한 안보적 함의 / 이상현
Ⅰ. 서론
Ⅱ. 중국 부상의 복합적 의미
Ⅲ. 중국의 부상에 대한 미국의 대응
Ⅳ.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
Ⅴ. 맺음말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