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는 거대한 중국, 러시아를 통해 유라시아 대륙 전체와 소통하는 경제·문화적 교류와 통합의 중심지가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세계에서 가장 민감한 긴장지대로 남을 수도 있다. 다극체제하의 복잡한 대외환경을 현명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도 우리는 중국, 러시아의 실체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아야 한다.
목차
축사 머리말
총론 _ 중국, 러시아의 당면과제와 미래 / 박상남
제1부 중국, 러시아의 체제비교 제1장 중국과 러시아의 주택사유화 개혁 경로 / 김수한, 조영관 1. 서론 2. 사회주의 계획경제 시기 중국 소련의 주택제도 3. 중국과 러시아 주택제도 전환 과정 비교 4. 시장주도의 주택시장 형성과 조정정책의 대두 5. 결론 제2장 중국과 러시아의 권위주의 체제는 왜 지속될 수밖에 없는가? / 김재관 1. 서론 2. 독재와 민주주의의 중간단계로서 권위주의 3. 어떤 권위주의 체제인가? 4. 권위주의 체제하 민주주의의 변형 5. 결론 제3장 러시아 민주주의 공고화와 정치과정 / 유진숙 1. 서론 2. 민주주의 공고화 논쟁 3. 러시아의 민주주의 공고화 4. 결론: 러시아의 민주주의 공고화와 정치체제 유형
제2부 중국, 러시아 대외정책의 조건과 목표 제4장 러시아의 중국정책: 동맹 또는 라이벌? / 백준기 1. 서론 2. 러중 관계의 복원: 옐친 정부의 ‘다극체제외교’ 3. 러중 관계의 공고화: 푸틴 정부의 ‘멀티벡터외교’ 4. 정책결정 수준과 요인들 5. 메드베데프 정부의 ‘지속가능한’ 중국 정책 6. 결론 제5장 중국의 러시아 관계: 역사적 교훈의 순환과 실천의 반복 / 주재우 1. 서론 2. 역사적 회고: 1949~1989년의 중소 관계 3. 1990년대 중소·중러 관계: 상호 신뢰 구축 시기 4. 21세기의 중러 관계 5. 결론 제6장 중국 에너지외교의 현황과 전망 / 원동욱 1. 서론 2. 중국 에너지외교의 배경과 주요 내용 3. 중국 에너지외교의 특성 분석 4. 중국의 에너지외교와 동아시아 에너지협력 5. 결론 제7장 중국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 이상국 1. 서론 2. 중국의 이해관계와 관련국들의 외교정책 3. 주요 이슈별 중국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4. 중국의 중앙아시아 개입 노력: 절반의 성공 5. 결론 제8장 러시아의 대중앙아시아 정책과 중국 요소 / 박상남 1. 서론 2. 러시아의 대외정책 지향성과 중앙아시아의 전략환경 3. 러시아의 대중앙아시아 정책 변천 과정 4. 중앙아시아와 러중의 역학관계 5. 결론
제3부 중국, 러시아의 파워엘리트 형성 배경과 발전 제9장 체제전환기, 중국과 러시아의 정치엘리트 비교연구 / 주장환, 박정호 1. 서론 2. 중국과 러시아의 주도 엘리트 유형의 변화 3. 중국과 러시아 최신 정치엘리트의 특성 4. 중국과 러시아 최신 정치엘리트의 형성 배경 5. 결론: 비교와 함의 제10장 중국 민주주의 발전의 제약 : 당국가의 사영기업 통제와 붉은 자본가 / 이기현 1. 서론 2. 당국가정책의 변화와 사영경제의 성장 3. 당국가의 사영경제 통제와 붉은 자본가 4. 사례: 중국 부동산개발상과 붉은 자본가 5. 결론 제11장 러시아 정치권력과 올리가르히의 갈등과 정경유착 / 김선래 1. 서론 2. 옐친 시기, 경제엘리트 올리가르히의 형성과 권력화 과정 3. 푸틴의 주권민주주의와 정경유착단계 4. 결론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중국 지방 정부간 권력조정의 정치경제 : 저장·장쑤·지린 3개성의 '성관현(省管縣)' 개혁 비교 연구2013 / 지은이: 이상국 / 아연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