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주의 체제 전환 이후 발전상과 한반도 통일
발행연도 - 2011 / 황병덕 외 지음 / 늘품(늘품플러스)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1121
-
ISBN
9788993324259
-
형태
361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국방/군사/통일
>
북한/통일론
책소개
'통일대계연구 남북합의통일 마스터플랜' 4권. 본 책은 사회주의체제 전환 사례를 분석·평가하고 한국 주도의 점진적 합의통일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 주도의 점진적 합의통일이란 우선 평화적이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중심이며, 한국 국민이 주도하는 형태의 통일이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내용
Ⅱ.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발전과 국가지위 향상
1. 문제 제기
2. 개혁·개방의 배경
3. 개혁·개방의 대내적 전개와 성과
4. 개혁·개방 이후 대외전략과 국제적 지위 향상
5.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Ⅲ. 베트남 개혁·개방에 따른 경제·사회의 발전상 연구
1. 문제 제기
2. 베트남 개혁·개방정책의 특징 및 추진과정
3. 정치·사회적 질서의 변화와 성과
4. 경제부문의 변화와 발전상
5. 베트남의 극복과제
6.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Ⅳ. 중동부 유럽 국가들의 사회주의 체제 전환에 따른 발전상 : 폴란드, 루마니아 및 헝가리
1. 폴란드 체제전환 이후의 발전상 연구
2. 헝가리 체제전환 이후의 발전상 연구
3. 루마니아 공산정권 붕괴와 체제전환 발전상 실태
Ⅴ. 결론
1. 점진적 합의통일 추구
2.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