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AR재단은 지난 1년 반 동안 ‘다가오는 동아시아 시대와 한국’이라는 명제를 놓고 130여 명의 전문가들과 30여 회가 넘는 라운드 테이블 세미나를 통해 치열한 토론과 논쟁을 벌였다. 지금 그 장기간 노력의 산물이 세 권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목차
머리말
Part 1 동아시아 시대의 도래 ㆍ서론 ㆍ동아시아 시대의 국제정치학적 맥락 ㆍ중국의 부상과 국제질서의 변화 ㆍ동아시아 시대의 준비
Part 2 중국의 부상, 동북아 안보, 그리고 한국의 전략 ㆍ중국의 부상과 대동북아 외교 ㆍ중국 전략사고의 분화 및 대북정책 ㆍ2010년 센카쿠 열도 분쟁의 함의 ㆍ혼돈의 시기에 들어선 중국 대외정책 ㆍ동북아 국제정치 구도변화에 대한 이해와 한국의 선택 ㆍ변화하는 국제정치 구도 속 한국의 대응전략
Part 3 미국의 동아시아정책과 미·중 관계 ㆍ서론 ㆍ동아시아 시대의 전략환경 ㆍ한국의 대응 ㆍ결론
Part 4 동아시아 협력과 과제 ㆍ문제제기 ㆍ한국의 동아시아 구상은 무엇인가 ㆍ동아시아 협력의 과정과 그 필요성 ㆍ동아시아의 정치·안보협력에서 변화 ㆍ강대국 간 관계를 제어할 제도의 형성, 과연 이루어 질 것인가 ㆍ한국의 대응전략
Part 5 동아시아 시대, 북한 변화와 한반도 통일 ㆍ서론 ㆍ동아시아 시대와 북한 변화 ㆍ동아시아 시대와 한반도 통일 ㆍ결론
Part 6 동아시아 시대와 한국의 동맹전략 ㆍ문제설정: 한·미 동맹의 딜레마 ㆍ동맹의 정치이론 ㆍ탈냉전·민주화 시대 한·미 동맹의 역사 ㆍ한·미 동맹 재조정의 쟁점: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 ㆍ동아시아 시대와 한·미 동맹 ㆍ결론
Part 7 동아시아 시대의 도래와 한국의 외교·안보전략 ㆍ우리는 동아시아 질서의 구조적 변화에 준비가 되어있나 ㆍ다자적 질서와 냉전적 질서의 교차점에 선 한국 ㆍ한국 외교·안보의 과제와 전략 ㆍ결론
동아시아 시대 한국의 외교·안보정책 준비를 위한 기본전략과 30대 정책과제
서가브라우징
국제기구와 한국외교 : 이론과 실제 =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Korean diplomacy : theory and practices2015 / 박흥순 ; 정우탁 ; 이신화 공저 / 오름
세계질서의 변화를 읽는 7개의 시선 : 대전환의 시대, 한반도 평화의 길을 묻다 2020 / 지음: 한홍열, 최우선, 이정철, 이남주, 강유덕, 윤성욱 / 메디치미디어
세계질서의 변화를 읽는 7개의 시선 : 대전환의 시대, 한반도 평화의 길을 묻다 2020 / 한홍열, 최우선, 이정철, 이남주, 강유덕, 윤성욱 지음 / 메디치(메디치미디어)
한국과 국제사회 : 세계 속의 한국2013 / 소치형 지음 / 건국대학교출판부
한국과 국제사회 : 세계 속의 한국2013 / 소치형 지음 / 건국대학교출판부
세계화와 국가안보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전망하면서2011 / 신정현 지음 / 한국학술정보
세계화와 국가안보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전망하면서2011 / 신정현 지음 / 한국학술정보
미중 사이에서 고뇌하는 한국의 외교 안보 : 연미화중으로 푼다2011 / NEAR재단 엮음 / 매일경제신문사(매경출판주식회사)
외교의 시대 = The era of diplomacy : 한반도의 길을 묻다2015 / 윤영관 / 미지북스
한국외교 2020 어디로 가야하나?. 12013 / 윤영관 엮음 / 늘품(늘품플러스)
한국외교 2020 어디로 가야하나?. 22013 / 윤영관 엮음 / 늘품(늘품플러스)
(패권 충돌의 시대)한국의 대전략2022 / 이교관 지음 / 김앤김북스
대변환 시대의 한국 외교: 포스트 팍스 아메리카나와 우리의 미래2020 / 이백순 지음 / 21세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