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안보 : 2012-3, 이슈와 행위자
발행연도 - 2012 / 정은숙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도서관
송도국제도서관
-
자료실
송도국제기구도서관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SL0000000964
-
ISBN
9788946054325
-
형태
503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외교, 국제관계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외교정책/외교학
책소개
글로벌 거버넌스 차원에서 국제안보의 이슈와 행위자를 다루고 있다. 이제 국경과 영토단위의 전통적인 군사안보 개념만으로는 글로벌 안보에 대한 도전과 위협을 다루기가 어렵게 되었다. 글로벌 평화와 분쟁, 테러리즘,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등 좀 더 포괄적이고 좀 더 상호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국제안보를 꾀해야 하는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서언
제1부 21세기 글로벌 거버넌스의 포괄적 이해
제1장 글로벌 거버넌스
1.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의
2.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의 배경
3. 글로벌 거버넌스와 관련된 학계의 연구동향
4. 2012년 글로벌 거버넌스 주요 이슈와 결핍논쟁
5. 미래의 글로벌 거버넌스: 변수와 전망
제2장 유엔과 글로벌 거버넌스
1. 2008년 유엔의 과제 분석
2. 2009년 유엔의 과제 분석
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개혁논의와 한일관계
4. 한국의 유엔 PKO참여법 제정과 PKO
5.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개선
제2부 글로벌 분쟁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제3장 제2세대 유엔 PKO: 특징ㆍ현황ㆍ정치
1. 서론
2. 유엔 PKO의 진화
3. 유엔 PKO의 운용현황
4. 주요 강대국의 유엔 PKO 정치
5. 결론
제4장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 미션: 21세기형 PKO 사례
1. 서론
2. 냉전종식 이후 유엔 PKO의 개념확장 추이
3. 코소보 유엔 PKO의 배경
4. 코소보 유엔 PKO의 특성
5. 21세기 유엔 PKO의 개념확장과 관련한 시사점
6. 결론
제5장 인도주의적 개입: 완벽할 수 있을까?
1. 서론
2. 인도주의적 개입의 공통분모
3. 인도주의적 개입에 관한 국제적 규범
4. 시행착오의 여정
5. 냉소주의자
6. 요약 및 결론
제3부 글로벌 테러리즘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제6장 9ㆍ11테러 이후의 글로벌 테러리즘 거버넌스
1. 글로벌 테러리즘의 위협 증대와 반테러 작전의 딜레마
2. 글로벌 분쟁과 테러와의 상관관계
3. 국제적 반테러리즘 공조 현황
4. 한국의 글로벌 반테러리즘 공조 현황
제7장 실패국가 소말리아의 해적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
1. 소말리아 해적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2. 대한민국 해군 청해부대와 소말리아 해적재판
제4부 글로벌 핵무기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제8장 글로벌 비핵화의 모범사례: 벨루루시ㆍ우크라이나ㆍ카자흐스탄
1. 문제의 제기
2. 대량살상무기 측면에서 본 소련 붕괴의 의미
3. 신생 3개국의 비핵화 달성
4. 신생 3개국의 비핵화 내부요인
5. 신생 3개국의 비핵화 외부환경
6. 신생 3개국의 비핵화 이후 행로
7. 우크라이나 사례를 통해 본 핵평화 이론
8. 결론 및 북핵문제 시사점
제9장 NPT평가회의와 레짐의 미래
1. 2005년 제7차 NPT평가회의에 대한 논쟁
2. 2010년 제8차 NPT평가회의에 대한 논평
제10장 북한의 핵보유 선언: 러시아의 반응과 정책전망
1. 2005년 2월 북한의 핵보유 선언
2. 푸틴정권하에 긴밀해진 북ㆍ러 관계
3. 러시아가 판단하는 북핵문제의 책임 소재
4. 러시아가 판단하는 북핵문제의 심각성 정도
5. 러시아가 판단하는 북핵문제 해결방안
6. 국제협상의 목표와 방법
제11장 이란의 핵문제와 북핵문제 시사점: 레짐과 국제정치
1. 문제의 제기
2. 비확산 레짐의 측면에서 본 이란의 핵문제
3. 국제정치적 측면에서 본 이란의 핵문제
4. 이란의 핵문제 해결에 대한 잠정적 전망
5. 결론 및 북한 핵문제 관련 정책시사점
제12장 오바마와 메드베데프의 핵군축 합의
1. 합의의 배경과 내용
2. 오바마 행정부의 비확산 정책이 갖는 함의
3. 러시아의 이란 및 북한 정책이 갖는 함의
4. 향후 변수들
5. 결론
제13장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 배경과 성과, 그리고 시사점
1. 프라하 연설 이후 1년
2. 핵안보 정상회의의 성과
3. 프라하 연설이 넘어야 할 수많은 시험대
4.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 개최지로 한국 확정
제5부 강대국 역학과 지역안보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제14장 다자 안보ㆍ협력의 한 사례로서의 CSCE: 아태지역 다자 안보협력 구상에 즈음해
1. 문제의 제기
2. CSCE의 성립과 전개
3. 아태지역 다자 안보협력 논의와 CSCE
4. 결론
제15장 SCO와 미국: 상호인식과 관계전망
1. 서론
2. 유라시아의 포괄적 지역다자안보기구로서의 SCO
3. SCO에 대한 미국의 인식
4. SCO에 대한 미국의 정책 특성
5. SCO - 미국 관계 전망
6. 결론 및 정책시사점
제16장 중ㆍ러 군사협력: 현황ㆍ동인ㆍ한계
1. 서론
2. 소련 붕괴 후 급진전된 중ㆍ러 정치관계
3. 중ㆍ러 군사협력 현황
4. 중ㆍ러 군사협력 배경과 동인
5. 중ㆍ러 군사협력의 한계
6. 중ㆍ러 군사협력의 전망 및 정책시사점
제17장 협력안보 레짐 비교분석: OSCE와 ARF
1. 서론
2. OSCE와 ARF의 개념적인 공통점
3. OSCE와 ARF의 현실적인 차이점
4. 결론
제18장 동북아 다자 안보대화
1. 동북아 다자 안보협력 기구의 부재
2. 냉전기 CSCE의 교훈
3. 냉전종식 후 아시아의 다자 안보협력 기제들
4. 북핵6자회담과 동북아 평화안보 체제 논의
5. 결론
제19장 헬싱키 프로세스와 남북 관계
1. 문제의 제기
2. 1970~1980년대 유럽의 헬싱키 프로세스
3. 헬싱키 프로세스의 남북 관계에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
4. 대북정책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