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이승만연구원 학술총서’ 중 다섯 번째로 출간되었다. 50년간 역사학자의 길을 걸어온 저자는 방대하고 치밀한 자료 수집과 분석으로 이승만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업적을 다루면서 그간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역사적 사실들을 밝혀 보여주고 있다.
목차
발간사 서문: 우남 이승만을 다시 생각하며 감사의 말씀
제1부 생애 제1장 이승만의 정치 역정: 독립운동을 중심으로 1. 청년 이승만 2. 밀사 외교와 미국 유학 3. 기독교 민족교육 운동과 105인사건 4. 하와이에서의 민족교육ㆍ선교사업과 1915년의 풍파 5. 필라델피아 대한인총대표회의 6.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7. 상하이에서의 임시정부 대통령직 수행 8. 워싱턴군축회의 외교 노력과 임시대통령직 탄핵ㆍ면직 9. 동지식산회사의 운영 실패와 1931년의 풍파 10. 제네바 국제연맹 회의 외교ㆍ선전 활동 11. 태평양전쟁 기간 임정 승인 외교 활동 12. 샌프란시스코 유엔 창립총회에서의 외교ㆍ선전 활동 13. 해방과 귀국 14. 대한민국 건국운동
제2부 사상 제2장 이승만의 개혁 건국 사상 1. 기독교 건국론 2. 교육 입국론 3. 상공업 장려론 4. 평등 사회 구현론 5. 민주공화제 정부 수립론 6. 반공 보루 구축론
제3부 업적 제3장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 거시적 재평가 1. 정치 분야의 업적 2. 외교 분야의 업적 3. 군사 분야의 업적 4. 경제 분야의 업적 5. 교육 분야의 업적 6. 사회 분야의 업적 7. 문화, 종교 분야의 업적
제4부 보론 제4장 제헌국회 의장 이승만과 대한민국 헌법 제정 1. 해방 전 이승만의 헌법 제정 시도 2. 해방 뒤 이승만의 헌법 제정 준비 3. 헌법 제정 당시 이승만 의장의 역할 제5장 이승만 대통령과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동맹 성립의 역사적 의의 1. 구한말 조선의 연미 정책과 개화파의 세계정세 인식 2. 이승만의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경위 3. 동맹 조약의 내용 4. 동맹 조약의 역사적 의의 제6장 3ㆍ1운동 후 이승만과 서재필 등의 새 나라 건국 구상: 필라델피아 대한인총대표회의 결의안을 중심으로 1. 1919년 전후 서재필의 입장 2. 총대표회 소집 경위 3. 총대표회 개최 목적 4. 총대표회 참가자 5. 총대표회 진행 상황 6. 총대표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의 내용 분석
주 부록 1. 과도정부 당면 정책 33항: 모범적 독립국을 건설하자 2. 한미상호방위조약(전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잡동산이 현대사. 1, 일상·생활 2023 / 지음:전우용 / 돌베개
잡동산이 현대사. 2, 사회·문화 2023 / 지음: 전우용 / 돌베개
잡동산이 현대사. 3, 정치·경제 2023 / 지음: 전우용 / 돌베개
한국 현대사와 국가폭력2019 / 지음: 김상숙 외 / 푸른역사
그분을 생각한다2019 / 지음: 한승헌 / 문학동네
미군정 3년사 = Three years of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 1945-1948 : 빼앗긴 해방과 분단의 서곡2017 / 지은이: 박도 / 눈빛
(저서를 통해 본) 이승만의 정치사상과 현실인식2011 / 송복 지음 / 연세대학교출판부
(건국대통령) 이승만 : 생애.사상.업적의 새로운 조명2013 / 유영익 지음 / 일조각
김일성이 일으킨 6·25전쟁2019 / 지음: 강규형, 김용삼, 남정욱, 정경희, 주익종 / 기파랑
6.25전쟁과 일본의 한반도 전략 : 6.25전쟁과 일본의 고도성장 군사대국화2011 / 고영자 지음 / 탱자
6.25전쟁과 일본의 한반도 전략 : 6.25전쟁과 일본의 고도성장 군사대국화2011 / 고영자 지음 / 탱자
냉전의 마녀들: 한국전쟁과 여성주의 평화운동 2021 / 김태우 지음 / 창비
역사를 바꾼 젊은 영웅들 : 6.25전쟁 참전용사 수기집 / 5 , 미국2024 / [편]: 대한민국해양연맹 / 대한민국해양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