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감사의 글
1장 이슬람주의는 왜 이슬람교가 아닌가
이슬람주의와 꾸며낸 전통
이슬람주의와 관련된 쟁점들
이념의 전쟁
제도적 이슬람주의자와 지하디스트
이슬람주의와 이슬람교 차이에 대한 반박
정치질서: 이슬람국가와 세계 재편
이슬람식 세계질서를 위협하는 “유대인 모략”
민주주의와 민주화
전통 지하드와 현대 지하드의 테러리즘
이슬람교의 샤리아화
이슬람주의자들의 세계관을 어떻게 실현시킬 것인가?
전체주의로서의 이슬람주의
언론이 이슬람주의에 끼친 영향
2장 이슬람주의와 정치질서
이슬람주의는 이슬람국가의 정치 이데올로기
새로운 반란
신정질서를 추구하는 이슬람주의
지구촌의 이슬람주의 이데올로기
베스트팔렌 질서 VS 정치적 이슬람교의 국제주의
집단기억으로서의 전쟁
“이슬람주의의 쇠퇴”는 그릇된 개념이다
3장 이슬람주의와 반유대주의
반유대주의, 유대인혐오증, 불만 표출
제 2의 반유대주의
반유대주의의 이슬람화
사이드 쿠틉과 유대인의 갈등
“포위된 이슬람교” 이미지
쿠틉에서 하마스까지
유럽의 무슬림은 “제 2의 유대인”인가?
예외적 사례: 이슬람주의와 “나치 팔레스타인”
이슬람주의식 반유대주의의 주축
4장 이슬람주의와 민주주의
이슬람주의의 세 권위자와 서방세계의 세 가지 혼란
제도적 이슬람주의의 두 가지 사례: AKP와 무슬림 형제단
이슬람주의자들이 민주정치를 이용하다
민주적인 샤리아의 모순
다원 민주정치의 환상
우리가 논하려는 것이 무엇인가?
제도적 이슬람주의와 민주주의
아랍의 봄,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5장 이슬람주의와 폭력: 신세계 무질서
지하드와 지하드운동의 이해
칼의 종교
고전 지하드
전통 지하드에서 지하드운동까지
서방세계와 신프롤레타리아
팍스 이슬라미카
서방세계에 맞선 반란과 신세계 무질서
지하디스트의 폭력성
연구 결과
6장 이슬람주의와 율법: 전통을 꾸며낸 샤리아화
이슬람세계에서의 샤리아 정치
세속화와 신정질서를 위한 탐구
이슬람세계의 샤리아와 샤리아 헌법 채택론
샤리아화와 법의 보편성
국가의 샤리아화가 아니면 샤리아가 존재할 수 있을까?
샤리아와 법률학
샤리아와 자유
7장 이슬람주의, 순결, 진정성
이슬람주의자의 “진정성”의 의미
이슬람교의 합리주의는 진정한 것인가?
이슬람주의의 순결과 비무슬림 이방인 배척
이슬람교 합리주의의 인본주의를 상기시키다
헛된 도그마
8장 이슬람주의와 전체주의
이슬람주의의 매력
한나 아렌트의 이슬람주의 연구
전체주의적 이슬람주의의 뿌리
이슬람주의는 제2의 전체주의
이슬람국가와 문명의 충돌론
9장 이슬람주의의 대안 민간 이슬람교
왜 이슬람교가 아닌 이슬람주의인가?
3대 기본 특징
이슬람주의, 유럽, 그 밖의 세계
이슬람주의는 반이슬람교인가?
온건파 이슬람주의자란 누구인가?
근대성, 이슬람교, 계몽주의
정치, 그리고 종교의 모호성
에필로그
미주
참고문헌
이슬람 용어 정리
인명 설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