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대학교에서 국어학을 가르치면서 대중을 위한 우리말 책을 꾸준히 펴낸 최경봉 교수가 쓴 청소년을 위한 국어 문법 책이다. 우리말 문법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보며 왜, 어떻게 변화했는지 비교하면서 우리가 납득하지 못했던 현대 학교 문법을 이해하게 된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문법은 우리말 세계를 보여 주는 지도

▷ 주시경 선생님은 어떤 분이었을까요?
강의를 시작하기 전에

1부 우리말의 세계
첫 번째 강의▷ 우리말에서 우리의 얼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언문일치 글쓰기에서 우리를 발견하다
민족정신을 강력히 주장한 까닭
세상을 보는 방식이 다르니 말의 쓰임이 다를 수 밖에
우리말에 깃든 우리 문화와 정신세계
강의를 듣고 나서 - “문법과 맞춤법이 있어서 고맙다”
두 번째 강의▷ 우리말을 잘하면 외국어도 잘할까?
신학문을 공부하며 국어 문법 책을 계획하다
영어도 참 잘했던 국어학자, 유길준과 김규식
다른 언어와 비교해 봐야 우리말을 더 잘 알 수 있어
강의를 듣고 나서 - “우리말 공부와 영어 공부는 생판 다른게 아니었어”
세 번째 강의▷ 한글 맞춤법은 왜 어려울까?
한글을 배우면서 한글 맞춤법을 고민하다
해답을 준 『훈민정음』
형태를 밝혀 적어야 알아보기 쉽지
얽히고설킨 현대 표기법
완벽한 표기법은 없다
강의를 듣고 나서 - “그래, 문제는 국어사전을 활용하는 거야”
네 번째 강의▷ 말은 변하는 것이 좋을까, 변하지 않는 것이 좋을까?
말은 변할 수밖에 없는 것
변하지 않는 말에 대한 열망, 문법과 규범
말이 변했다면 표준어도 바뀌는 게 순리
강의를 듣고 나서 - “말은 변하는 것이지만, 언어생활은 통일성 있게 해야 하지 않을까?
다섯 번째 강의▷ 좋은 말과 나쁜 말은 타고난 것일까?
사전에 오르는 말은 어떤 말일까?
듣기 좋은 말만 사전에 오르는 건 아니야
새로 태어난 말의 운명
강의를 듣고 나서 - “좋은 말도 나쁜 말도 타고나는 것은 아니구나”

2부 문법의 세계
여섯 번째 강의▷ 문법은 왜 배우는 걸까?
말이 글이 되고 글이 말이 되는 시대
규범화된 문법이 없으면 글을 쓰는 게 힘들어
문법이 관여하는 영역, 표기법에서 독서와 작문까지
강의를 듣고 나서 - “문법을 배우는 첫 목표는 문장을 정확히 쓰는 것”
일곱 번째 강의▷ 품사를 구분하는 일은 너무 어려워
고민의 시작, 형용사를 어떻게 하지?
조사와 어미를 설명하는 것도 난감하긴 마찬가지
조사와 어미를 따로 구분하지 않았던 이유
품사 분류의 원리를 아는 것이 품사 공부의 시작
강의를 듣고 나서 - “품사 분류에는 다양한 기준이 있다!”
여덟 번째 강의▷ 문장에 우리의 생각이 어떻게 담길까?
생각의 틀은 문장의 틀
문장은 주성분과 부속 성분으로 나뉜다
보어에 대한 고민
중요한 것은 문장의 구조를 아는 일
문장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은 서술어의 의미
생각이 복잡해지면 문장도 복잡해지고
강의를 듣고 나서 - “국어사전에 우리말 문형을 제시하고 있다”
아홉 번째 강의▷ 조사와 어미는 우리말 문장의 핵심 고리
우리말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는 조사와 어미
조사와 어미 안에 접속사도 있다
조사와 어미의 어울림
어울림의 시(詩)
강의를 듣고 나서 - “조사와 어미가 어떤 환경에서 쓰이는지를 알아야”
열 번째 강의▷ 말은 쪼갤 수 없을 때까지 쪼개 봐야 안다고?
말을 쪼개 보니 말이 보이네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최소의 단위
‘늣씨’로 쪼개기
‘늣씨’가 바로 형태소
환경에 따라 변하는 형태소의 모양
강의를 듣고 나서 - “우리말의 최소 단위 찾기”
열한 번째 강의▷ 단어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단어를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
규칙을 벗어난 합성어들
접사로 만들어지는 단어들
어미가 붙는 단어들
강의를 듣고 나서 - “앞으로 어떤 단어들이 더 만들어지고 사라질까?
열두 번째 강의▷ 소리를 실은 문자의 운명은?
쓰임이 혼란스러웠던 아래아(′)
쓰지 않게 된 문자들
발음과 표기는 계속 변한다
소리(발음)와 표기의 차이
강의를 듣고 나서 - “말소리의 체계가 달라지면 문자의 체계도 변한다”
열세 번째 강의▷ 소리와 소리가 마주치면 소리가 변한다?
형태와 다르게 나는 발음
음운 변동의 규칙
소리 내는 위치와 방법에 따라 음운 변동을 설명하면
강의를 듣고 나서 - “말의 성분을 분석해 놓으면 문법의 원리와 규칙을 설명할 수 있다”

3부 사전의 세계
열네 번째 강의▷ 사전은 어디에 쓰지?
국어사전이 알려 주는 풍성한 정보들
단어 뜻을 모르면 문장도 틀린다
문장력을 길러 주는 사전
글쓰기를 도와주는 국어사전
강의를 듣고 나서 - “사전 찾는 습관을 들이자”
열다섯 번째 강의▷ 어떤 사전이 좋은 사전일까?
우리말 표준을 만들려는 소망을 담다
사전의 수준이 곧 국어 연구의 수준
첫 국어사전과 현대 국어사전의 비교
좋은 뜻풀이의 조건
강의를 듣고 나서 - “우리말에 담긴 의미를 섬세하게 들추다”
열여섯 번째 강의▷ 사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사전 편찬의 첫걸음, 어휘 수집
카드에 기록하기
원고지에 옮겨 적기
뜻풀이와 용례
새로운 단어도 추가해야
교정, 교열을 거쳐 인쇄하기

강의를 마치며

찾아보기
참고 문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문법과 문법 교육 문법과 문법 교육 2014 / 저자: 신현숙 / 푸른사상
(국어 능력 시험과 논술을 대비한) 한국어의 모든것 : 실용 문법편 (국어 능력 시험과 논술을 대비한) 한국어의 모든것 : 실용 문법편 2007 / 저자: 전용태 / 언어논리
대학생을 위한 화법강의 대학생을 위한 화법강의 2000 / 정승혜 ; 문금현 공저 / 태학사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2016 / 지음: 정재윤 / 시대의창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2023 / 지음: 정재윤 / 시대의창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2016 / 지음: 정재윤 / 시대의창
한국어 문법의 이해 한국어 문법의 이해 2019 / 지음: 조윤경, 신민아 / 박문사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교양 있는 10대를 위한) 우리말 문법 이야기 : 주시경 선생님이 국어 문법 16강 2013 / 최경봉 지음 / 이론과실천
한국어 형태론의 이해 한국어 형태론의 이해 2017 / 저자: 최규수 / 역락
주시경 문법의 형성론  = (The) formation of Ju Si-Gyeong's grammar  : 국어학 문법론 주시경 문법의 형성론 = (The) formation of Ju Si-Gyeong's grammar : 국어학 문법론 2013 / 최낙복 지음 / 경진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 2019 / 지음: 남기심, 고영근, 유현경, 최형용 / 한국문화사
우리말 파생형태론 : 국어학 파생어 형태론 우리말 파생형태론 : 국어학 파생어 형태론 2010 / 하치근 지음 / 경진
현대 우리 말본 현대 우리 말본 2002 / 하치근 저 / 박이정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2005 / 임지룡...[등]지음 / 박이정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2010 / 김중섭 ; 방성원 ; 이정희 ; 조현용 공저 / 랭기지플러스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우리말 절대지식 : 천만년을 버텨갈 우리 속담의 품격 우리말 절대지식 : 천만년을 버텨갈 우리 속담의 품격 2016 / 엮고씀: 김승용 / 동아시아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2016 / 정재윤 지음 / 시대의창
문학 멘토링 : 문학의 비밀을 푸는 18개의 놀라운 열쇠 문학 멘토링 : 문학의 비밀을 푸는 18개의 놀라운 열쇠 2012 / 정여울 지음 / 웅진씽크빅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의미·기능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의미·기능편 2010 / 김진호 ; 이태환 ; 김선희 ; 이수연 [지음] / 박이정
싯다르타 싯다르타 2011 / 헤르만 헤세 지음 ; 박병덕 옮김 / 민음사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2015 / 고경태 지음 / 한국문화사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2012 / 지음: 국립국어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2007 / 국립국어원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미디어 오디세이 : 역사와 커뮤니케이션, 철학 미디어 오디세이 : 역사와 커뮤니케이션, 철학 2013 / 김동민 지음 / 나남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 Korean grammar & expressions for foreigners  : 중급  : 조사·표헌·어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 Korean grammar & expressions for foreigners : 중급 : 조사·표헌·어미 2019 / 지음: 양명희 ; 이선웅 ; 안경화 ; 김재욱 / 집문당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 한국어 술어명사문 문법 2006 / 이병규 지음 / 한국문화사
엄마, 영어강사 되다!  : 강남 대표 영어강사의 영어 육아법! 엄마, 영어강사 되다! : 강남 대표 영어강사의 영어 육아법! 2012 / 지은이: Eugene Lee / 위아북스
창의적인 글쓰기의 모든 것 창의적인 글쓰기의 모든 것 2009 / 헤더 리치, 로버트 그레이엄 지음 ; 윤재원 옮김 / 베이직북스
영어와 한국어의 통사구조연구 영어와 한국어의 통사구조연구 2000 / 안희돈 원저 ; 강명윤 외역 / 경진문화사
한국어 쉽게 가르치기 한국어 쉽게 가르치기 2009 / 오승은 지음 / 랭기지플러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말과 글을 살리는)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말과 글을 살리는)문법의 힘 : 두고두고 찾아보는 한국어 사용 설명서 2016 / 지음: 정재윤 / 시대의창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두 얼굴의 한국어 존대법 = Double-faced Korean honorification (영어학자의 눈에 비친) 두 얼굴의 한국어 존대법 = Double-faced Korean honorification 2020 / 지음: 김미경 / 소명출판
동사의 맛 : 교정의 숙수가 알뜰살뜰 차려 낸 우리말 움직씨 밥상 동사의 맛 : 교정의 숙수가 알뜰살뜰 차려 낸 우리말 움직씨 밥상 2016 / 지음: 김정선 / 유유
(글쓰기를 위한)4천만의 국어책 (글쓰기를 위한)4천만의 국어책 2008 / 이재성 지음 ; 이형진 그림 / 들녘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 2012 / 임채훈 저 / 역락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한국어 동사 교육론 = Korean verb education : 패턴(pattern)을 통한 동사 교육의 이론과 응용 2015 / 고경태 지음 / 한국문화사
(세상에서 가장 쉽고 재미있는)친절한 국어 문법: [큰글자도서] (세상에서 가장 쉽고 재미있는)친절한 국어 문법: [큰글자도서] 2018 / 지음: 김남미 / 나무의철학
글, 삶, 문법 = Text, life, grammar : 교양과 읽기, 쓰기로 통하는 문법 글, 삶, 문법 = Text, life, grammar : 교양과 읽기, 쓰기로 통하는 문법 2019 / 이삼형 외 지음 / 夏雨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1, 체계 편 2012 / 지음: 국립국어원 / 커뮤니케이션북스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외국인을 위한)한국어 문법. 2, 용법편 2007 / 국립국어원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중국인을 위한 알기 쉬운) 한국어 문법 100 = 面向中國人的 韓國語 語法 100 2010 / 김중섭 ; 방성원 ; 이정희 ; 조현용 공저 / 랭기지플러스
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2009 / 조항범 지음 / 위즈덤하우스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2008 / 이지영 저 / 태학사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우리말 문법에 대한 궁금증 115가지 2010 / 고영근 편 / 박이정
한국어 의도성 표현의 교육 한국어 의도성 표현의 교육 2012 / 김서형 지음 / 한국문화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3
20대2
30대1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3
2018년2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