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문법은 우리말 세계를 보여 주는 지도
▷ 주시경 선생님은 어떤 분이었을까요?
강의를 시작하기 전에
1부 우리말의 세계
첫 번째 강의▷ 우리말에서 우리의 얼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언문일치 글쓰기에서 우리를 발견하다
민족정신을 강력히 주장한 까닭
세상을 보는 방식이 다르니 말의 쓰임이 다를 수 밖에
우리말에 깃든 우리 문화와 정신세계
강의를 듣고 나서 - “문법과 맞춤법이 있어서 고맙다”
두 번째 강의▷ 우리말을 잘하면 외국어도 잘할까?
신학문을 공부하며 국어 문법 책을 계획하다
영어도 참 잘했던 국어학자, 유길준과 김규식
다른 언어와 비교해 봐야 우리말을 더 잘 알 수 있어
강의를 듣고 나서 - “우리말 공부와 영어 공부는 생판 다른게 아니었어”
세 번째 강의▷ 한글 맞춤법은 왜 어려울까?
한글을 배우면서 한글 맞춤법을 고민하다
해답을 준 『훈민정음』
형태를 밝혀 적어야 알아보기 쉽지
얽히고설킨 현대 표기법
완벽한 표기법은 없다
강의를 듣고 나서 - “그래, 문제는 국어사전을 활용하는 거야”
네 번째 강의▷ 말은 변하는 것이 좋을까, 변하지 않는 것이 좋을까?
말은 변할 수밖에 없는 것
변하지 않는 말에 대한 열망, 문법과 규범
말이 변했다면 표준어도 바뀌는 게 순리
강의를 듣고 나서 - “말은 변하는 것이지만, 언어생활은 통일성 있게 해야 하지 않을까?
다섯 번째 강의▷ 좋은 말과 나쁜 말은 타고난 것일까?
사전에 오르는 말은 어떤 말일까?
듣기 좋은 말만 사전에 오르는 건 아니야
새로 태어난 말의 운명
강의를 듣고 나서 - “좋은 말도 나쁜 말도 타고나는 것은 아니구나”
2부 문법의 세계
여섯 번째 강의▷ 문법은 왜 배우는 걸까?
말이 글이 되고 글이 말이 되는 시대
규범화된 문법이 없으면 글을 쓰는 게 힘들어
문법이 관여하는 영역, 표기법에서 독서와 작문까지
강의를 듣고 나서 - “문법을 배우는 첫 목표는 문장을 정확히 쓰는 것”
일곱 번째 강의▷ 품사를 구분하는 일은 너무 어려워
고민의 시작, 형용사를 어떻게 하지?
조사와 어미를 설명하는 것도 난감하긴 마찬가지
조사와 어미를 따로 구분하지 않았던 이유
품사 분류의 원리를 아는 것이 품사 공부의 시작
강의를 듣고 나서 - “품사 분류에는 다양한 기준이 있다!”
여덟 번째 강의▷ 문장에 우리의 생각이 어떻게 담길까?
생각의 틀은 문장의 틀
문장은 주성분과 부속 성분으로 나뉜다
보어에 대한 고민
중요한 것은 문장의 구조를 아는 일
문장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은 서술어의 의미
생각이 복잡해지면 문장도 복잡해지고
강의를 듣고 나서 - “국어사전에 우리말 문형을 제시하고 있다”
아홉 번째 강의▷ 조사와 어미는 우리말 문장의 핵심 고리
우리말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는 조사와 어미
조사와 어미 안에 접속사도 있다
조사와 어미의 어울림
어울림의 시(詩)
강의를 듣고 나서 - “조사와 어미가 어떤 환경에서 쓰이는지를 알아야”
열 번째 강의▷ 말은 쪼갤 수 없을 때까지 쪼개 봐야 안다고?
말을 쪼개 보니 말이 보이네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최소의 단위
‘늣씨’로 쪼개기
‘늣씨’가 바로 형태소
환경에 따라 변하는 형태소의 모양
강의를 듣고 나서 - “우리말의 최소 단위 찾기”
열한 번째 강의▷ 단어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단어를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
규칙을 벗어난 합성어들
접사로 만들어지는 단어들
어미가 붙는 단어들
강의를 듣고 나서 - “앞으로 어떤 단어들이 더 만들어지고 사라질까?
열두 번째 강의▷ 소리를 실은 문자의 운명은?
쓰임이 혼란스러웠던 아래아(′)
쓰지 않게 된 문자들
발음과 표기는 계속 변한다
소리(발음)와 표기의 차이
강의를 듣고 나서 - “말소리의 체계가 달라지면 문자의 체계도 변한다”
열세 번째 강의▷ 소리와 소리가 마주치면 소리가 변한다?
형태와 다르게 나는 발음
음운 변동의 규칙
소리 내는 위치와 방법에 따라 음운 변동을 설명하면
강의를 듣고 나서 - “말의 성분을 분석해 놓으면 문법의 원리와 규칙을 설명할 수 있다”
3부 사전의 세계
열네 번째 강의▷ 사전은 어디에 쓰지?
국어사전이 알려 주는 풍성한 정보들
단어 뜻을 모르면 문장도 틀린다
문장력을 길러 주는 사전
글쓰기를 도와주는 국어사전
강의를 듣고 나서 - “사전 찾는 습관을 들이자”
열다섯 번째 강의▷ 어떤 사전이 좋은 사전일까?
우리말 표준을 만들려는 소망을 담다
사전의 수준이 곧 국어 연구의 수준
첫 국어사전과 현대 국어사전의 비교
좋은 뜻풀이의 조건
강의를 듣고 나서 - “우리말에 담긴 의미를 섬세하게 들추다”
열여섯 번째 강의▷ 사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사전 편찬의 첫걸음, 어휘 수집
카드에 기록하기
원고지에 옮겨 적기
뜻풀이와 용례
새로운 단어도 추가해야
교정, 교열을 거쳐 인쇄하기
강의를 마치며
찾아보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