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조경가, 생태학자, 환경교육 전문가, 커뮤니티 계획가, 지역브랜딩 디자이너가 DMZ 부근의 접경지역인 철원군 양지리에서 마을 주민들과 함께 2년여의 시간 동안 협력하여 작업한 커뮤니티 디자인(마을만들기)의 결과물이다. 느리지만 탄탄한 계획과정은 새로운 공공건축 계획과 마을만들기 프로세스의 좋은 사례로 기억될 것이다.
목차
Prologue 『철새협동鳥합』을 펴내며 / 조경진 탈경계적 프로세스를 통한 지역의 커뮤니티 디자인 / 김아연 철원 철새마을 프로젝트에 대한 나만의 키워드 / 변혜선 "과정의 공공성을 담다", 철원이 보여준 공공건축다움 / 염철호 사람 냄새가 묻어나는 디자인 프로세스 / 임재용
Site Story 양지리 철새마을의 어제와 오늘 건축 및 공간구조로 본 민북마을 양지리의 정체성 / 이승연 주민들이 말하는 양지리의 어제와 오늘 철새와 동식물 서식처로서의 양지리 / 김지석 사진으로 본 철새마을의 어제와 오늘
Community Design 철새, 농민, 도시 아이들은 어떻게 서로를 도울 수 있는가 / 이재영 양지리 사람들과 함께한 커뮤니티 계획과정 / 오형은 철새마을 사진 이야기 / 이재영 액션철원 / 이장섭 소통을 가능케 한 협의 프로세스 / 강봉이 철새건축 / 김광수 주민과 철새 함께 꿈꾸는 철새마을의 살아있는 경관 만들기 / 허대영 철원 철새마을 커뮤니티 디자인을 돌아보다 / 좌담회
필진 소개 연구진 소개 협동디자인 프로세스
서가브라우징
육백미터 한강 다이어트 : 기후위기로부터 도시를 구하는 법 2024 / 지음: 조신형 / 사이트앤페이지 :
100년 후의 도시를 설계 하라 = Design the city of 100 years later 2019 / 지음: 조재성 / Saevit(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