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들어가는 말
제1장 시제(tense)와 상(aspect)
1. 시제와 상의 정의
2. 시제
2.1. 현재시제
2.2. 과거시제(past tense)
3. 상
3.1. 완전동사
3.2. 불완전동사
3.3. 완전상과 진행상의 차이
4. 완료상(perfect aspect)
4.1. 완전동사
4.2. 불완전동사
4.3. 과거시제와 완료상
4.4. 완료상과 시간부사
5. 완료진행상
6. 과거완료상
7. 마무리
참고문헌
제2장 양태동사(modal verb)
1. 들어가는 말
2. 인식(epistemic)모형
3. 뿌리(root)와 인식의미
4. 양태동사의 의미 변화
5. 양태동사의 의미
5.1. CAN
5.2. COULD
5.3. MAY
5.4. MIGHT'
5.5. MUST
5.6. SHALL
5.7. SHOULD
5.8. WILL
5.9. WOULD
6. 의문문에서의 양태동사
6.1. CAN
6.2. COULD
6.3. MAY
6.4. MIGHT'
6.5. MUST
6.6. SHALL
6.7. SHOULD
6.8. WILL
6.9. WOULD
7. 양태동사와 부정(negation)
7.1. CAN과 COULD
7.2. MAY와 MIGHT
7.3. MUST
7.4. WILL
7.5. SHALL
7.6. SHOULD
8. 마무리
참고문헌
제3장 준양태동사
1. 준양태동사
1.1. BE TO
1.2. BE ABLE TO
1.3. BE ABOUT TO
1.4. BE GOING TO
1.5. BE + Adj + TO
1.6. HAVE TO
1.7. USED TO
1.8. NEED
1.9. DARE
1.10. OUGHT TO
1.11. DO
1.12. BE
2. 마무리
참고문헌
제4장 동사의 특성과 문형(pattern)
1. 문형
2. 타동사 문형
2.1. 원형적인(prototypical) 타동사
2.2. 비원형적인 타동사
2.3. 주어(S)-동사(V)-to V/V -ing
2.4. 주어-동사-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2.5. 주어-동사-목적어(전체)-전치사 목적어(부분)
2.6.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
2.7. 도구격(instrumental) 주어
2.8. 주어-동사- for-의미상의 주어 -to V
3. 자동사 문형
3.1. 종류
3.2. 주어-동사-주격보어
3.3. 주어-동사-전치사-목적어
4. 특수문형
4.1. There-존재동사-NP
4.2. 주어가 배경인 문형
5. 형용사 문형
5.1. It-be-Adj-(of NP)-to V
5.2. It-be-Adj-(for 수혜자)-(for 의미상의 주어)-to V
5.3. It-be-논평 형용사-(for NP)-to V
6. 마무리
참고문헌
제5장 다의어 동사 의미
1. 이론적 바탕
1.1. 의미의 망
1.2. 인지 영역
1.3. 바탕과 모습
1.4. 관습적 영상
1.5. 행동과 사건의 개념
1.6. 주어와 목적어
1.7. 복잡한 관계
2. 의미확장
2.1. 타동사→자동사
2.2. 장소 표현과 상태 표현
2.3. 객관적 묘사→주관적 묘사
2.4. 사역화
2.5. 활성 영역(active zones)
3. 마무리
참고문헌
제6장 수동형(passive)
1. 형태소와 그 의미
1.1. 동사의 과거분사(V-ed)
1.2. be동사
1.3. 전치사 by
2. 동사와 수동성
3. 덜 원형적인 수동태
3.1. 자동사 + 전치사 + 목적어
3.2. 이중 목적어 구문
3.3. 동사 + 명사 + 전치사
4. 수동형의 기능
4.1. 관점의 선택
4.2. 정보 구조
4.3. 유정성(animacy)
5. get 수동태
6. 마무리
참고문헌
7장 구절동사(phrasal verb)
1. 들어가는 말
2. 구절동사의 개관
2.1. 구절동사
2.2. 구절동사와 [동사 + 전치사] 구조
2.3. 전치사와 전치적-부사의 관계
2.4. 구절동사와 단순동사의 비교
3. 전치사적-부사
3.1. 특성
3.2. 의미의 투명성
3.3. 망(network)모형에 의한 의미 분석
4. 구절동사에 쓰이는 동사
4.1. get + (목적어) + 전치사
4.2. get + (목적어) + 전치-부사
5. 신조 구절동사
6. 의미의 고정화
7. 두 개 이상의 전치사적-부사가 쓰인 예
8. 마무리
참고문헌
제8장 전통문법과 인지문법
1. 들어가는 말
2. 인지문법 개요
3. 타동성
3.1. 주어
3.2. 목적어
3.3. 타동사가 자동사로 쓰이는 현상
4. 마무리
참고문헌
한글색인
영문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