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도시 환경의 공간성
1.1 도시지리학의 연구
1.2 학문으로서의 도시지리학 : 그 중요성
1.3 도시지리학의 세계적 견해
1.4 도시 논의의 분석 : 선벨트의 성장
1.5 시카고 학파와 도시지리학의 연계
1.6 도시 연구의 LA 학파
1.7 도시지리학의 데이터와 공간 분석
1.8 도시지리학에 대한 대안적 접근
1.9 GIS
1.10 GIS를 이용한 도시 분석
1.11 이 책의 접근방법
1.12 GIS와 공간 분석 원리의 소개
참고문헌
실습
제2장 도시의 역동성
2.1 경제적 변화
2.2 인구 변화
2.3 사회 변화와 사회경제적 양극화
2.4 도시 논의의 분석 : 시카고와 LA 지역 간 인구 순위의 변화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3장 대도시의 정의
3.1 도시의 개념과 도시 프로세스
3.2 도시 규모 분포와 센서스 정의
3.3 자치시로서 도시
3.4 시가화 지역으로서 도시
3.5 대도시로서 도시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4장 도시의 내부 구조
4.1 고전 도시 발달 모델
4.2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대안적 접근
4.3 고전 모델이 검증의 시간을 견뎠는가?
4.4 도시 논의의 분석
4.5 고전 모델로부터의 수렴과 발산 : 시카고의 사례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5장 도시 체계
5.1 중심지 이론
5.2 도시 논의의 분석
5.3 오늘날 중심지 연구와 중력 모형
5.4 도시 규모 분포
5.5 미국 도시 체계의 발달
5.6 세계 도시
5.7 도시 체계에 대한 현대 연구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6장 근린
6.1 근린의 개념
6.2 도시에서의 사회적 생활과 생활 방식으로서의 어버니즘
6.3 폐쇄적 커뮤니티
6.4 근린 인종 구성의 변화
6.5 도시 논의의 분석
6.6 젠트리피케이션
6.7 근린 능동주의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7장 인구 이동과 주거 이동성
7.1 인구 이동의 개념과 요인
7.2 인구 이동의 측정과 모델링
7.3 주거 이동성에 대한 행태적 프로세스
7.4 이동의 방향 편의
7.5 도시 논의의 분석 : LA 내부의 접근성 지수
7.6 미국과 호주에서의 인구 이동 유형과 경향
7.7 국제 인구 이동
7.8 초국적 정체성
7.9 도시에 미친 이민의 영향 사례 : 뉴욕 시의 도미니카인
7.10 이촌향도 이동과 중국의 도시들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8장 인종, 민족, 젠더, 빈곤
8.1 소수민족 집단 거주지, 사회적 및 커뮤니티 정체성
8.2 인종, 민족성, 거주지 분리의 개념과 프로세스
8.3 도시 논의의 분석
8.4 도시, 이민자, 민족성
8.5 이민 물결이 미국에 끼친 민족적 영향
8.6 흑인과 히스패닉의 미국 이민과 이주
8.7 인종별 분리
8.8 교외 지역 내 종족 핫스팟의 대두
8.9 젠더
8.10 빈곤, 그리고 빈곤 측정
8.11 미국의 빈곤 문제
8.12 극빈곤 : 게토 및 최하층 계급
8.13 빈곤지역의 또 다른 유형 : 멕시코 국경지대의 콜로니아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9장 산업 입지와 도시
9.1 산업 분류, 입지의 개념과 프로세스
9.2 제조업 입지 이론과 집적
9.3 도시 논의의 분석 : 도시 내 산업 입지
9.4 도시 간 산업 입지 경향
9.5 멕시코-미국 국경 지역의 마퀼라도라 산업 : 독특한 공업 지역
9.6 소비자 서비스와 도시
9.7 미국-멕시코 국경에서의 트윈시티 간 소비자 상호작용
9.8 생산자 서비스의 지리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10장 도시 중심부와 에지시티의 대조
10.1 중심 도시
10.2 도시 스프롤
10.3 도시 개발의 속도
10.4 도시 논의의 분석 : 도시 스프롤의 개념, 측정, 영향력
10.5 미국 이외 국가에서의 스프롤 현상 : 시드니 사례
10.6 교통과 도시 스프롤
10.7 에지시티
10.8 스마트 성장
10.9 포틀랜드의 성장 경계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11장 도시 환경 문제
11.1 도시 환경의 개념과 프로세스
11.2 토지 이용
11.3 수자원
11.4 도시 범람
11.5 고형 폐기물
11.6 에너지
11.7 대기 오염
11.8 도시 논의의 분석 : 멕시코시티의 대기 오염
11.9 환경 정의 및 자연 환경 보존제
요약
참고문헌
실습
제12장 도시 및 지역 계획
12.1 도시 계획 역사의 초기
12.2 전원 도시
12.3 진보 운동과 용도지역제
12.4 현대 도시 계획 : 대도시와 지역 계획
12.5 성장 관리
12.6 도시 논의의 분석 : 토지 이용 계획
12.7 스마트 성장을 위한 계획
12.8 도 계획 사례 연구 : 캘리포니아 주 어바인
12.9 활기있는 도심
12.10 도시 거버넌스와 정치
12.11 기술
12.12 개발 세계의 도시 계획의 도전
요약
참고문헌
실습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