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광장(square)에 선 그녀들 - 2000년대 여성소설의 존재론적 지평
빠져나가는 것
환상은 정치를 어떻게 사유하는가 - 2000년대 발표된 소설들을 중심으로
느낌의 서사학 - 정용준, 손보미, 김성중의 소설
정념의 수용기(受容器), 공감의 문학 - 한강, 김애란, 황정은의 소설
포즈와 프러포즈 - 편혜영론
‘미스터리’ 방법서설 - 김태용 외 7인의 『망상 해수욕장 유실물 보관소』
서울, 정념의 지도 - 정이현, 김애란, 황정은의 소설
2부
사랑의 기하학 - 권여선의 『비자나무 숲』
죽음은 죽지 않는다 - 박범신의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
지향성 발생기계 소설 - 박솔뫼론
표면(surface)으로, 혹은 심연(abyss)으로 - 이홍과 정이현의 소설
여자라는 아토포스 - 박범신의 『은교』
인생도처유상하수(人生到處有上下手) - 천명관의 『나의 삼촌 브루스 리』, 조남주의 『귀를 기울이면』
욕망의 자본론 - 백영옥의 『실연당한 사람들을 위한 일곱시 조찬 모임』
스파이스 로드 - 명지현의 『교군의 맛』
미스터 노바디(nobody)가 그대를 사랑할 때 - 조해진의 『아무도 보지 못한 숲』
3부
탄원행 - 이기호와 김애란의 소설
죽음과 인간 - 이응준, 김숨, 한창훈의 소설
시간에 대한 세 가지 명상 - 윤성희, 조현, 백가흠의 소설
밤의 독순술(讀脣術) - 김유진의 『숨은 밤』
실재의 역습(Attack of the Real) - 구병모의 『고의는 아니지만』
언어(言漁)의 교차로에서 - 김엄지의 「기도와 식도」
세상의 거의 모든 이야기, 요람(crib)에서 납골당(cryot)까지 - 윤성희의 『웃는 동안』
‘ㄱ’을 기록하는 세 가지 방법 - 김정환의 『ㄱ자 수놓는 이야기』
(스)캔들 인 더 윈드(scandal/candle in the wind) - 김연수의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심여사를 캐스팅하겠습니다 - 강지영의 『심여사는 킬러』
레인보우 패밀리 - 강지영의『프랑켄슈타인 가족』
튜브(tube)를 통과한 모스 부호 - 김연수의 「주쌩뚜디피니를 듣던 터널의 밤」
그때 마침 끝이 있었다 - 편혜영의 「밤의 마침」
반대쪽 지구에서의 삶 - 최윤의 「동행」
뒤집힌 음모론 - 영화 <거북이는 의외로 빨리 헤엄친다>와 박민규의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