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암행어사의 생생한 발자취. 홍문관 부교리로 있던 박래겸이 43세 되던 1822년 3월 16일부터 동년 7월 28일까지 장장 126일 동안 평안남도 암행어사로 활약했던 기록을 담았다. 다른 어떤 기록보다 생생한 암행어사의 모습을 담고 있다.
목차
책을 옮기며 박래겸과 《서수일기》
1822년 윤달 3월 16일 암행어사로 임명되다 3월 21일 첫날의 여정을 떠나다 3월 22일 개성 땅을 지나다 3월 23일 일련정에 가다 3월 24일 가리탄에서 노인과 이야기를 나누다 3월 25일 호로천을 구경하다 3월 26일 평안도와 황해도의 경계를 지나다 3월 27일 온천물이 나오는 것을 보다 3월 28일 가창촌을 가다 3월 29일 소경이 점을 쳐주다 4월 1일 만류제를 보다 4월 2일 승경에 사는 백성의 고초를 듣다 4월 3일 빗속에 길을 나서다 4월 4일 연광정에 오르다 4월 5일 영명사에서 자다 4월 6일 미친 사내를 만나다 4월 7일 연광정에 오는 사람들을 보다 4월 8일 무료한 4월 초파일 밤 4월 9일 비 때문에 여관에 머물다 4월 10일 기자묘를 보다 4월 11일 은산 땅에 들어서다 4월 12일 마을 노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4월 13일 맹산현에서 자다 4월 14일 기생과 쌍륙을 하고 놀다 4월 15일 말이 아파서 고생을 하다 4월 16일 관서의 돌로 된 집들 4월 17일 점쟁이가 점을 쳐주다 4월 18일 삼탄에 도착하다 4월 19일 참봉 현심목을 만나다 4월 20일 유생들과 과거시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다 4월 21일 노파와 이야기를 나누다 4월 22일 읍교의 무리에게 신분을 밝히다 4월 23일 염탐한 기록을 정리하다 4월 24일 망경루에 오르다 4월 25일 해주 고을에 도착하다 4월 26일 영유현에 들어서다 4월 27일 옛 친구인 수령과 말 한마디 나누지 못하다 4월 28일 백성들의 억울한 일을 목도하다 4월 29일 삼화에 도착하다 5월 1일 진사 홍희규를 만나다 5월 2일 보통문에서 일행들이 모두 모이다 5월 3일 만수대에서 계현과 홍성구를 만나다 5월 4일 일행이 많아 매우 조심하다 5월 5일 백성들이 수령의 유임을 요청하다 5월 6일 빗줄기가 세차서 유숙하다 5월 7일 열파정에 오르다 5월 8일 대동문에서 이기연과 만나다 5월 9일 이기연, 끝내 기생과 헤어지지 못하다 5월 10일 신분을 속이고 원님을 만나다 5월 11일 저녁에 평양 땅에 들어서다 5월 12일 경란의 어머니 빙심이 암행어사를 알아보다 5월 13일 순안현에서 출두를 외치다 5월 14일 중종조가 귀양살던 곳을 찾아가다 5월 15일 하루 종일 조사하다 5월 16일 옛 친구를 조사하다 5월 17일 관리들이 동태를 엿보다 5월 18일 삼화읍에 도착하다 5월 19일 그대로 머물다 5월 20일 기생과 잠자리를 가지다 5월 21일 그대로 머물다 5월 22일 황룡산성에 오르다 5월 23일 평양에 들어와서 잠을 자다 5월 24일 암적의 가게에서 자다 5월 25일 신분이 드러날까 노심초사하다 5월 26일 암행어서 출두를 외치다 5월 27일 비가 내려 조사를 하다 5월 28일 계속 조사하다 5월 29일 현심목을 방문하다 6월 1일 영원군으로 들어가다 6월 2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3일 기생들이 알아보지 못하다 6월 4일 가창에서 잠을 자다 6월 5일 암행어사의 행방을 묻는 사람을 만나다 6월 6일 백상루에서 암행어사 출두를 외치다 6월 7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8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9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10일 길 닦는 사람을 만나다 6월 11일 어사출두를 외치다 6월 12일 서울에서 온 편지를 받아보다 6월 13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14일 신분을 밝히고 증산현에 들어가다 6월 15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16일 평양성 안에서 자다 6월 17일 백마문에서 출두하다 6월 18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19일 신분을 밝히고 성천으로 향하다 6월 20일 부용을 만나다 6월 21일 부용 시에 차운하여 시를 짓다 6월 22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23일 점심 때 온정원에 도착하다 6월 24일 암행어사에 대한 유언비어가 돌다 6월 25일 업무를 조사하다 6월 26일 영빈 수령 정선지를 만나다 6월 27일 평양에 다시 들어가다 6월 28일 심한 더위에 길을 떠날 수 없다 6월 29일 또 머무르다 6월 30일 어사출두를 외치다 7월 1일 객지에서 생일을 맞다 7월 2일 순차사를 방문하고 돌아와 자다 7월 3일 비가 심하게 내리다 7월 4일 서울의 괴질 소식을 듣다 7월 5일 배를 정박시키다 7월 6일 밤에 순찰사를 만나다 7월 7일 순찰사를 만나다 7월 8일 암행어사 탐문 때문에 비극적인 일이 생기다 7월 9일 순찰사가 보낸 기생과 동침하다 7월 10일 평양의 이곳저곳을 구경하다 7월 11일 순찰사와 부벽루에서 온종일 놀다 7월 12일 순찰사와 다경루에 올랐다가 새벽녘에 돌아오다 7월 13일 비가 내려 순찰사와의 달구경 약속을 취소하다 7월 14일 신분을 드러내고 다니다 7월 15일 업무를 조사하다 7월 16일 부용과 〈적벽부〉를 낭송하다 7월 17일 업무를 조사하다 7월 18일 월파루에 올라 바라보다 7월 19일 늙은이에게서 여러 이야기를 듣다 7월 20일 해서 지역의 수해를 목도하다 7월 21일 고려 때의 유적을 두루 감상하다 7월 22일 선죽교를 찾아가다 7월 23일 머물면서 장부를 수정하다 7월 24일 서계와 별단을 정서하는 일을 시작하다 7월 25일 머물러 있다 7월 26일 머물러 있다 7월 27일 머물러 있다 7월 28일 상감을 뵙다
해제 《서수일기》, 암행어사의 생생한 발자취를 담다
주석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밭 가는 영조와 누에 치는 정순왕후2013 / 한형주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영조와 네 개의 죽음 : 고독한 군주, 인간 영조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2015 / 지음:함규진 / 페이퍼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