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 정병욱
1부 에고도큐먼트와 역사
1장 역사적 시각으로 본 유럽의 자기증언 -새로운 접근들 / 클라우디아 울브리히
1. 서론
2. 자서전, 개인화, 근대
3. 유럽의 자기증언 연구의 새로운 착상들
4. 자기증언과 문학 장르 사이의 일기
2장 근대에 일기를 쓴다는 것의 의미 / 니시카와 유코
1. 『일기를 쓴다는 것-국민교육장치와 그 일탈』에 대하여
2. 일기를 쓴다는 것-근대의 개체와 주체 추출과정에서 생겨난 근대 일기
3. 일기를 읽는다는 것-국민교육장치의 해독과 그로부터의 일탈을 읽어 냄
4. 결론-일상생활의 역사학을 전망하며
2부 전통과 근대
3장 『흠영』, 분열된 자아의 기록 김하라
1. 18세기 조선의 일기와 자아
2. 역사가가 되고 싶었던 거자
3. 심미주의적 몽상가의 허구 만들기
4. 분열과 모순의 자아
4장 자기를 쓰다 -18세기와 19세기 독일어권 일기에 드러난 경험, 주체성 그리고 개인성에 대하여 / 이사벨 리히터
1. 원전으로서 일기
2. 일기 쓰기의 동기와 이상적 일기 형태
3. 일기의 심리화
4. 유럽 죽음의 문화사와 원전으로서 일기
5. 결론-일기에 나타난 경험, 주관성 그리고 개인성
3부 식민지화
5장 대한제국기 광주에서 오쿠무라 남매의 진종 포교와 실업학교 설립-『메이지 31년 한국포교일기』에 의한 통설의 재검토 / 야마모토 조호
1. 문제의 소재
2. 오쿠무라 남매에 의한 광주 포교와 실업학교 설립
3. 실패 이유에 관한 통설의 재검토
4. 결론에 대신하여
6장 한국주차군 참모장 오타니 기쿠조와 한국 -오타니 관계 자료를 중심으로 / 마쓰다 도시히코
1. 서론
2. 러일전쟁시기의 ‘북관작전’
3. 러일전쟁 후 조선 지배체제의 모색
4. ‘을사보호조약’의 체결
5. 결론
7장 조선헌병대사령관 다치바나 고이치로와 ‘무단통치’ -『立花小一郞日記』를 중심으로 / 이형식
1. 서론
2. 조선 사회와 접촉
3. 경무총장의 업무와 활동
4. 다치바나 일기로 보는 조선 사회
5. 다치바나의 조선 통치 인식
6. 결론
4부 ‘국경’을 넘나드는 생활권
8장 식민지 농촌 청년과 재일조선인 사회 -경남 함안군 周씨의 일기(1933) 검토 / 정병욱
1. 개인과 시대의 만남, 일기
2. 농촌 청년 周씨와 시판 일기장
3. 오사카 체류와 재일조선인 사회
4. 농촌과 도시, 민족과 식민지
5. 도항 경험의 전후
9장 꿈속의 고향 -조선인 유학생 일기(1940~43)를 통해 본 식민지 경험 / 이타가키 류타
1. 농촌, 도시, 이민
2. K씨와 그의 일기
3. 고학생활
4. 고향을 떠난 조선인의 유대와 상상력
5. 결론
5부 해방과 국가
10장 해방 직후 어느 노동자의 일상생활 -인천의 전기공 I씨의 일기로부터 / 오타 오사무
1. 서론
2. 일기와 I씨
3. 해방 직후의 정치적 체험
4. 경전 인천지점에서의 노동
5. 일상생활의 제상
6. 결론-I씨의 ‘解放’
11장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학살 유족의 자서전 분석 -고발의 정치로서 가족이야기 하기 / 김무용
1. 민간인 학살과 자서전 문화
2. 현재의 기억으로서 가족의 역사
3. 침묵과 적응, 그리고 저항의 내면화
4. 유족으로서의 정체성과 희생자 의식
5. 고발의 정치로서 가족이야기 하기
6. 끝나지 않은 과거와 자서전의 정치
근현대 일기 자료·연구 목록
초출일람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