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부 사회복지조사의 기초
제1장 과학적 조사방법
제1절 비과학(자연)적인 지식탐구방법
1. 비과학적인 지식탐구방법의 형태
2. 비과학적인 지식탐구방법이 무엇이 문제인가?
제2절 과학적 조사방법이란?
제3절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사회복지조사
제2장 조사의 기본 개념들
제1절 개념
제2절 정의
1. 개념적 정의
2. 조작적 정의
제3절 이론
1. 이론에 대한 두 가지 오해
2. 두 가지 이론 도출방법: 연역적 대 귀납적 방법
제3장 조사의 기본 요소
제1절 조사의 주요 과정
제2절 조사의 목적
1. 탐색적 조사
2. 서술적 조사
3. 설명적 조사
제3절 조사의 유형
1. 횡단적 조사
2. 종단적 조사
제4절 분석단위
제5절 연구문제
제6절 변수
1.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2. 통제변수
3. 변수들 간의 관계
제7절 가설
제2부 사회복지조사의 이론
제4장 측정
제1절 측정의 개념과 의의
1. 측정의 개념
2. 측정의 역할과 중요성
제2절 측정의 수준
1. 측정의 수준
2. 측정수준과 측정오차
제3절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1. 타당도의 개념과 유형
2. 신뢰도의 개념과 평가방법
3. 신뢰도와 타당도의 상관관계
제4절 척도와 지수
1. 척도와 지수의 개념
2. 척도와 지수 사용의 의의
3. 척도의 종류
제5장 표집
제1절 표집의 개념 및 의의
1. 표집의 개념과 목적
2. 표집 관련용어
3. 표집 절차
제2절 표집의 대표성
1. 바람직한 표본의 특성과 대표성
2. 무작위 표집
3. 표본의 대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제3절 표집의 유형
1. 확률표집
2. 비확률표집
제6장 조사 설계
제1절 조사 설계의 개념과 목적
1. 조사설계의 개념
2. 조사설계의 목적과 기능
3. 조사설계의 구성요소 및 단계
제2절 조사설계의 타당도
1. 내적 타당도
2. 외적 타당
제3절 연구설계의 유형
1. 전실험설계
2. 준실험설계
3. 실험설계
제3부 자료수집 방법
제7장 설문조사
제1절 설문조사의 개념
제2절 질문지의 설계 및 작성
1. 질문의 목적 및 범위 확정
2. 질문 항목의 선정
3. 질문 문항의 작성
4. 질문지 구성
5. 사전 조사
제3절 질문지법의 유형 및 장ㆍ단점
1. 우편조사
2. 배포조사
3. 집단조사
4. 인터넷 조사
제8장 면접조사법
제1절 면접조사법의 정의
제2절 면접자 선발 및 훈련
1. 면접원의 역할
2. 면접원 선발
3. 면접원의 훈련
제3절 면접의 과정
1. 응답자의 확보
2. 초기 접근
3. 면접 기술
4. 프로빙(probing) 기술
5. 응답의 기록
6. 면접의 종료 및 정리
7. 면접원 감독
제4절 면접법의 유형
1. 면접상황에 따른 분류
2. 구조화 정도에 따른 분류
제5절 면접법의 장ㆍ단점
1. 면접법의 장점
2. 면접법의 단점
제9장 관찰법
제1절 관찰법의 개념
제2절 관찰법의 유형
1. 직접관찰과 간접관찰
2.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
3. 조직적 관찰과 비조직적 관찰
제3절 관찰의 기법
1. 관찰의 대상 및 내용
2. 관찰의 시기
3. 관찰의 기록
4. 관찰의 추론
제4절 관찰법의 장단점
1. 관찰법의 장점
2. 관찰법의 단점
제5절 관찰법과 관련된 쟁점
1. 관찰자와 관찰대상과의 관계
2. 관찰법에서의 타당도와 신뢰도 문제
제10장 비관여적 조사
제1절 관여적 연구조사의 오류
1. 연구대상의 반응성에 의한 오류
2. 조사자에 의해 야기되는 오류
제2절 비관여적 조사의 개념
제3절 비관여적 조사의 유형
1. 비관여적 측정
2. 내용분석
3. 이차 자료(secondary data)의 분석
제4부 사회복지조사의 유형
제11장 단일사례설계
제1절 단일사례설계의 특징
1. 단일 사례
2. 반복 측정
제2절 단일사례설계의 수행과정
1. 개입목표의 설정
2. 측정방법의 결정
3. 기초선 단계
4. 개입단계
제3절 단일사례설계의 유형
1. 단일사례 설계의 기본: AB 설계
2. ABA 설계
3. ABAB 설계
4. 복수기초선 설계
5. ABCD 설계(복수요소 설계)
제12장 질적 연구방법
제1절 질적 연구의 개념과 특징
1. 질적 연구의 개념
2. 질적 연구의 특징
3. 질적 연구를 하는 이유
제2절 질적 연구의 종류
1. 민속지학 연구
2. 근거이론
3. 현상학적 연구
4. 사례연구
제3절 질적 연구에서의 표집
1. 기준표집
2. 최대변이 표집
3. 동질적 표본
4. 이론적 표집
5. 결정적 사례 표집
6. 확인 및 예외 사례 표집
7. 극단적 혹은 일탈적 사례 표집
8. 준예외적 사례 표집
제4절 질적 연구와 관련된 쟁점
1. 윤리적 문제
2. 질적 연구의 과학적 엄격성
제13장 욕구 및 평가조사
제1절 욕구조사
1. 욕구조사의 개념
2. 욕구조사의 용도
3. 욕구조사의 방법
제2절 평가조사
1. 평가조사의 개념
2. 평가조사의 목적
3. 평가조사의 유형
4. 평가조사 결과 이용시 장애 요인들
제3절 평가조사의 특징
◈ 참고문헌
◇ 부록/난수표, 이항분포표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