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이 책은 무엇을 원하는가?
문화의 충돌에 반대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대화의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길고 긴 사유의 길
제I부 근원
1장.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종교
1. 이슬람에 대한 적대자 이미지
2. 이슬람에 대한 이상적 이미지
3. 이슬람에 대한 실제적 이미지
2장. 시작의 문제
1. 근동 고등 종교의 역사 5000년
2. 아라비아의 유대인, 그리스도인, 유대-그리스도인
3. 아브라함 - ‘책의 사람들’의 선조
제II부 핵심
1장. 하느님의 말씀이 책이 되었다
1. 꾸란 - 이슬람의 독특성
2. 꾸란 - 하늘에서 떨어진 책?
2장. 핵심 메시지
1. 하느님 외에는 하느님이 없다
2. 무함마드는 그분의 예언자다
3. 예언자 - 지도자
3장. 핵심 구성 요소
1. 의무 기도
2. 사회적 기부, 단식, 순례
제III부 역사
1장. 초기 이슬람 공동체 패러다임
1. 신앙의 영속적인 실체 - 변화하는 패러다임
2. 종교적 비전의 실현
3. 종교적ㆍ사회적 변혁
4. 예언자에서 예언자의 대리인으로
5. 초기 이슬람 공동체의 팽창
6. 이슬람의 신학과 무슬림 법의 시초
7. 초기 이슬람 공동체의 위기: 당파의 분열
2장. 아랍 제국 패러다임
1. 메디나에서 다마스쿠스로 - 권력의 새로운 중심지
2. 반대당(야당) 시아파
3. 이슬람을 부각시킨 제국의 종교 정책
4. 이슬람 법의 탄생
5.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하나의 새로운 공동체
6. 세계 제국의 탄생
7. 신학 논쟁과 그 논쟁의 정치적 파급력
8. 제국의 위기
3장. 고전적 이슬람 세계 종교 패러다임
1. 새로운 시대의 개막
2. 고전적 이슬람: 세계 문화
3. ‘예언자의 전통’, 순나의 형성
4. 네 개의 중요한 법률 학파
5. 두 번째 신학 논쟁: 계시와 이성
6. 국가와 신학
7. 제국의 해체
4장. 울라마와 수피의 패러다임
1. 제국의 몰락 이후 수많은 국가의 탄생
2. 울라마: 법률 학파에서 대중 운동으로
3. 수피즘: 신비주의자의 형제단
4. 대중 운동 차원으로 확대된 수피즘
5. 규범적 신학
6. 신학 대전
7. 아랍 철학의 발전과 쇠망
8. 중세 이슬람의 위기
5장. 이슬람 근대화 패러다임
1. 유럽 근대화와의 대결
2. 세 이슬람 제국: 무굴, 사파비, 오스만
3. 이슬람 세계에 대한 유럽의 도전
4. 개혁과 반동 사이에서
제IV부 현재의 도전
1장. 여러 가지 패러다임의 경쟁
1. 세속화의 길
2. 이슬람주의의 길
3. 사회주의의 길
2장. 무슬림들은 어떤 이슬람을 원하는가?
1. 경쟁하는 패러다임들의 동시성
2.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슬람
3장. 근동 분쟁과 새로운 패러다임
1. 분쟁의 원인
2. 끝없는 비극?
4장. 새로운 신학적 대화 모델
1. 과거의 방법
2. 예수에 대한 대화
5장. 사변적인 물음
1. 유일신 신앙과 삼위일체
2. 성서에 대한 재고
6장. 성서 비평에서 꾸란 비평으로?
1. 문자 그대로의 계시인가?
2. 비평적 주석
3. 시대를 의식하는 꾸란 이해
제V부 미래의 가능성
1장. 이슬람의 갱신
1. 기본 정책
2. 실현을 위한 모델
2장. 이슬람 법질서의 미래
1. 전통적인 법체계에 대한 도전
2. 근대적 법률 체계의 도전
3. 종교와 여성, 그 긴장 관계
4. 결코 피해갈 수 없는 개혁
3장. 이슬람 국가 질서와 정치의 미래
1. 국가와 종교 - 하나인가 따로인가?
2. 세속주의가 아닌 세속성
3. 종교, 폭력, ‘거룩한 전쟁’
4. 전쟁이냐 평화냐?
4장. 이슬람 경제 질서의 미래
1. 이슬람이 해결책인가?
2. 이슬람 전통의 재발견
3. 경제와 윤리
5장. 이슬람 생활 질서의 미래
1. 옷이 사람을 만든다?
2. 이슬람주의와 세속주의 사이의 외줄타기
3. ‘충돌’ 대신 대화
4. 모스크를 둘러싼 논쟁
에필로그: 희망의 이미지, 이슬람
1. 적대자 이미지에서 희망의 이미지로
2. 계몽된 종교성
3. 문명 간의 대화를 위한 이슬람의 공헌
맺음말
약어표
주
찾아보기
도표와 지도/질문 목록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