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I 행동문제의 개별화
제1장 | 행동지원의 이론적 배경
1. 행동이론의 역사적 배경
2. 행동지원에 대한 접근의 변화
3. 행동지원의 기초
4. 행동지원의 윤리적 문제
제2장 | 행동의 기능평가와 가설 세우기
1. 행동의 기능평가의 의의
2. 문제행동 기능의 종류
3. 행동의 기능평가 방법
제3장 | 행동의 정의와 목표
1. 표적행동의 선정과 조작적 정의
2. 행동목표 세우기
제4장 | 행동의 직접 관찰과 측정
1. 행동의 형성적 직접 관찰의 필요
2. 행동의 측정 단위와 자료 요약 방법
3. 행동의 직접 관찰 방법의 종류
4. 행동 관찰과 측정의 신뢰도
제5장 | 그래프 그리기와 자료의 시각적 분석
1. 그래프의 구조
2. 자료의 시각적 분석 방법
제6장 | 개별대상연구
1. 개별대상연구의 필요성
2. 개별대상연구의 기초
3. 개별대상연구의 특징
4. 개별대상연구 설계의 종류
II 행동이론의 적용
제7장 | 문제행동의 예방
1. 문제행동 예방의 의의
2. 규칙의 제정과 적용
3. 일과 시간표 조정
4. 물리적 또는 사회적 환경 조정
5. 효율적 교수 적용
6. 선행사건 중재 적용
7. 배경사건 중재 적용
8. 대체기술 교수
제8장 |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1. 강화의 개념
2. 강화제
3. 강화계획
4. 토큰제도
5. 행동계약
제9장 | 새로운 행동의 습득
1. 변별훈련과 자극통제
2. 촉구와 용암
3. 행동연쇄법
4. 행동형성법
5. 모방하기
제10장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감소
1. 차별강화
2. 소거
3. 벌
제11장 | 행동의 일반화 및 유지
1. 일반화의 의의
2. 일반화의 종류
3. 일반화와 유지를 위한 전략
제12장 | 자기관리 기술과 인지적 행동주의 중재
1. 자기관리 기술과 인지적 행동주의 중재의 정의
2. 목표설정
3. 자기기록
4. 자기평가
5. 자기강화
6. 자기교수
7. 문제해결 훈련과 분노조절 훈련
8. 긴장완화 훈련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