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 서문
서론과 문제제기
I. 상징형식이라는 개념과 상징형식들의 체계학
II. 기호의 일반적인 기능 - 의미의 문제
III. ‘표현’의 문제와 의식의 구조
IV. 기호의 이념적인 의미 - 모사설의 극복
제1부 언어적인 형식에 관한 현상학
제1장 철학사에서 언어 문제
I. 철학적 관념론의 역사에서 언어 문제(플라톤,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II. 경험론의 체계들에서 언어 문제가 갖는 위치(베이컨, 홉스, 로크, 버클리)
III. 프랑스 계몽주의의 철학(콩디야크, 몽페르튀이, 디드로)
IV. 정동의 표현으로서의 언어 - ‘언어의 기원’ 문제(잠바티스타 비코, 하만, 헤르더, 낭만주의)
V. 빌헬름 폰 훔볼트
VI. 아우구스트 슐라이허와 ‘자연과학적’ 언어관으로의 진전
VII. 현대 언어학의 정초와 ‘음운법칙’의 문제
제2장 감각적 표현 단계에서의 언어
I. 표현운동으로서의 언어 - 신체언어와 어휘언어
II. 모방적, 유비적, 상징적 표현
제3장 직관적 표현의 단계에서의 언어
I. 공간과 공간적 관계들의 표현
II. 시간 표상
III. 수 개념의 언어적 발전
IV. 언어와 ‘내적 직관’의 영역 - 자아개념의 국면들
1. 언어적 표현에서 ‘주관성’의 해명
2. 인칭표현과 소유표현
3. 언어표현의 명사적 유형과 동사적 유형
제4장 개념적 사고의 표현으로서의 언어 - 언어에 의한 개념형성과 종류형성의 형식
I. 성질을 규정하는 개념의 형성
II. 언어에서의 종류형성의 근본방향
제5장 언어와 순수한 관계형식의 표현 - 판단영역과 관계개념
역자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