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한국책략 = Korea's national strategy : the middle power diplomacy. Ⅲ:, 대한민국 중견국 외교
발행연도 - 2012 / 김우상 저 / 세창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4357
-
ISBN
9788984113619
-
형태
260p. 24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외교, 국제관계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
>
정치 일반
책소개
꼭 일반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실제 정책대안들을 각 이슈별로 모아서 제1부에 먼저 싣고, 쉽게 접근하기 힘든 국제관계이론 관련 내용들은 국제관계 전공 학부생, 대학원생, 관심 있는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2부에 따로 모아서 정리하였다.
목차
제1부 전 략
Chapter 01 대한민국 외교전략
Chapter 02 중견국 외교
왜 중견국 외교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나?
아·태 다자체제에서 중견국 리더십을 발휘해야
대한민국이 추구해야 하는 중추적 동반자 역할이란?
공적개발원조와 공공외교
Chapter 03 대북정책
위기는 기회를 수반해
북한정권은 왜 핵무기 개발을 고집하나?
왜 북한정권의 핵개발을 용인해서는 안 되나?
대한민국은 어떤 대북정책이 필요한가?
남북한 동반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Chapter 04 핵무기와 한반도
대한민국은 핵무장 대신 제한적 선제불사용 원칙 도입을 주장해야
왜 대한민국의 자체 핵무장은 도움이 되지 않나?
대한민국이 핵의 평화적 사용권을 포기해서는 안 돼
Chapter 05 중국의 부상
미국의 패권체제는 지속될 것인가?
중국위협론은 현실인가?
평화적 세력전이가 가능한가?
중국의 부상에 대한 대한민국의 대비책은?
Chapter 06 동아시아 민주평화
동아시아지역에서 미·중간 패권경쟁 가능성은?
Chapter 07 동맹전략
1. 실용주의 한·미동맹
21세기 대한민국의 동맹전략은 어떤 것이어야 하나?
한반도의 중립국화는 가능한가?
왜 대한민국의 동맹파트너가 미국이어야 하는가?
2. 한·미동맹의 재정립
더욱 대등한 관계로 변하는 한 · 미동맹
왜 한·미동맹의 신뢰가 깨어질 뻔했는가?
향후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방안은?
제2부 이 론
Chapter 01 국제관계이론
1. 국제관계 이론적 시각
1) 현실주의, 신현실주의
2) 이상주의,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3) 구성주의
4) 관료주의, 이익집단 시각 및 전략적 시각
Chapter 02 한국적 국제관계이론
1. 한국적 국제관계이론
2. 중견국 외교론
1) 중견국 개념과 중견국 역할
2) 중추적 동반자론
3) 인간안보론
Chapter 03 게임이론
1. 죄수의 딜레마 게임
2. 비겁자 게임
3. 전개형 게임
Chapter 04 핵무기와 전쟁억지
1. 핵확산 금지와 전쟁억지론
1) 핵무기 경쟁과 핵전략의 변천
2) 전쟁억지론
3) 핵확산 금지
2. 군비경쟁과 군비지출
1) 군비경쟁이론
2) 군비지출과 경제성장
Chapter 05 세력전이이론
1. 세력균형이론과 세력전이이론
1) 세력균형이론
2) 세력전이이론
2. 패권안정이론과 장주기이론
1) 패권안정이론
2) 장주기이론
Chapter 06 민주주의와 평화
1.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와 평화
2. 민주주의와 평화
Chapter 07 동맹이론
1.동맹이론
1) 동맹의 유형
2) 동맹의 목적
3) 동맹공약
4) 동맹관리
2. 기대효용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