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2부 이해의 모형
제5장 담화에서의 낱말확인 13
1. 낱말 의미들의 구성 14
1) 눈의 망막으로부터 작업기억에 이르기까지 17
2) 동형이의어(homographs) 24
3) 담화에서 지엽적 점화와 전반적 점화: 낱말이 의미하는 바 29
4) 담화에서 점화효과의 모의 39
2. 대용 표현 51
1) 대용표현 해결에 대한 언어심리학 52
2) 구성-통합 모형의 대용표현 해결책 60
3. 은유(비유) 74
제6장 덩잇글 기저와 상황모형 89
1. 분석하기 91
2. 거시구조 형성 102
1) 언어형식으로 거시구조를 신호해 주는 일 108
2) 거시구조의 지배: 덩잇글에 들어 있는 모순내용 113
3) 잠재태 의미분석(LSA) 공간에서 벡터들로서의 거시구조 119
3. 추 론 126
1) 추론의 분류 126
2) 담화 이해과정 동안 추론 생성하기 133
3) 지식에 근거한 추론 구성의 시간 경로 141
4) 상황모형의 구성 142
4. 공간적 상황모형 144
5. 문학 작품 152
1) 제약들의 원천으로서 운율구조 156
2) 다중수준의 상황모형 162
3) 문학적 언어 이해전략 164
제7장 이해에서 작업기억의 역할 169
1. 작업기억과 능숙한 기억 173
2. 덩잇글 이해에서 장기 작업기억 179
3. 구성-통합 모형에서 인출구조 184
1) 이해과정 동안 일화 덩잇글 기억 184
2) 이해과정 동안 지식의 활성화 189
3) 단기기억 임시저장고 200
4. 인출구조에 대한 잠재태 의미분석 모형 201
5. 작업기억에서의 용량 차이인가 208
제8장 덩잇글 기억 223
1. 재인 기억 224
1) 목록-학습 자료 및 이론 224
2) 문장 재인 230
2. 회상과 요약하기 249
1) 이야기 회상에 대한 모의 254
2) 요약에 대한 평가 269
제9장 덩잇글 학습 277
1. 무엇이 유능한 독자를 만들어 주는가 278
1) 해독 기능 279
2) 언어 기능 282
3) 영역 지식 287
2. 학습과 기억 292
1) 덩잇글 기저와 상황모형 295
2) 학 습 298
3. 학습의 측정 300
4. 구성-통합 모형에서의 학습 모의 311
5.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미연결된 덩잇글 이용하기 318
6. 능동적 처리를 자극함으로써 학습을 향상시키기 329
7. 학생들을 수업용 덩잇글에 합치시키기 343
8. 교육적 함의 349
제10장 진술형 문제 355
1. 진술형 산술문제 358
1) 진술형 산술문제 해결을 위한 도식 360
2) 오류 모의 367
3) 상황 모형 380
4) 진술형 산술문제 해결에 대한 구성-통합 모형 382
5) 도식의 발현/창발 393
2. 진술형 대수문제 399
1) 대수 도식 400
2) 진술형 대수문제의 모형 402
3) 진술형 대수문제 해결을 위한 ANIMATE(동영상처리) 가정교사 408
제11장 덩잇글을 넘어서서 419
1. 행위 계획하기 422
1) 정형화된 행위 423
2) 초보자와 전문가 441
3) 오류의 모의 451
2. 문제해결․결정․판단 460
1) 문제해결 및 결정 내리기에서 이해의 역할 460
2) 인상형성 474
3. 작업기억에서 자아(자기)의 표상 482
1) 자아표상의 평가기능 및 동기기능 491
2) 인지와 감정 500
4. 전 망 504
▪찾아보기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