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지식.정보책의 형식을 벗어나 쉽고 재미있게 사회 개념을 알려주는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시리즈 민속편. 꼭 알아야 할 주요 교과 내용을 가려 뽑고, 핵심을 추려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하는 것까지 현직 선생님이 초등학생의 입장에서 만들었다. 집필자와 편집부가 함께 교과서를 분석하고, 꼭 필요한 핵심 내용을 가려 뽑아 키워드로 제시하고, 도입에 주제와 관련된 만화를 이용해 흥미를 유도했다.
목차
1장 조상들의 의·식·주 생활 한복은 언제부터 입게 되었나요?_한복 계절마다 옷의 종류가 어떻게 달랐나요?_추위와 더위를 견디는 지혜 언제부터 빨간 김치를 먹기 시작했어요?_김치 계절을 대표하는 우리 음식에는 무엇이 있나요?_계절에 따른 음식 옛날 사람들은 어떤 음료수를 마셨나요?_식혜와 수정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수는 무엇인가요?_냉면과 막국수 왜 중요한 행사 때마다 떡을 만들어 먹나요?_떡 보일러가 없던 옛날에는 추운 겨울을 어떻게 지냈나요?_온돌 더운 여름날 조상들은 어떻게 생활했을까요?_한옥 지방에 따라 집의 모양은 왜 다른가요?_한옥의 구조
2장 명절과 명절 음식, 세시풍속 설날에는 어떤 음식을 먹고 무엇을 했나요?_설날 정월 대보름에 오곡밥을 왜 먹어요?_정월 대보름과 오곡밥 더위도 팔 수 있나요?_더위 팔기 찬밥을 먹어야 하는 날이 있다면서요?_한식 단옷날이 되면 왜 창포물에 머리를 감았나요?_단오 칠월칠석에는 정말 비가 내리나요?_칠월칠석 추석을 왜 한가위라고 하나요?_추석 동짓날 팥죽을 먹는 이유는 뭐예요?_동지 12월 31일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된다고요?_섣달그믐
3장 조상들의 민속놀이 옛날 사람들이 민속놀이를 한 이유는 뭐예요?_민속놀이의 의의 계절마다 하는 민속놀이가 따로 있나요?_계절에 따른 민속놀이 조상들이 줄다리기를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_줄다리기 고싸움놀이는 어떻게 하나요?_고싸움놀이 연날리기를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_연날리기 탈춤은 왜 추었나요?_탈춤 쉽게 할 수 있는 민속놀이는 무엇이 있나요?_다양한 민속놀이 옛날과 지금의 놀이는 어떻게 다른가요?_민속놀이의 변화 민속놀이를 직접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_전통 문화 축제
4장 전통의 관혼상제 옛날에는 아기를 낳으면 왜 대문에 금줄을 걸었나요?_출산 의례 우리 조상들은 태몽을 정말 믿었나요?_태몽 돌잔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_돌잔치와 돌잡이 옛날 어린이들은 어디에서 배웠나요?_서당 성년의 날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_관례와 계례 결혼식장이 없던 옛날에는 어떻게 결혼을 했나요?_혼인 의례 60세 생일이 되면 잔치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_환갑 의례 옛날의 장례식과 오늘날의 장례식은 어떻게 다른가요?_장례 풍습 제사는 왜 한밤중에 지낼까요?_제례 전통 의례를 계속 이어 가야하는 이유가 있나요?_전통 의례의 중요성
5장 조상들의 멋 한옥 지붕에 기와를 얹는 이유가 뭐예요?_기와 한지는 어떤 점이 우수한가요?_한지 붓글씨를 쓸 때는 무엇이 필요해요?_문방사우 전기가 없던 옛날에는 어떻게 어둠을 밝혔나요?_등잔 옛날 사람들은 옷을 어떻게 만들어 입었을까요?_씨아와 물레 옛날 사람들은 무거운 짐을 어떻게 운반했나요?_수레와 지게 선풍기나 에어컨이 없을 때는 더위를 어떻게 식혔을까요?_죽부인과 부채 믹서가 없던 옛날에는 어떻게 곡식을 갈았아요?_연자방아와 맷돌 조상들의 슬기가 담긴 생활 도구는 또 어떤 것이 있나요?_다양한 생활 도구 옛날에는 어떻게 물건을 샀나요?_옛날 화폐
6장 전통 과학 조상들은 하늘의 별자리를 어떻게 관측했나요?_첨성대 옛날에는 얼음을 보관할 수 있었다면서요?_석빙고 성덕 대왕 신종에서 신비한 소리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_선덕대왕 신종 팔만대장경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요?_해인사 장경판전 옛날에는 어떻게 시간과 날짜를 알았을까요?_앙부일구 옛날에는 밖에 있을 때 시간이 궁금하면 어떻게 했어요?_휴대용 해시계 옛날에도 자동으로 시각을 알려주는 시계가 있었다고요?_자격루 흐르는 강물의 높이는 어떻게 쟀을까요?_수표교 옛날에도 로켓처럼 하늘을 나는 무기가 있었나요?_신기전 커다란 성곽을 쌓을 땐 무엇을 이용했나요?_거중기
7장 조상들의 믿음 민속 신앙 우리 조상들은 마을 입구에 왜 장승이나 솟대를 만들었어요?_장승과 솟대 집을 지키는 신이 있나요?_집을 지키는 신 나무에 왜 천을 걸어두나요?_서낭당 마을에서도 제사를 지냈었나요?_마을 제사 우리가 사는 땅에도 기운이 있다고요?_풍수지리 자손을 잇게 도와주는 신이 정말 있었을까요?_가자 의례 옛날 사람들은 정말 도깨비가 있다고 믿었을까요?_도깨비 우리 생활 곳곳에 유교 사상이 숨어있다고요?_유교 사상 불교는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나요?_불교
8장 전통 예술 두 사람이 만들어 내는 예술이 있다고요?_판소리 일을 하기 위해 부른 노래도 있었나요?_농요 옛날 어린이들도 동시를 지었을까요?_시조 아리랑의 종류가 한 가지가 아니라고요?_민요 옛날에는 어떤 그림을 그렸나요?_민화 왜 선비들을 사군자를 그렸나요?_사군자 사찰 지붕에 알록달록한 장식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_단청 옛날 사람들은 쓰고 남은 천도 버리지 않았다면서요?_조각보 도자기는 언제부터 만들어졌나요?_도자기 한글이 왜 과학적인 문자인가요?_한굴
서가브라우징
사회가 재밌어지는 3학년 맞춤 정치. [3-4]2010 / 윤혜숙 글 ; 이지후 그림 / 거인
사회가 재밌어지는 3학년 맞춤 정치. [3-4]2010 / 윤혜숙 글 ; 이지후 그림 / 거인
(똑! 소리 나는) 지리2009 / 앙팡떼 글울타리 글 ; 강선용 그림 / 씽크하우스
도비와 함께 사회 공부 뚝딱! : 초등 사회 교과서 쉽게 쉽게 따라가요2011 / 유다정 글 ; 민은정 그림 / 토토북
우주 최강 통합 사회 암기 절대 사절 : 초등3~4학년2018 / 글쓴이: 조지욱 ; 그린이: 김석 / 사계절출판사
우주 최강 통합 사회 암기 절대 사절 : 초등3~4학년2018 / 글쓴이: 조지욱 ; 그린이: 김석 / 사계절출판사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편2012 / 글: 전혜은 ; 그림: 김미정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2], 민속편2012 / 글: 장하영 ; 그림: 유남영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편2012 / 글: 엄정훈 ; 그림: 이유나 ; 만화: 김경옥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역사편2012 / 글: 김동찬 ; 최윤선 ; 그림: 장정오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5], 정치편2012 / 글: 조선미 ; 그림: 송향란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6], 한국지리편2012 / 글: 박정애 ; 그림: 지영이 / 중앙북스
우리 학교숲으로 가요 : 학교숲 활용 교육. 1, 겨울·봄 편2011 / 이선경 ; 하시연 ; 정수정 ; 오창길 ; 정대수 지음 / 이채
우리 학교숲으로 가요 : 학교숲 활용 교육, 여름·가을 편2011 / 이선경 ; 하시연 ; 정수정 ; 오창길 ; 정대수 지음 / 이채
(내가 정하고 탐구하고 발표하는) 교과서 속 자유탐구2011 / 이대형 글 ; 여미경 그림 / 한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