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기존의 지식.정보책의 형식을 벗어나 쉽고 재미있게 사회 개념을 알려주는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시리즈 민속편. 꼭 알아야 할 주요 교과 내용을 가려 뽑고, 핵심을 추려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하는 것까지 현직 선생님이 초등학생의 입장에서 만들었다. 집필자와 편집부가 함께 교과서를 분석하고, 꼭 필요한 핵심 내용을 가려 뽑아 키워드로 제시하고, 도입에 주제와 관련된 만화를 이용해 흥미를 유도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1장 조상들의 의·식·주 생활
한복은 언제부터 입게 되었나요?_한복
계절마다 옷의 종류가 어떻게 달랐나요?_추위와 더위를 견디는 지혜
언제부터 빨간 김치를 먹기 시작했어요?_김치
계절을 대표하는 우리 음식에는 무엇이 있나요?_계절에 따른 음식
옛날 사람들은 어떤 음료수를 마셨나요?_식혜와 수정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수는 무엇인가요?_냉면과 막국수
왜 중요한 행사 때마다 떡을 만들어 먹나요?_떡
보일러가 없던 옛날에는 추운 겨울을 어떻게 지냈나요?_온돌
더운 여름날 조상들은 어떻게 생활했을까요?_한옥
지방에 따라 집의 모양은 왜 다른가요?_한옥의 구조

2장 명절과 명절 음식, 세시풍속
설날에는 어떤 음식을 먹고 무엇을 했나요?_설날
정월 대보름에 오곡밥을 왜 먹어요?_정월 대보름과 오곡밥
더위도 팔 수 있나요?_더위 팔기
찬밥을 먹어야 하는 날이 있다면서요?_한식
단옷날이 되면 왜 창포물에 머리를 감았나요?_단오
칠월칠석에는 정말 비가 내리나요?_칠월칠석
추석을 왜 한가위라고 하나요?_추석
동짓날 팥죽을 먹는 이유는 뭐예요?_동지
12월 31일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된다고요?_섣달그믐

3장 조상들의 민속놀이
옛날 사람들이 민속놀이를 한 이유는 뭐예요?_민속놀이의 의의
계절마다 하는 민속놀이가 따로 있나요?_계절에 따른 민속놀이
조상들이 줄다리기를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_줄다리기
고싸움놀이는 어떻게 하나요?_고싸움놀이
연날리기를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_연날리기
탈춤은 왜 추었나요?_탈춤
쉽게 할 수 있는 민속놀이는 무엇이 있나요?_다양한 민속놀이
옛날과 지금의 놀이는 어떻게 다른가요?_민속놀이의 변화
민속놀이를 직접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_전통 문화 축제

4장 전통의 관혼상제
옛날에는 아기를 낳으면 왜 대문에 금줄을 걸었나요?_출산 의례
우리 조상들은 태몽을 정말 믿었나요?_태몽
돌잔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_돌잔치와 돌잡이
옛날 어린이들은 어디에서 배웠나요?_서당
성년의 날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_관례와 계례
결혼식장이 없던 옛날에는 어떻게 결혼을 했나요?_혼인 의례
60세 생일이 되면 잔치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_환갑 의례
옛날의 장례식과 오늘날의 장례식은 어떻게 다른가요?_장례 풍습
제사는 왜 한밤중에 지낼까요?_제례
전통 의례를 계속 이어 가야하는 이유가 있나요?_전통 의례의 중요성

5장 조상들의 멋
한옥 지붕에 기와를 얹는 이유가 뭐예요?_기와
한지는 어떤 점이 우수한가요?_한지
붓글씨를 쓸 때는 무엇이 필요해요?_문방사우
전기가 없던 옛날에는 어떻게 어둠을 밝혔나요?_등잔
옛날 사람들은 옷을 어떻게 만들어 입었을까요?_씨아와 물레
옛날 사람들은 무거운 짐을 어떻게 운반했나요?_수레와 지게
선풍기나 에어컨이 없을 때는 더위를 어떻게 식혔을까요?_죽부인과 부채
믹서가 없던 옛날에는 어떻게 곡식을 갈았아요?_연자방아와 맷돌
조상들의 슬기가 담긴 생활 도구는 또 어떤 것이 있나요?_다양한 생활 도구
옛날에는 어떻게 물건을 샀나요?_옛날 화폐

6장 전통 과학
조상들은 하늘의 별자리를 어떻게 관측했나요?_첨성대
옛날에는 얼음을 보관할 수 있었다면서요?_석빙고
성덕 대왕 신종에서 신비한 소리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_선덕대왕 신종
팔만대장경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요?_해인사 장경판전
옛날에는 어떻게 시간과 날짜를 알았을까요?_앙부일구
옛날에는 밖에 있을 때 시간이 궁금하면 어떻게 했어요?_휴대용 해시계
옛날에도 자동으로 시각을 알려주는 시계가 있었다고요?_자격루
흐르는 강물의 높이는 어떻게 쟀을까요?_수표교
옛날에도 로켓처럼 하늘을 나는 무기가 있었나요?_신기전
커다란 성곽을 쌓을 땐 무엇을 이용했나요?_거중기

7장 조상들의 믿음 민속 신앙
우리 조상들은 마을 입구에 왜 장승이나 솟대를 만들었어요?_장승과 솟대
집을 지키는 신이 있나요?_집을 지키는 신
나무에 왜 천을 걸어두나요?_서낭당
마을에서도 제사를 지냈었나요?_마을 제사
우리가 사는 땅에도 기운이 있다고요?_풍수지리
자손을 잇게 도와주는 신이 정말 있었을까요?_가자 의례
옛날 사람들은 정말 도깨비가 있다고 믿었을까요?_도깨비
우리 생활 곳곳에 유교 사상이 숨어있다고요?_유교 사상
불교는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나요?_불교

8장 전통 예술
두 사람이 만들어 내는 예술이 있다고요?_판소리
일을 하기 위해 부른 노래도 있었나요?_농요
옛날 어린이들도 동시를 지었을까요?_시조
아리랑의 종류가 한 가지가 아니라고요?_민요
옛날에는 어떤 그림을 그렸나요?_민화
왜 선비들을 사군자를 그렸나요?_사군자
사찰 지붕에 알록달록한 장식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_단청
옛날 사람들은 쓰고 남은 천도 버리지 않았다면서요?_조각보
도자기는 언제부터 만들어졌나요?_도자기
한글이 왜 과학적인 문자인가요?_한굴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사회가 재밌어지는 3학년 맞춤 정치. [3-4] 사회가 재밌어지는 3학년 맞춤 정치. [3-4] 2010 / 윤혜숙 글 ; 이지후 그림 / 거인
사회가 재밌어지는 3학년 맞춤 정치. [3-4] 사회가 재밌어지는 3학년 맞춤 정치. [3-4] 2010 / 윤혜숙 글 ; 이지후 그림 / 거인
(똑! 소리 나는) 지리 (똑! 소리 나는) 지리 2009 / 앙팡떼 글울타리 글 ; 강선용 그림 / 씽크하우스
도비와 함께 사회 공부 뚝딱! : 초등 사회 교과서 쉽게 쉽게 따라가요 도비와 함께 사회 공부 뚝딱! : 초등 사회 교과서 쉽게 쉽게 따라가요 2011 / 유다정 글 ; 민은정 그림 / 토토북
우주 최강 통합 사회 암기 절대 사절 : 초등3~4학년 우주 최강 통합 사회 암기 절대 사절 : 초등3~4학년 2018 / 글쓴이: 조지욱 ; 그린이: 김석 / 사계절출판사
우주 최강 통합 사회 암기 절대 사절 : 초등3~4학년 우주 최강 통합 사회 암기 절대 사절 : 초등3~4학년 2018 / 글쓴이: 조지욱 ; 그린이: 김석 / 사계절출판사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편 2012 / 글: 전혜은 ; 그림: 김미정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2], 민속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2], 민속편 2012 / 글: 장하영 ; 그림: 유남영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편 2012 / 글: 엄정훈 ; 그림: 이유나 ; 만화: 김경옥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역사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역사편 2012 / 글: 김동찬 ; 최윤선 ; 그림: 장정오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5], 정치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5], 정치편 2012 / 글: 조선미 ; 그림: 송향란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6], 한국지리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6], 한국지리편 2012 / 글: 박정애 ; 그림: 지영이 / 중앙북스
우리 학교숲으로 가요  : 학교숲 활용 교육. 1, 겨울·봄 편 우리 학교숲으로 가요 : 학교숲 활용 교육. 1, 겨울·봄 편 2011 / 이선경 ; 하시연 ; 정수정 ; 오창길 ; 정대수 지음 / 이채
우리 학교숲으로 가요  : 학교숲 활용 교육, 여름·가을 편 우리 학교숲으로 가요 : 학교숲 활용 교육, 여름·가을 편 2011 / 이선경 ; 하시연 ; 정수정 ; 오창길 ; 정대수 지음 / 이채
(내가 정하고 탐구하고 발표하는) 교과서 속 자유탐구 (내가 정하고 탐구하고 발표하는) 교과서 속 자유탐구 2011 / 이대형 글 ; 여미경 그림 / 한울림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마주 보는)한국사 교실. 7, 개혁과 자주를 외치다 1800년~1920년 (마주 보는)한국사 교실. 7, 개혁과 자주를 외치다 1800년~1920년 2011 / 김윤희 지음 ; 여미경 그림 / 웅진씽크빅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3], 세계지리편 2012 / 글: 엄정훈 ; 그림: 이유나 ; 만화: 김경옥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6], 한국지리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6], 한국지리편 2012 / 글: 박정애 ; 그림: 지영이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1], 경제편 2012 / 글: 전혜은 ; 그림: 김미정 / 중앙북스
맛있는 과학, 지구와 달 맛있는 과학, 지구와 달 2014 / 글: 정효진; 그림: 지미란 / 주니어김영사:
(철학하는 어린이)예술이 뭐예요? : What is art? (철학하는 어린이)예술이 뭐예요? : What is art? 2008 / 오스카 브르니피에 글 ; 레미 쿠르종 그림 ; 이효숙 옮김 / 상수리
해저2만리 해저2만리 2011 / 원작: 쥘 베른 ; 옮김: 정제광 ; 그림: 오승철 / 삼성출판사
고조선과 삼국 시대 고조선과 삼국 시대 2017 / 지음: 배우성 ; 송호정 ; 박현철 ; 그림: 이예휘 / 삼성출판사
통일 신라와 발해 통일 신라와 발해 2016 / 글: 배우성, 송호정, 박현철 ; 그림: 최준석 / 삼성
역사도둑. 7, 조선 전기Ⅰ 역사도둑. 7, 조선 전기Ⅰ 2013 / 송도수 글 ; 양선모 그림 / 서울문화사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역사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4], 역사편 2012 / 글: 김동찬 ; 최윤선 ; 그림: 장정오 / 중앙북스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5], 정치편 질문을 꿀꺽 삼킨 사회 교과서. [5], 정치편 2012 / 글: 조선미 ; 그림: 송향란 / 중앙북스
스토리버스 융합사회. 6, 세계문화 스토리버스 융합사회. 6, 세계문화 2014 / 이동학 ...[등]만화 ; 멀티비츠 ...[등]사진 / 스토리버스
할머니를 따라간 메주 할머니를 따라간 메주 2000 / 지음: 오승희 ; 그림: 이은천 / 창비
금이와 메눈취 할머니 금이와 메눈취 할머니 1999 / 글: 우봉규 ; 그림: 이상권 / 시공주니어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왜 나만 시간이 없어! 왜 나만 시간이 없어! 2018 / 지음: 박윤경, 그림: 혜경 / 리틀씨앤톡
이럴 땐 이렇게 말해요 이럴 땐 이렇게 말해요 2015 / 지음: 성지영, 그림: 혜경 / 책읽는달
누구 엉덩이? 누구 엉덩이? 2016 / 지음: 김정희, 그림: 김유대 / 사계절
발표 안 하면 안 될까 발표 안 하면 안 될까 2017 / 지음: 이현주; 그림: 천필연 / 리틀씨앤톡:
사회 잘하는 초등학생들의 77가지 비법 사회 잘하는 초등학생들의 77가지 비법 2014 / 김정신 글 ; 김창호 그림 / 소담주니어
(나 혼자 해볼래)운동하기 (나 혼자 해볼래)운동하기 2017 / 권자경 글 ; 송하완 그림 / 리틀씨앤톡
나의 꿈 나의 꿈 2017 / 지음: 박종진, 그림: 유경민 / 키즈엠
슈퍼맨의 마지막 임무, 학교안전을 지켜라! 슈퍼맨의 마지막 임무, 학교안전을 지켜라! 2017 / 지은이: 이서윤; 그린이: 홍원표 / 풀빛
일기쓰기 일기쓰기 2013 / 글: 이현주 ; 그림: 문수민 / 리틀씨앤톡
책이 재미있다고? 책이 재미있다고? 2015 / 글: 박윤경 ; 그림: 천소 / 리틀씨앤톡
더러운 게 어때서? 더러운 게 어때서? 2015 / 지음: 박비소리, 그림: 최지영 / 리틀씨앤톡
준비물 챙기기 준비물 챙기기 2016 / 글: 김지연 ; 그림: 김민선 / 리틀씨앤톡:씨앤톡
내가 하는 말이 왜 나빠? 내가 하는 말이 왜 나빠? 2019 / 지음: 이현주; 그림: 최지영 / 리틀씨앤톡:
별별 사람 별별 문화, 이웃나라 탐방 별별 사람 별별 문화, 이웃나라 탐방 2016 / 지은이: 이재윤; 그린이: 이희은 / 조선Books:
열매 마을N 어떤 이웃이 살까? 열매 마을N 어떤 이웃이 살까? 2016 / 지음: 조혜숙; 그림: 장숙희 / 조선Books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3
20대0
30대1
40대2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1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1
2022년0
2023년2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