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화는 위기인가, 기회인가? 40년간 이어져 온 주요 세계화 논쟁을 한 권의 책으로 읽는다. 월러스틴, 기든스, 스티글리츠, 하트와 네그리 등 세계 곳곳의 18명의 주요 사상가들이 제시한 이론을 11개의 주제로 나눠 체계적이고 비판적으로 정리한다.
목차
옮긴이의 말: ‘세계화’ 이리저리 뒤집어보기
들어가는 글: 세계화 논의, 어디까지 왔는가?
1. 세계는 하나의 체제인가? - 이매뉴얼 월러스틴
세계화 이론의 선구자, 월러스틴
세계는 자본주의로 통합된 하나의 체제다
세계체제론은 왜 비판을 받는가?
세계체제론은 세계화 이론의 원형인가?
세계화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세계체제론은 무엇을 남겼나
2. 세계화는 시간과 공간 경험을 어떻게 바꿨는가? - 앤소니 기든스
기든스, 세계화를 이론화하다
세계화는 근대성의 결과다
‘통제불능’의 ‘질주하는 세계’
세계화 이론의 맹점들
기든스와 세계화 이론 논쟁
3.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세계를 어떻게 연결시켰는가? - 마누엘 카스텔
정보통신기술은 세계를 연결하는 끈이다
‘흐름의 공간’과 ‘초월적 시간’
정보 자본주의 시대
정보경제는 국가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세계화된 네트워크 사회는 무엇을 초래하는가?
세계의 변화는 세계화 현상의 일부인가?
4. 세계화를 전 지구적 변환으로 볼 수 있을까? - 데이비드 헬드, 안소니 맥그루
세계화는 독특한 ‘변환’이다
세계화 논의의 본질은 무엇인가?
세계화를 보는 (수정) 변환론적 시각
세계화의 ‘위험’과 ‘소멸’
‘수정 변환론’의 한계
5. 세계화는 신화인가? - 폴 허스트, 그래험 톰슨
세계화 ‘회의론’의 핵심 이론가, 허스트와 톰슨
세계화는 ‘신화’다!
세계화가 아닌 ‘국제 경제’
세계화는 왜 제한적인 현상인가?
‘회의론’의 한계는 무엇인가?
6. 세계화는 어떻게 공간을 변화시키는가? - 사스키아 사센, 피터 디켄
세계화는 공간이 변하는 것이다
디켄: 세계화에 질문을 던지다
사센: 세계화와 세계도시 네트워크의 등장
세계화의 공간성은 왜 비판을 받는가
7. 세계화는 경제 발전을 위한 기회인가? - 마틴 울프, 코마스 프리드먼
세계화는 기회다
프리드먼: 세계는 ‘평평’한가?
울프: 세계화는 왜 ‘작동’하는가?
진보적 세계화인가, 과대세계화론으로의 회귀인가?
8. 세계화를 어떻게 개혁해야 하는가? - 조셉 스티글리츠
대안세계화 이론가, 스티글리츠
세계화, 무엇이 문제인가?
신자유주의의 이념과 워싱턴 합의
시장 근본주의는 무엇을 낳았는가?
세계화는 빈곤 문제를 해결했는가?
스티글리츠는 정말 영향력 있는 이론가인가?
9. 또 다른 세계는 가능한가? - 나오미 클라인, 마르코스, 조지 몬비오
급진적 세계화 이론이란 무엇인가?
클라인: ‘노 로고’
클라인의 세계화 비판
몬비오: ‘또 다른 세계’에 대한 급진적 이상주의
마르코스: 반세계화 운동이 필요하다!
급진적 이론은 무엇이 문제인가?
10. ‘제국’으로서의 세계화를 어떻게 무너뜨릴 것인가? - 마이클 하트, 안토니오 네그리
이론으로 무장한 급진적 발상, 하트와 네그리
‘제국’이란 무엇인가?
쇠퇴와 멸망은 혁명을 향한 길
제국 가설은 무엇이 문제인가?
‘제국’과 ‘다중’을 다시 생각해보기
11. 세계화에서 문화는 어떤 의미인가? - 아르준 아파두라이
세계화 논의의 외부자, 아파두라이
전 세계 문화경제에서의 ‘탈구’와 ‘차이’
지역성이란 무엇인가?
풀뿌리 세계화와 폭력의 세계화
문화 흐름과 ‘경관’에 대한 질문
나가는 글: 세계화 논쟁은 끝나지 않았다!
주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