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군사학이란 무엇인가?
제1절 개요
제2절 군사학 개념
제3절 군사학 필요성
제4절 군사학 연구범위
제5절 군사이론
제6절 군사사상
제2장 군사학 연구와 교육
제1절 서론
제2절 군사학의 범주와 교육 체계
제3절 군사학 연구와 교육
제3장 국가 안전보장
제1절 국가와 정부
제2절 국가와 군사전략
제3절 국가방위
제4절 비상사태 및 위기관리
제5절 안전보장
제6절 국가 정통성
제4장 전쟁의 이해
제1절 개요
제2절 전쟁의 의미
제3절 전쟁의 변천
제4절 군사전쟁과 전쟁법
제5절 군사무기
제5장 병역제도 및 동원
제1절 개요
제2절 병역제도
제3절 병역의무
제4절 동원(動員/Mobilization)
제5절 예비군(豫備軍, ROKPF, ROK Reserve Forces)
제6장 전쟁관리 및 지원
제1절 군사력 건설
제2절 군대 조직
제3절 지휘관 및 참모
제7장 교육훈련 및 관리
제1절 개요
제2절 육ㆍ해ㆍ공군 교육훈련
제3절 훈련 및 연습
제8장 군사(軍事) 실천이론(인사관리, 복지, 병영생활)
제1절 계급(階級) 및 병과
제2절 직업 군인과 장교
제3절 부사관
제4절 복무(服務)
제5절 징계(懲戒)
제6절 군인복지(福祉)
제7절 병영생활
부록
부록 1 군사이론
부록 2 대체복무 유형별 현황
부록 3 국가동원절차
부록 4 연합ㆍ합동 연습 및 훈련현황
부록 5
장교ㆍ준사관 및 부사관에 대한 징계양정기준
병에 대한 징계양정기준
부록 6
육군 병영생활 행동강령
해군 병영생활 행동강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