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그간 철학에서 분리되어 다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삶의 문제와 공간의 문제 그리고 건축의 문제에 대해 각 영역을 심층적으로 탐색한다. 저자는 후설과 하이데거를 거치며 진화하는 현상학적 판단과 우리에게 새롭게 소개되는 크리스티안 노르베르크 슐츠의 ‘건축현상학적 사유’를 원용해, 인간이 삶을 누리고, 거처하며, 여행하는 저 풍경과 공간의 맥락을 재해석해낸다.
목차
책을 내면서
1부|건축에서 현상학으로
1. 문을 열며
2. 융합, 통섭, 그리고 심층횡단
ㆍ융합 개념의 기원과 전망
ㆍ통섭
ㆍ리좀과 횡단
ㆍ학문 간 심층횡단로 제시
3. 심층횡단의 감행: 건축과 철학의 심층횡단로 개척
ㆍ현대 건축의 근본 가정 발굴
ㆍ비유클리드 기하학의 근본 가정과 타당성 근거: 심층횡단 노드의 발견
4. 하이데거의 공간론을 향한 심층횡단
ㆍ후설에서 하이데거로
ㆍ근대 공간의 해체: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의 공간론
ㆍ언어에 대한 시적 접근을 통한 공간론
2부|현상학에서 건축으로
5. 현상학으로부터 건축현상학으로의 심층횡단
ㆍ풍경의 시학적 구조
ㆍ풍경, 거주지 그리고 건축
6. 풍경과 거주지의 역사-고대에 바로크까지 그 본질적 특성
ㆍ고대
ㆍ중세
ㆍ르네상스
ㆍ매너리즘
ㆍ바로크
7. 풍경과 도시-도시의 현상학
ㆍ로마, 영원한 전원도시
ㆍ프라하, 그리움의 도시
ㆍ현대도시와 풍경
3부|건축에서 미래로
8. 미래도시 비전 유-시티
ㆍ유-시티의 개념과 내용
ㆍ유-시티의 전제를 향한 심층추적: 첨단기술과 현상학
ㆍ유-시티로부터 풍경으로의 횡단: 하이퍼기능주의, 포스트휴먼 그리고 풍경
9. 디자인 시티를 넘어 심포이에틱 시티를 향하여
ㆍ유-시티와 디자인 시티
ㆍ디자인 시티의 추세와 문제점: 서울을 중심으로
ㆍ관광도시를 향한 디자인 시티의 열망
ㆍ풍경의 도시와 욕망의 도시
ㆍ서울의 미래: 유-시티와 디자인 시티를 넘어 심포이에틱 시티로
맺음말 혹은 보론|경제위기와 풍경현상학
ㆍ월스트리트 발 절망
ㆍ디지털 스페이스의 출현과 위험기반 경제를 향한 도정
ㆍ시적 경계를 향하여? 뉴욕의 절망과 희망
ㆍ주
ㆍ참고문헌
ㆍ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