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 강의실 밖 문학수업
  • 강의실 밖 문학수업

    발행연도 - 2012 / 이병렬 지음 / 유리창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4551
    • ISBN 9788996680444
    • 형태 398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서지/출판 > 책읽기/글쓰기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고등학교에서, 대학교에서, 대학원에서 30년 가깝게 문학을 가르친 소설가 이병렬의 <강의실 밖 문학수업>. '문학은 교양이다. 혹은 매너, 에티켓이다.' 이런 생각이 이 책을 만들었다. 영어 단어 외우고 수학 공식 외우듯, 오로지 중고교 시절 수험용으로만 문학을 소비해 온 독자들에게 교양으로 문학을 얘기해주자는 것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을 묶으면서 -강의실에서 못다 한 이야기들

1부 문학이 뭐길래?
행갈이가 시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시는 언어로 그린 그림이며, 사물과 관념의 새 해석
소설이란 무엇인가
상상력과 허구의 문학
수필, 우습게보지 마라
달관의 글, 전문적 식견과 안목
왜 우리 노래들은 슬플까
슬픔과 체념, 한의 문화
가난한 민족의 노래, 동요
노래로 이겨낸 비참한 역사

2부 문학, 들여다보기
‘복녀’는 왜 몸을 팔았을까
소설은 사회를 비추는 거울
《춘향전》은 음란 소설이다
조선 후기 혼란한 사회상을 함께 봐야
윤동주는 저항시인이 아니다
여린 심성, 아름다운 영혼
청록파는 본래 네 사람이었다
기차 연착에서 비롯된 얄궂은 운명
‘어부사시사’에는 어부가 없다
시대를 잘못 만난 제왕 윤선도
잘못 해석되는 유치환의 시 ‘수(首)’
친일 작품의 해석 오류를 생각하며
여의도는 길재의 땅이다
고려의 충신, 조선 왕의 친구
조식의 음란한(?) 시조
성리학자의 눈웃음
시의 언어는 아름다워야만 하는가
고은의 《만인보》에 나타난 비속어
서정주의 진짜 모습은 어떤 것일까
대시인의 안타까운 치욕
‘향수’의 시인 정지용, 그는 대체 어디로 갔을까
월북을 믿기 어려운 사연

3부 문학, 이런 해석
맞다, 말은 필요 없다
엄원태의 시 ‘말이 필요한 게 아니다’
꽃과 잡초의 경계에서
정희성의 시 ‘민지의 꽃’
살아 있는 청계천 복원도
박태원 장편소설 《천변풍경》
시인 백석, 자야의 가슴속에 지워지지 않는 이름
숭고한 사랑
이태준의 〈복덕방〉과 월북 무용가 최승희
외면당한 작가의 의도
황진이의 사랑 노래
당당하고 순결한 기생
창조적 모방을 위하여
정지용의 ‘향수’를 중심으로
《무소유》를 ‘소유’하려는 부끄러운 사람들
소유와 집착

4부 소설 속 명장면
쥐잡기에 비롯된 의처증의 비극
김동인의 〈배따라기〉
공동묘지, 구더기가 끓는 무덤
염상섭의 〈만세전〉
배추 세 포기와 돈 3원의 차이
김동인의 〈감자〉
빈대 잡으려 초가삼간 태우는 순이
현진건의 〈불〉
자연 속에 꽃피는 선머슴의 사랑
홍명희의 《임꺽정》
뽕나무에 올라간 아이들
심훈의 《상록수》
바나나를 들고 튀어라
박영준의 〈모범 경작생〉
노브라 노팬티의 의미
김유정의 〈소낙비〉
어머니의 입술이 어쩌면 그리도 뜨거운지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도 놀라지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
뜨거운 타작마당 위의 지렁이
김정한의 〈사하촌〉
절름발이 부부의 숙명
이상의 〈날개〉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
김유정의 〈동백꽃〉
선지피를 철철 흘리는 여자의 환상
최명익의 〈장삼이사〉
만세 안 부르기 정말 잘했지
채만식의 〈논 이야기〉
살구씨를 심은 아들의 뜻
허윤석의 〈유두〉
전후 소설이 거둔 비극적 미학의 절정
하근찬의 〈수난이대〉
소년 소녀의 순수하고도 아름다운 사랑
황순원의 〈소나기〉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최인훈의 〈광장〉
대학생 품으로 파고드는 작부
서정인의 〈강〉

5부 문학, 변두리 이야기들
파도야, 파도야!
박진광의 ‘파도’
문밖에 울고 서 있는 여인아
박강성의 ‘문밖에 있는 그대’
헤어지며 알게 되는 사랑의 의미
장철웅의 ‘이룰 수 없는 사랑’
가신 임을 위한 참회의 노래
임희숙의 ‘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일어나! 한 번 더 부딪쳐보는 거야
윤태규의 ‘My Way’
왜 이제야 내게 온 거니?
김도향의 ‘목이 멘다’
신세대의 이별법
소녀시대의 ‘훗(Hoot)’
너무 많이 쓰는 ‘너무’
우리말 교육의 필요성
‘동무’와 ‘친구’의 차이점
정서적 해금이 필요한 우리말
주지도 않으면서 받으라 소리 하지 마라
잘못 쓰는 새해 인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장모는 장모다
구분해 써야 할 호칭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문학을 보는 새로운 시각 한국문학을 보는 새로운 시각 2001 / 이동하 저 / 새미
실재의 언어  = The language of the real  : 이도연 비평집 실재의 언어 = The language of the real : 이도연 비평집 2016 / 지은이: 이도연 / 케포이북스
자연의 음성과 사물의 감각화 : 이돈배 문학평론집 자연의 음성과 사물의 감각화 : 이돈배 문학평론집 2015 / 지음: 이돈배 / 월간문학출판부
한국문학과 인간해방의 정신 한국문학과 인간해방의 정신 2003 / 이동하 지음 / 푸른사상사
(고전문학으로)한국인의 사랑 읽기 (고전문학으로)한국인의 사랑 읽기 2009 / 이문규 지음 / 새문사
이병주 문학의 역사와 사회 인식 이병주 문학의 역사와 사회 인식 2017 / 김윤식, 신봉승, 임헌영, 김종회, 안경환, 이광훈, 표성흠, 이재복, 노현주, 안광, 이경재, 추선진, 정호웅, 송희복, 해이수, 권선영, 강희근, 이광호, 서지문, 홍기돈, 정미진 [지음] / 바이북스
韓國漢文學의 探究 韓國漢文學의 探究 2003 / 이병혁 지음 / 국학자료원
강의실 밖 문학수업 강의실 밖 문학수업 2012 / 이병렬 지음 / 유리창
(문학, 역사, 철학을 망라한) 우리 인문학 연구 (문학, 역사, 철학을 망라한) 우리 인문학 연구 2018 / 지음: 이복규 / 지식과교양
전향, 순수, 전후, 참여 : 대한민국 문학의 형성과 매체 전향, 순수, 전후, 참여 : 대한민국 문학의 형성과 매체 2023 / 지음: 이봉범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상 문학 연구 60년 이상 문학 연구 60년 1999 / 권영민 편저 / 문학사상사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상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상 2011 / 이상 [지음] ; 윤지형 해설 / 실천문학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상 (선생님과 함께 읽는) 이상 2011 / 이상 [지음] ; 윤지형 해설 / 실천문학
(정현종의 시세계)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날 때 (정현종의 시세계)사람이 풍경으로 피어날 때 1999 / 이영섭 외 저 / 문학동네
한국고전의 발견 한국고전의 발견 2000 / 이우성 지음 / 한길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청소년을 위한)한국 현대문학사 (청소년을 위한)한국 현대문학사 2014 / 지음: 채호석 / 두리미디어
(청소년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상고 시대 고대 가요부터 조선 시대 민속극까지 (청소년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상고 시대 고대 가요부터 조선 시대 민속극까지 2011 / 김은정 ; 류대곤 지음 / 두리미디어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작가들 : 2022년 겨울: 깨어 있는 삶 깨어 있는 문학. 통권 83호 작가들 : 2022년 겨울: 깨어 있는 삶 깨어 있는 문학. 통권 83호 2022 / [편]: 인천작가회의 / 다인아트
황해문화. 106, 2020년 봄 황해문화. 106, 2020년 봄 2020 / 새얼문화재단 편집부 / 새얼문화재단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연암 박지원의 글 짓는 법 2013 / 박수밀 지음 / 돌베개
문장의 온도 문장의 온도 2018 / 지음: 이덕무, 엮고 옮김: 한정주 / 다산북스
(권영민 교수의) 문학 콘서트 : 한국 근현대 예술가들의 삶과 문학으로 배우는 인간다운 삶의 가치 (권영민 교수의) 문학 콘서트 : 한국 근현대 예술가들의 삶과 문학으로 배우는 인간다운 삶의 가치 2017 / 권영민 지음 / 해냄
하루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하루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2015 / 장유승 외 지음 / 샘터
내면기행 : 옛사람이 스스로 쓴 58편의 묘비명 읽기 내면기행 : 옛사람이 스스로 쓴 58편의 묘비명 읽기 2018 / 지음: 심경호 / 민음사
서울 문학 기행 : 방민호 교수와 함께 걷는 문학도시 서울 서울 문학 기행 : 방민호 교수와 함께 걷는 문학도시 서울 2017 / 지음: 방민호 / 아르테
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것. 1-4 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것. 1-4 2008 / 서대석 엮음 / 휴머니스트
양성성의 문화와 신화 양성성의 문화와 신화 2013 / 표정옥 저 / 지식과교양
매혹의 근대, 일상의 모험 : 개념사로 읽는 근대의 일상과 문학 매혹의 근대, 일상의 모험 : 개념사로 읽는 근대의 일상과 문학 2016 / 지음: 김지영 / 돌베개
문학소녀 : 전혜린, 그리고 읽고 쓰는 여자들을 위한 변호 문학소녀 : 전혜린, 그리고 읽고 쓰는 여자들을 위한 변호 2017 / 김용언 지음 / 반비
(낭송)이옥 (낭송)이옥 2015 / 이옥 지음 ; 채운 풀어 읽음 / 북드라망
시의 온도 : 얼어붙은 일상을 깨우는 이덕무의 매혹적인 일침 시의 온도 : 얼어붙은 일상을 깨우는 이덕무의 매혹적인 일침 2020 / 지음: 이덕무 ; 엮고 옮김: 한정주 / 다산초당
홍길동전 홍길동전 2000 / 김성재 글 ; 김광배 그림 / 현암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