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증권사 애널리스트인 저자가 금리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을 위해 현재와 과거의 사례를 연관시켜 쉽게 설명하고 있다. 금리는 물론이고 물가, 신용, 환율, 그리고 현재의 금융위기와의 관계를 다룬다. 저자는 구제역 파동과 돼지고기 가격 상승, 미국의 금리정책과 국제 유가 상승 등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금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은 금리라는 큰 숲을 통해 자본시장을 이해하게 해주고, 다양한 투자대상 중에서 자산을 지키고 이익을 얻는 냉철한 안목을 기를 수 있게 해준다.
목차
지은이의 말_위기의 시작에는 언제나 금리가 있다
PART 1 금리지식이 미래의 부를 바꾼다
금리 역시 하나의 가격이다
금리는 명목금리가 아니라 실질금리를 봐야 한다
주식시장보다 채권시장이 더 크다
채권투자로 주식보다 더 버는 방법이 있다
왜 국가는 돈을 국민에게 나눠주지 않는가?
PART 2 금융위기, 금리가 중요한 해법이다
금융위기를 이해하는 핵심 키워드 7가지
금융위기의 범인은 금리다
재정위기의 확산, 재정긴축이 정답일까?
저금리정책, 그 득과 실을 논하다
PART 3 물가와 금리, 관계의 역동성에 주목하라
예수님께서 살아계셨으면 정말 부자가 되었을까?
돈은 은행이 만든다, 신용창조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하는 일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정말 물가가 안정되나요?
물가는 오르는 것이 좋나요, 내리는 것이 좋나요?
초고령화 사회, 내 연금은 무사할까요?
디플레이션 수출국 중국, 그리고 대반격
PART 4 금리를 알면 경기의 흐름이 보인다
자산가치 평가의 첫 걸음, 할인율에 대해 익히자
중앙은행은 경제를 살릴 수 있다 vs 살릴 수 없다
경기가 안 좋은데 물가는 오른다? _ 스태그플레이션
일본의 금리는 왜 이렇게 낮을까요?
PART 5 신용과 금리,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친구에게 돈을 빌려줄 때 적정 금리는 얼마일까?
주식과 채권의 기대수익률은 같다
은행에 가는 당신은 바보다
기업자금 조달에는 주식이 좋은가, 채권이 좋은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무엇이 문제였을까?
PART 6 환율의 기본 중 기본은 금리지식이다
1997년 IMF의 결정은 옳은 것이었나?
유독 우리나라 환율은 왜 이렇게 급등락을 반복하는가?
개도국의 딜레마, 3가지 모두를 가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외환보유고, 보이지 않는 강력한 무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