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어교육을 위한 화용론 = Pragmatics for ELT
발행연도 - 2011 / 이재희 ; 유범 ; 양은미 ; 한혜령 ; 백경숙 ; 안경화 ; 나경희 지음 / 한국문화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1320
-
ISBN
9788957269268
-
형태
300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영어
>
문법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책소개
영어교육 전공자를 위한 화용론 입문서. 영어교육 전문가에게 꼭 필요한 화용론의 기본 개념들을 가능한 한 많은 예시와 더불어 쉽게 소개하고자 하였고,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화용론이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유기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목차
■ 서문
제1장 화용론 개관 / 유범
1. 영어학 분야로서의 화용론
2. 화용론의 정의와 영역
3. 화용론의 주요 개념
4. 화용론과 영어 교육
5. 이 책의 구성
제2장 맥락과 표현: 직시와 응집성 / 안경화
1. 직시
1.1 인칭 직시
1.2 시간 직시
1.3 장소 직시
2. 응집성
2.1 지시
2.2 대용
2.3 생략
2.4 병렬구조
2.5 접속
2.6 어휘적 응집 장치
2.7 시제
3. 영어교육에의 시사점
제3장 맥락과 의미: 함축과 전제 / 한혜령
1. 함축
1.1 협조 원칙
1.2 대화 규범
1.3 공공연한 규범 위반
1.4 함축의 취소 가능성
2. 전제
2.1 전제의 정의
2.2 전제의 판별법
2.3 전제의 관련된 언어적 표현
2.4 전제의 취소 가능성
2.5 관례적 전제와 화용적 전제
3. 함의, 전제, 함축
4. 영어교육과 화용론적 의미
제4장 화행 / 양은미
1. Austin과 Searle 화행 이론
1.1 화행의 구성 요소
1.2 수행 가설
1.3 발화수반력 표시 장치
1.4 적정 조건
1.5 화행(발화수반행위)의 유형
2. 직접화행과 간접화행
2.1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의 구분
2.2 간접화행의 장치들
2.3 간접화행과 공손성
3. 화행과 문화
3.1 화행의 문화 특수성
3.2 화용언어적 능력과 사회화용적 능력
3.3 화행의 종류별 문화적 차이
4. 화행과 영어교육
4.1 화행과 의사소통능력
4.2 화행 교육 방법
제5장 언어 변이와 공손성 / 백경숙
1. 언어 변이
1.1 언어 변이란?
1.2 지역 방언
1.3 사회 방언
1.4 상황별 변이어
2. 공손성
2.1 언어적 공손성이란?
2.2 공손 원칙 및 제 전략
3. 변이어와 영어교육
제6장 담화분석 / 이재희
1. 문장의 정보 구조
1.1 구정보와 신정보
1.2 화제와 평언 또는 주제와 제술
1.3 문장 끝 초점과 문장 끝 무게
1.4 강세와 정보의 가치
2. 텍스트와 담화의 특성
2.1 텍스트와 담화
2.2 텍스트와 담화의 특성
2.3 담화 표지
3. 문화와 장르 및 담화
3.1 문화와 사고 및 수사구조
3.2 장르와 담화 구조
4. 담화 분석과 영어 교육
4.1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담화와 문화
4.2 담화분석 연구결과의 활용
제7장 대화 분석 / 나경희
1. 대화 분석의 단위
2. 대화의 의미와 기본 과정
2.1 말차례
2.2 순서교대
2.3 순서교대 규칙
2.4 중복 및 방해
2.5 인접쌍
2.6 교환
2.7 수정
3. 대화의 진행구조
4. 영어교육과 대화분석
■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2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