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리즈를 펴내며
머리말
1 최시형의 ‘표현’과 ‘개벽’의 세계상
1. 시대와 사상의 특징
2. 두 가지 방법과 능동적 신비주의
3. 경험과 표현(表顯)
4. 세계 불안과 자기 인식[自己知]
5. 개방성과 연대성
6. 때[時]와 개벽(開闢)
7. 심령의 윤리와 영적 코뮤니즘
8. 표현의 정치학
2 해월신사법설(海月神師法說)
一. 천지이기(天地理氣)
二. 천지부모(天地父母)
三. 도결(道訣)
四. 천지인·귀신·음양(天地人·鬼神·陰陽)
五. 허(虛)와 실(實)
六. 심령지령(心靈之靈)
七. 대인접물(待人接物)
八. 영부주문(靈符呪文)
九. 수심정기(守心正氣)
十. 성(誠)·경(敬)·신(信)
十一. 독공(篤工)
十二. 성인지덕화(聖人之德化)
十三. 천도(天道)와 유불선(儒佛仙)
十四. 오도지삼황(吾道之三皇)
十五. 개벽운수(開闢運數)
十六. 수도법(修道法)
十七. 부화부순(夫和婦順)
十八. 부인수도(婦人修道)
十九. 향아설위(向我設位)
二十. 용시용활(用時用活)
二十一. 삼경(三敬)
二十二. 천어(天語)
二十三. 이심치심(以心治心)
二十四. 이천식천(以天食天)
二十五. 양천주(養天主)
二十六. 내수도문(內修道文)
二十七. 내칙(內則)
二十八. 십무천(十毋天)
二十九. 임사실천십개조(臨事實踐十個條)
三十. 명심수덕(明心修德)
三十一. 수도(修道)
三十二. 삼재(三災)
三十三. 포덕(布德)
三十四. 오도지운(吾道之運)
三十五. 강서(降書)
三十六. 강시(降詩)
三十七. 기타(其他)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