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시학과 수사학
제1장_ 시학과 수사학 - 수사학적 시학의 가능성
1. 머리말
2. 구조 시학
3. 정신분석 및 분열분석적 시학
4. 신수사학적 시학
5. 맺음말
제2장_ 구조 시학과 수사학
1. 머리말
2. 바르트-기호학적 구조 분석
3. 토도로프-이야기의 문법
4. 주네트-담화의 언어학
5. 맺음말
제3장_ 정신분석 비평과 수사학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야콥슨-은유와 환유
3. 프로이트-압축과 전위
4. 라캉-은유와 환유
5. 은유와 환유의 관계
6. 맺음말
제4장_ 분열분석 비평과 수사학 - 들뢰즈ㆍ가타리 이론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1. 머리말
2. 언어철학-언표, 배치, 내용과 표현, 기호 체제
3. 예술의 특성-리좀, 감응과 지각, 강도, 기호와 표현
4. 문학어의 특성-문체, 자유 간접 화법, 부정사, 비전과 오디션
5. 소수문학-생성(-되기), 아우토노미아, 비인칭적 자아, 문학-기계
6. 분열분석 비평-징후학, 탈주선, 환각, 시뮬라크르
7. 맺음말
제5장_ 정신분석 비평과 분열분석 비평
1. 머리말
2. 예비적 고찰
3. 정신분석의 수사학적 고찰-라캉
4. 분열분석의 수사학적 고찰-들뢰즈ㆍ가타리
5. 정신분석 비평과 분열분석 비평 비교
6. 맺음말
제6장_ 현대문학비평과 논증의 수사학
1. 머리말
2. 수사학의 역사적 전개
3. 논증 이론의 부활-페렐만과 툴민
4. 논증 이론의 재구성-제임스 크로스화이트
5. 통합적 수사학, 혹은 대화적 맥락의 비평-김인환
6. 맺음말
제2부 문학비평과 수사학
제1장_ 발터 벤야민의 언어철학 - 미메시스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미메시스론의 역사적 전개
3. 마법성과 아담의 언어
4. 번역과 순수 언어
5. 비감각적 유사성과 미메시스
6. 씌어지지 않은 것 읽기와 강압의 잔재
7. 맺음말
제2장_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아이러니와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벤야민 문예이론의 기본 전제
3. 벤야민 문예이론의 실제 양상
4. 맺음말
제3장_ 멜랑콜리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 정신분석 비평의 관점에서
1. 머리말
2. 프로이트-동일시로의 퇴행, 애증 병존, 가학증
3. 지젝-기만적 역설, 왜곡된 실재, 이데올로기 비판
4. 크리스테바-기표의 실패, 쇼즈의 양가성, 승화와 항문성
5. 맺음말
제4장_ 바울 담론의 문학비평적 가능성 - 바디우와 아감벤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바디우-진리 과정의 주체, 보편적 개별성, 죽음과 부활의 반변증법
3. 아감벤-무효화와 탈주체화, 절단과 잔여, 메시아적 시간 구조
4. 맺음말
제5장_ 가라타니 고진 비평의 비판적 검토
1. 머리말
2. 트랜스크리틱(Transcritique)의 의미
3. 은유로서의 건축 넘어서기
4. 근대문학의 기원과 종언
5. 비판적 검토
6. 맺음말
제3부 은유론과 수사학
제1장_ 고전적 은유론과 해석학적 은유론 - 아리스토텔레스와 리쾨르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은유론의 역사적 전개
3. 고전적 은유론-아리스토텔레스
4. 해석학적 은유론-리쾨르
5. 맺음말
제2장_ 인지 언어학적 은유론과 수사학 - 레이코프와 존슨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이론-은유적 투사와 영상 도식
3. 적용-시적 은유와 정치적 은유
4. 해석 및 평가
5.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