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우리 민족의 생존의 길은 어디에 있는가? <역사 속의 젊은 그들>은 우리 역사가 결코 탈출할 수 없을 것 같은 이 중대한 물음에 대하여 우리 선각자들이 내놓은 생각을 추적한 책이다. 저자는 북핵 문제와 전쟁과 평화 등을 연구해 온 국내의 대표적인 국제정치학자인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하영선 교수이다.
목차
강의를 시작하며│미래 속의 젊은 우리들
제1강 연암 박지원의 중국 바로 보기 만남 1. 중국의 부상과 미래 2. 중국과 한반도 3. 중국 바로 알기: 연행록 읽기 삶 1. 우울한 가슴앓이(1737~1767) 2. 백탑파 모임(1768~1785) 3. 뒤늦은 벼슬살이(1786~1805) 앎 1. 존화양이론 2. 청조 대외정책의 복합성 3. 조선의 대청 복합 그물망 외교론 연암의 유산 질의 응답
제2강 다산 정약용의 좌절한 정치 개혁 만남 1. 동주의 중매 2. 다산의 정치학적 접근 삶 1. 실학 공부와 천진암 강학회(1762~1782) 2. 정조와의 운명적 만남(1783~1800) 3. 다산의 강진 유배(1801~1818) 4. 여유당의 말년(1819~1836) 앎 1. 조선조 당시 허학(虛學)의 비판 2. 정치적 정당성 싸움의 경학 연구 3. 정치권력의 유지 관리 4. 정치권력 장악을 위한 군사론 5. 다산 연구의 부활 질의 응답 1. 다산의 국제정치학 평가 2. 다산의 21세기적 의미
제3강 환재 박규수의 개화파 사랑방 만남 1. 21세기와 19세기 2. 위정척사론 3. 박규수의 사랑방 삶 1. 유년 시절과 은둔기(1807~1847) 2. 출사와 관직 생활(1848~1873) 3. 박규수의 사랑방(1874~1877) 앎 1. 홍양후에게 보낸 편지의 북학 전통 2. 『상고도회문의례』의 존명 사상 3. 냉안간시무 허심독고서 4. 『거가잡복고』의 정치학 5. 「벽위신편평어」와 『해국도지』의 영향 6. 제너럴셔먼호 사건과 일곱 편의 외교 문서 7. 조일 수교의 서계 문제(1873~1876) 환재의 유산 질의 응답 1. 박규수 사랑방에서 여의도 사랑방까지 2. 박규수 사랑방의 실패 원인 3. 21세기 주한 미군과 동아시아 군사 질서
제4강 구당 유길준의 삼중 어려움 만남 1. ‘Civilization’과 ‘文明’ 2. 개념사 연구 3. 동서고금 전파 연구 삶 1. 전통 유학 수학(1856~1872) 2. 개화사상 수학(1873~1882) 3. 연금 은둔 생활(1885~1893) 4. 갑오개혁(1894~1895) 5. 일본 망명 생활(1896~1907) 6.「평화광복책」(1907~1914) 앎 1. 문명개화론 2. 양절 체제론 3. 군민공치론 조선 문명화의 좌절 1. 갑오개혁의 좌절 2. 균세의 실패 3. 국내 역량의 효율적 동원 실패 질의 응답 1. 유길준의 정치학은 국적 없는 정치학인가? 2. 양절과 복합의 가능성 3. 표준의 생산
제5강 약영 김양수의 미완성 식민지 국제정치학 만남 1. 식민지 시기 국제정치학의 빈곤 2. 약영과의 만남 3. 국제협조주의의 개념사 삶 1. 국내 수학과 일본 유학(1896~1918) 2. 식민지 시기 언론 활동(1918~1930) 3. 식민지 시기 사회 활동(1930~1945) 4. 해방 이후 정치 활동(1945~1969) 앎 1. 「사회 문제에 대한 관념」 2. 「과거 1년의 세계: 대세를 지배하는 3대 사조」 3. 「1년간의 세계 대세」, 「세력균형주의와 국제협조주의」 4. 「양대 세력의 석금관(昔今觀)」, 「구미 국제 정국의 전망」 약영의 유산 질의 응답 1. 김양수에 대한 평가 2. 국제정치 현실의 협력과 갈등의 복합
제6강 민세 안재홍의 실패한 20세기 복합론 만남 1. ‘민세’적 고민의 공유 2. 한국 민족주의의 문제 3. 복합론의 역사 삶 1. 국내 수학과 일본 유학(1891~1914) 2. 국내 활동과 징역 생활(1915~1923) 3. 조선일보와 신간회(1924~1931) 4. 민세주의와 조선학(1932~1944) 5. 해방 이후 정치 활동(1945~1965) 앎 1. 민세 제1기: 민중의 세상 2. 민세 제2기: 신간회의 국내 복합론 3. 민세 제3기: 민족적 국제주의 4. 민세 제4기: 신민족주의 민세 20세기 복합론의 실패와 영향 질의 응답 1. 민족주의에 관한 사학계와 동주의 입장 2. 유학 문제 3. 보수-진보 이분법의 극복
제7강 동주 이용희와 한국 국제정치학 만남 1. “그것이 그런 것 같지 않다” 2. 권역과 전파의 국제정치학 3. 제왕의 학문 삶 1. 식민지 시절(1917~1945) 2. 서울대 교수 시절(1949~1975) 3. 현실 참여 시절(1975~1997) 앎 1. 동주 국제정치학의 출발 2. 『일반국제정치학(상)』 3. 세계정치의 이중 구조화 4. 『미래의 세계정치』 동주 국제정치학의 중요성 질의 응답 1. 영국 학파와 동주 국제정치 2. ‘역사의 수레바퀴’와 역사 진행의 방향 3. 노재봉 선생님의 보론
제8강 복합파의 암호 풀기: 21세기 세계정치학 만남 1. 탈냉전에서 복합으로 2. 은유에서 분석으로 3. 한국 외교의 복합 네트워크 연구 복합파 모임의 연구 내용 경제 위기 이후 세계 질서와 한국의 복합 외교 1. 세계 질서의 미래 2. 동아시아 세력 분포도 3.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4. 중국과 일본의 동아시아 정책 5. 북한 문제 6. 한국의 복합 외교 21세기 복합파의 미래 질의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