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20세기 한국사' 시리즈 5, 6권 <북한의 역사>. 해방부터 1950년대까지의 초기 북한사를 다룬 1권과 사회주의 건설이 본격화되는 1960년대부터 김일성 사망 시기까지를 다룬 2권으로 구성되었다. 1권은 계간 「역사비평」의 전 편집주간이자 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으로서 진보사학계의 한 축을 든든하게 지탱해왔던 김성보 교수(연세대학교)가 집필을 맡았다.
목차
발간사 '20세기 한국사'를 펴내며
책머리에 인민민주주의 단계의 북한 역사에 주목하는 이유
01 해방, 인민위원회, 소련군의 주둔 해방의 기쁨 속에 인민위원회를 세우다 소련군의 진주와 인민위원회 개편 김일성의 등장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조만식의 조선민주당 창당과 민공연립정치 스페셜 테마 : 소련군은 왜 북한에 진주했을까?
02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수립과 '민주개혁' 조선민주당의 재편과 청우당·신민당의 부상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 토지개혁 1946년 여름의 사회개혁과 건국사상 총동원운동 스페셜 테마 : 북한의 친일 반민족 행위자 처벌 스페셜 테마 : 경제 건설을 위해 남은 일본인 기술자들
03 분단의 갈림길에서 인민공화국이 수립되다 북조선노동당의 창당과 분조선 인민위원회 수립 문화 건설과 교육개혁 '민족간부'를 양성하다 헌법 제정에서 인민공화국 수립까지 스페셜 테마 : 1947년 화폐개혁의 명암
04 전쟁의 소용돌이 전쟁이 일어나다 전쟁과 권력 변동 전쟁의 상처와 사회경제의 변화 스페셜 테마 : 신해방지구 개성, 남북교류의 공간
05 전후 사회주의 건설의 노선투쟁과 권력집중 전후 복구에 나서다 농업 협동화와 사회주의 개조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과 권력 변동 스페셜 테마 : 동독 건축가 레셀의 눈으로 본 북한 스페셜 테마 : 평률리 민주선전실장의 농촌생활
06 북한식 사회주의의 형성 천리마운동과 청산리방법 독자외교의 모색과 재일 조선인 귀국 사업 학술 논쟁의 시대 1950년대 사회주의 건설에 나선 문학예술인
07 글을 맺으며_북한의 역사에거 찾아본 열린 가능성 북한은 소련의 위성국가였는가? 북한은 어떻게 초기 경쟁에서 남한에 우위를 점했는가? 북한 체제는 왜 경직되기 시작했는가?
부록 주요사건일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암살 : 왜곡된 현대사의 서막2016 / 지음: 박태균, 정창현 / 역사인
38선에서 휴전선으로2004 / 양호민 지음 / 생각의나무
북한 주체사상의 형성과 쇠퇴2004 / 신일철 지음 / 생각의나무
북한의 사회주의 건설과 좌절2004 / 유호열 지음 / 생각의나무
건국과 부국 : 현대한국정치사 강의2004 / 김일영 지음 / 생각의나무
한미동맹 50년2004 / 차상철 지음 / 생각의나무
그때 그 시절, 우리가 사랑한 노래들 2023 / 지음: 배기성 / 흠영
북한의 역사. 1, 건국과 인민민주주의의 경험 1945-19602011 / 김성보 지음 ;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역사비평사
북한의 역사. 2, 주체사상과 유일체제 1960-19942011 / 이종석 지음 ; 역사문제연구소 기획 / 역사비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