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에 폭발한 미국발 금융위기와 세계경제위기, 그리고 그에 따른 신자유주의의 전 세계적 해체의 국면에서 150년 전 맑스가 문제의 중심에 설정했던 자본[주의] 그 자체를 비판적 사유의 중심으로 가져오고자 시도한 논쟁적 저작이다. 포스트신자유주의적 상황에서 복지국가 담론이 모든 정치세력들의 공통적 의제로 제기되고 있는 이 전환기에, 그는 자본, 국가, 계급이 무엇인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부정과 전복을 통한 사회적 자율로서의 코뮤니즘을 정치(학)적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1장 서론
1부 변증법과 부정: 자본 비판에 대하여 2장 비참한 시대의 부정변증법: 아도르노와 실천 3장 사회형태, 비판 그리고 인간의 존엄 4장 주체로서의 자본과 노동의 실존
2부 자본과 국가: 정치적인 것의 사회적 구성에 대하여 5장 사회적 구성과 세계화의 유령: 세계시장에 대하여 6장 자유경제와 강력한 국가: 국가에 대한 주석들 7장 민주주의와 독재: 신자유주의적 수단과 국가의 목적에 대하여 8장 자본주의 국가: 환상과 비판
3부 인간해방의 이념: 역사의 조류에 맞서서 9장 국가, 혁명 그리고 자기결정 10장 시초축적과 자본주의적 축적: 사회적 구성과 수탈에 대한 주석들 11장 반유대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근대적) 비판 12장 역사와 인간해방: 투쟁, 불확실성 그리고 개방성
13장 결론: 불확실성과 사회적 자율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용어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의미와 콘텍스트1999 / 제임스 탈리 엮음 ; 유종선 옮김 / 아르케
자유주의에 관한 짧은 에세이들 :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 입문2001 / 김만권 지음 / 東明社
(그림으로 이해하는)정치사상2006 / 김만권 글.그림 / 개마고원
에드먼드 버크와 보수주의1997 / R. Nisbet ; C. B. Macpherson 공저 ; 강정인 ; 김상우 공역 / 문학과지성사